View : 932 Download: 0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통사적 복잡성에 따른 격조사처리능력
- Title
-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통사적 복잡성에 따른 격조사처리능력
- Other Titles
- Effects of Syntactic Complexity on Case Marker Processing in Person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 Authors
- 현정민
- Issue Date
- 2013
- Department/Major
-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 Publisher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Degree
- Master
- Advisors
- 성지은
- Abstract
-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yntactic complexity on the accuracy and response time (RT) of a case marker processing (CMP) task in normal elderly adults (NEA), person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The CMP task consisted of eight different syntactic structures: (1)transitive verbs with two-place arguments (2)transitive verbs with three-place arguments (3)passive (4)coordinate conjunction (CC) (5)Subject-Subject relative clause (SS) (6)Subject-Object relative clause (SO) (7)Object-Object relative clause (OO) (8)Object-Subject relative clause (SO). There were eight trials for each syntactic structure, and each item was randomly presented on a touch-screen computer monitor.
Sixteen individuals with MCI, 21 with age and education year-matched NEAs participated in the study. Performance on the CMP task was analyzed using two-way mixed ANOVA for the accuracy and using Mann-Whitney test and Wilcoxon signed ranks test for the RT.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showing that the NEA group had higher accuracy than MCI group, (2)sentences with one proposition yielded higher accuracy than sentences with two propositions, (3)RTs from each syntactic structur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The results from the current study suggested that the syntactic-complexity based CMP task could be a sensitive tool to differentiate MCI group from normal aging population.;경도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이하 MCI)는 인지적인 연속체 상에서 치매와 정상적인 노화 사이의 경계이다(Petersen et al., 2001). MCI 환자는 치매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MCI 환자와 정상 노인을 조기에 감별하는 것이 필요하다. MCI 환자의 언어적인 손상은 치매 환자와 매우 유사하며, 의미능력의 저하와 구문능력의 보존을 특징으로 한다(Altmann, Kempler & Andersen, 2001; Choi, 2009; Croisile et al., 1996; Kavé & Levy, 2003; Rochon, Waters & Caplan, 1994; Taler & Phillips, 2008; Vuorinen, Laine & Rinne, 2000; 김정완 외, 2006). 구문능력 중 문장산출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흔히 자발화를 분석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그러나 몇몇 연구에서 의미능력과 문장 유형을 통제했을 때 치매 환자의 문장산출능력이 정상 노인에 비하여 저하되었으며, 특히 통사적 복잡성이 높은 문장에서 저하가 두드러지는 것을 발견하였다(Altmann, Kempler & Andersen, 2001; Altmann, 2004; Bates et al., 1995).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의미능력이 통제된 상태에서 통사적 복잡성에 따른 MCI 환자의 문장산출능력을 알아보고자 한다. 한국어에서 격조사가 문장 산출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격조사처리능력을 문장산출능력의 핵심으로 보았다. 격조사처리능력은 격조사처리과제의 정확도와 반응시간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MCI 환자 16명, 정상 노인 21명이었다. 격조사처리과제는 의미능력이 통제된 그림을 제시한 후 피험자에게 그림에 해당하는 문장을 제시하는데, 그 문장의 2개 혹은 3개의 격조사들은 빈칸으로 처리되어있다. 각 빈칸 아래에는 문장 유형에 따라 격조사 보기가 2개 혹은 3개 있다. 피험자는 빈칸에 격조사 보기 중에서 1개를 골라 넣어서 그림을 설명하는 문장을 만들어야 한다. 실험 그림은 캐릭터는 사람 모양의 픽토그램(pictogram)으로 제시했으며, 그 외의 사물은 흑백 선화로 제시하였다. 실험 문장은 한국어의 문장 유형에 대한 선행 연구에 근거하여 8개 유형, 각 8문항으로 선정하였다. 홑문장 유형으로 (1)타동문(2항) (2)타동문(3항) (3)피동문이 있으며, 겹문장 유형으로 (1)접속문 (2)주어수식-주격관형절(Subject-Subject related clause: 이하 SS) (3)주어수식-목적격관계절(Subject-Object related clause: 이하 SO) (4)목적어수식-목적격관계절(Object-Object related clause: 이하 OO) (5)목적어수식-주격관계절(Object-Subject related clause: 이하 OS)이 있다. 통사적 복잡성은 Miyake, Carpenter & Just(1994)의 ‘통사적 복잡성에 기여하는 요소들’이 많이 포함된 문장일수록 통사적 복잡성이 높은 것으로 보았다.
연구 결과, 격조사처리과제 정확도는 MCI 환자가 정상 노인에 비하여 유의하게 저하되었다. 문장 유형에서 홑문장보다 겹문장의 정확도가 유의하게 저하되었으며, 홑문장 내에서 타동문(2항), 타동문(3항), 피동문 순으로 정확도가 높았으며, 타동문(2항)과 피동문의 차이가 유의하였다. 겹문장 내에서 접속문, OS, SS, SO, OO 순으로 정확도가 높았으며, 접속문은 각각 SS, SO, OO와 차이가 유의하고, OS 및 SS는 각각 SO 및 OO와 차이가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통사적 복잡성이 높을수록 격조사처리과제 정확도가 저하되는 것을 보여준다. Miyake, Carpenter & Just(1994)의 통사적 복잡성에 기여하는 요소들이 많이 포함될 뿐만 아니라 한국어의 격조사 어순이 비전형적일수록 통사적 복잡성이 상승하였다.
다음으로 정상 노인과 MCI 환자가 통사적 복잡성에 근거한 문장 유형에 따라 반응시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각 문장 유형 내에서 집단 간 차이는 모든 문장 유형에서 유의하지 않았다. 정상 노인군 내에서 문장 유형 간 차이를 알아보면 홑문장과 겹문장의 차이가 유의했으며, 홑문장 유형 내에서는 타동문(2항)과 타동문(3항), 타동문(2항)과 피동문의 차이가 유의했고, 겹문장 유형 내에서는 접속문이 각각 SS, SO, OO, OS와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SS는 SO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MCI 환자군 내에서는 결측치가 많아서 통계적인 분석을 할 수 없었으며, 기술통계로 홑문장에서 반응시간은 타동문(2항), 피동문, 타동문(3항) 순으로 길었으며, 겹문장에서 반응시간은 접속문, SS, OS, OO, SO 순으로 길었다. 이러한 결과는 통사적 복잡성이 높을수록 격조사처리과제 반응시간이 길어지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문장산출능력의 핵심인 격조사처리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격조사처리과제를 MCI 환자와 정상 노인에게 실시하였다. 그 결과 MCI 환자의 정확도는 정상 노인에 비하여 유의하게 저하되었으며, 이러한 저하는 통사적으로 복잡한 문장에서 뿐만 아니라 단순한 문장에서도 발생하였다. 그리고 통사적 복잡성에 기여하는 요소들을 한국어에 적용할 때, 영어와 달리 격조사의 순서가 통사적 복잡성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볼 때 격조사처리과제는 통사적으로 단순한 문장만 실시하여도 MCI 환자와 정상 노인을 감별하는 데 도움이 되는 과제로 활용할 수 있다는 임상적 의의가 있다.
- Fulltext
- Show the fulltext
- Appears in Collections:
-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Export
- RIS (EndNote)
- XLS (Excel)
- X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