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993 Download: 0

신체적, 성적학대 외상경험이 있는 여성알코올중독자의 재발위험성

Title
신체적, 성적학대 외상경험이 있는 여성알코올중독자의 재발위험성
Other Titles
The Advance Warning of Relapse of Female Alcoholics with Traumatic Experienced Physical, Sexual Abuses
Authors
우재희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사회복지전문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한인영
Abstract
Since female alcoholics are affected by traumatic experiences during the addiction process, it is necessary to give attentions to the interconnection between psychological, enviromental factors from the traumatic experiences and the process of alcoholism. Especially, from the fact that the number of female alcoholics is recently increasing, and since a physical, sexual traumatic experience is the main predictive factor for continuous drinking and simutaneously it is a factor to be dealt for an intervention during the alcholism process as well as prevention of relapse, it suggests an intervention in the relapse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female alcoholics. Hereby, this research purposes to investigate parameters which effect on the relapse of alcoholism, to understand psychological factors for stress control and drinking anticipation which lead to the relapse of female alcoholism, and to seek practical ways in social welfare for alcoholism, focusing on the traumatic experiences and post traumatic stress symptoms of female alcoholics experienced physical, sexual abuses. In this research, to investigate the advance warning of relapse of female alcoholics experienced physical, sexual abuses, a advance warning of relapse model based on 'Pearlin et al.(1981)'s Stress Process Model' is suggested. Through the model, traumatic experiences of physical, sexual abuses and post traumatic stress symptoms of female alcoholics are investigated; analysing parameters such as stress contorl and drinking anticipation which directly or indirectly effect on the relapse process, the effects on the advance warning of relapse are verified. Thus, by examining unnoticed factors such as traumatic experiences and the advance warning of relapse simultaneously, this inbestigation urges the necessity of the systematic, strategic intervention into the prevention of relapse in the practics of mental health social welfare to establish the treatment measures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female alcoholics, and it provides data suggesting a detailed way of the intervention to eventually improve the welfare of female alcoholics. To verify the model suggested in this research, a survey on female alcoholics over 18 being admissed as alcoholism in the Seoul-Incheon district is implmented, and 227 data are used in the analysis. To evaluate the validity of the model and hypothesis, the structural equating model is used. The technical statistics analysis of collected data is done using SPSS 18.0, and AMOS 18.0 is used to analyse the structural equating model and to verify the hypothesis. The main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 related with physical, sexual traumatic experiences of subjects is that physical, sexual abuses by acquaintances under 18 is more common than that experiences over 18. As the response to the question asking the degree of physical, sexual abuses, all respondents choose 'much' or higher in 5 degree scale. Seco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model on direct effect, 8 pathes among 10 direct pathe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Examining the direct pathes, physical, sexual abuses effects directly on the post traumatic stress, and the post traumatic stress of female alcoholics directly effects on the problem focused and emotion focused coping. Also problem oriented and emotion focused coping directly effect on the drinking anticipation respectively, and emotion focused coping and drinking anticipation directly effect on the advance warning of relapse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 direct effect of post traumatic stress of female alcoholics on drinking anticipation is not significant, and neither is the direct effect of problem focused coping on the advance warning of relapse . Third, as the result of verification of indirect effects through parameters, in the model, 4 out of 6 indirect pathes parameterized as post traumatic stress symptoms, problem focused coping, and drinking anticipation are significant. I.e., the traumatic experiences of physical, sexual abuses of female alcoholics and the effect on the advance warning of relapse are parameterized by post traumatic stress symptoms, post traumatic stress symptoms-problem focused coping,-drinking anticipation, post traumatic stress symptoms-emotion focused coping,, and post traumatic stress symptoms-emotion focused coping,-drinking anticipation. On the other hand, the pathes parameterized as post traumatic stress symptoms-problem focused coping and post traumatic stress symptoms-drinking anticipation are not significant. On the basis of the results above, this research implies the followings. First, examining the traumatic experiences and degress of female alcoholics in depth focusing on the traumatic experiences in the risk of relapse study model, it conceptualizes and specifies the traumatic experiences of female alcoholics, and at the same time, it recognizes afresh the importance of the traumatic experience variable in the relapse process. Also, it provides the theoretical basis for researches on the relapse and rehabilitation sui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raumatic experiences of female alcoholics. Second, it recognizes that the intervention should be carried with an attention on the interconnection between psychological, enviromental factors of physical, sexual abuses of female alcoholics and the alcoholism process. Specifically, it suggests necessities to consider the physical, sexual traumatic experiences as a main factor of relapse related with the psychological weakness as a characteristic of female alcoholics, and to deal with the traumatic experiences in the course of psychologial · social assessment. Third, it verifies that psychological parameters such as problem focused coping, emotion focused coping and drinking anticipation are important clues for reduction of the advance warning of relapse in the relation with post traumatic stress symptom, and for the recovery from alcoholism and rehabilitation. Fourth,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t becomes possible to set intervention areas and directions in practics by investigating the traumas and psychological factors which have influences on the relapse of female alcoholism.;여성알코올중독자들은 중독과정에 외상경험(traumatic experience)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외상경험으로 인한 심리적, 환경적 요인과 알코올중독 과정의 상호연관성에 주목해야 할 필요가 있다. 특히, 최근 여성알코올중독자의 수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에서 신체적, 성적 외상경험은 여성알코올중독자의 지속적 음주의 예측요인임과 동시에 알코올중독 과정의 개입, 재발예방에 있어 다루어야 할 요인이므로 여성알코올중독자의 특성을 고려한 재발과정에서의 개입임을 시사한다. 이에 본 연구는 신체적, 성적 학대의 외상경험이 있는 여성알코올중독자들의 외상경험과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에 초점을 맞추어 알코올중독 재발위험성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변인을 파악하여 여성알코올중독자들을 재발에 이르게 하는 스트레스대처와 음주기대의 심리적 요인을 이해하고, 알코올중독 사회복지 실천현장의 실천적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신체적, 성적학대의 외상경험이 있는 여성알코올중독자의 재발위험성을 살펴보기 위해 ‘Pearlin et al.(1981)의 스트레스 과정 모델(Stress Process Model)’을 기반으로 재발위험성 모형을 제시하였다. 설정된 모형을 통해 여성알코올중독자의 신체적, 성적학대의 외상경험과 외상 후 스트레스증상에 대해 알아보고 알코올중독 재발 과정에서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스트레스 대처와 음주기대 매개변인의 관계분석을 통해 재발위험성과의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여성알코올중독자의 연구에서 간과되었던 외상경험을 재발위험성과 함께 살펴봄으로써, 정신보건사회복지 실천에서 알코올중독 재발을 예방하기 위한 체계적, 전략적 개입의 필요성을 촉구해 여성알코올중독자의 특성을 고려한 알코올중독 치료대책을 수립하고 궁극적으로 여성알코올중독 분야의 복지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개입 방안을 제시하는 근거자료를 제공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서울과 경인지역의 만 18세 이상의 알코올중독 병원에 입원중인 여성알코올중독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227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모형의 적합성을 평가하고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한 기술적 통계분석은 SPSS 18.0을 활용하였고, AMOS 18.0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하고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과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신체적, 성적 외상경험관련 특성은 18세 이전 지인에 의한 신체적 성적 학대경험이 18세 이후의 경험보다 많았다. 신체적, 성적 학대의 정도를 물어보는 응답에서는 5점 척도 중 '많이 그랬다' 이상을 모두 선택했다. 둘째, 직접효과에 대한 연구모형의 분석에서 총 10개의 직접경로 중 8개의 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직접경로를 살펴보면, 신체적, 성적 학대의 외상경험은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여성알코올중독자의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은 문제 중심 대처, 정서 중심 대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문제 중심 대처, 정서 중심 대처는 각각 음주기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고, 정서 중심 대처, 음주기대는 각각 재발위험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반면, 여성알코올중독자의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은 음주기대에 직접적인 영향이 유의하지 않았고, 문제 중심 대처는 재발위험성에 직접적인 영향이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매개변수를 통한 간접영향에 대한 검증결과, 연구모형에서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문제 중심 대처, 정서 중심 대처, 음주기대를 매개로 하는 6개의 간접경로 중 4개의 경로가 유의하였다. 즉, 여성알코올중독자의 신체적, 성적 학대의 외상경험과 재발위험성에 대한 영향력은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외상 후 스트레스증상-문제 중심 대처-음주기대, 외상 후 스트레스증상-정서 중심 대처,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정서 중심 대처-음주기대에 의해 매개되었다. 반면, 외상 후 스트레스증상-문제 중심 대처,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음주기대의 매개경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위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함의를 가진다. 첫째, 여성알코올중독자의 외상경험을 재발위험성 연구모형에서 초점화 하여 여성알코올중독자의 심층적인 외상경험과 강도를 살펴봄으로써 여성알코올중독자의 외상경험에 대해 개념화 하고 구체화시킴과 동시에 알코올중독 재발과정에서 외상경험변인의 중요성을 새롭게 인식하였다. 그리고, 여성알코올중독자의 외상경험 특성에 맞는 재발연구와 재활을 위한 이론적 토대의 근거를 마련하였다. 둘째, 여성알코올중독자의 신체적, 성적학대 외상경험을 심리적, 환경적 요인과 알코올중독 과정과의 상호연관성에 주목하여 개입해야 함을 인식하였다. 구체적으로 신체적, 성적 외상경험을 여성알코올중독자들의 특성인 심리적 취약성과 연관 지어 재발을 하게 하는 주요 요인으로 고려하여 심리 · 사회적 사정 시 중독과정에서 외상경험을 다루어 주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셋째, 문제 중심 대처, 정서 중심 대처와 음주기대의 심리적 매개변인이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과 알코올중독 재발위험성과의 관계에서 재발위험성을 줄이고 알코올중독 회복, 재활을 위한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넷째,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여성알코올중독자의 재발에 영향을 미치는 외상과 심리적 요인들을 파악함으로써 실천현장에서 개입 영역과 개입방향 설정이 가능하게 되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전문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