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04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익중-
dc.contributor.author박현정-
dc.creator박현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44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44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015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49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0158-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에서는 이혼․별거자가 가장 어려움을 호소하는 이혼․별거 전 1년, 이혼․별거 당해 연도, 이혼․별거 후 1년 동안의 소득 변화와 생활만족도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이혼․별거 전후 소득과 생활만족도가 이혼․별거 이전보다 상태가 호전되는지 더 취약해지는지를 종단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종단적인 연구가 필요한 이유는 이혼․별거 전후 겪는 빈곤과 정서적인 어려움이 장기간 계속되기 때문이다. 또한 이혼․별거 이후 삶에 대한 적응은 경제적 상태와 심리 정서적 안정의 문제를 모두 포괄하는 것이므로, 당사자들이 경험하는 어려운 점과 효용을 함께 조사하는 것이 요청된다. 본 연구를 통해 이혼․별거 당해 연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이혼․별거 이전과 이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시간의 변화에 따라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영향 요인들을 동시에 파악하고자 한다. 이러한 종단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혼․별거 시기의 가족이 직면하는 소득, 생활만족도 변화를 동시에 고찰하여 사회복지 개입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이혼․별거를 경험한 한부모 가족의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 제시된 연구목적을 분석하기 위해 한국노동패널 1차년도에서 11차년도 11년간 자료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분석대상은 별거 및 이혼을 경험한 남성 128명, 여성 116명 총 244명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이 연구에서 모형의 적합성을 평가하고 구성된 연구질문에 응답하기 위하여 잠재성장모형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한 기술적 분석은 SAS 9.1, SPSS 17.0을 활용하였다. 그리고 잠재성장모형은 AMOS 7.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득의 평균값은 남녀 모두 이혼․별거 전년도, 이혼․별거 당해 연도, 이혼․별거 다음 연도 3년 동안 매년 감소하는 추세이다. 소득의 발달궤적은 무조건모형에서 초기치와 변화율 간 변량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초기치와 변화율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개인 간 차이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소득의 초기치와 기울기의 부적 상관계수는 출발점에서 소득의 초기치가 높았던 사람은 완만하게 감소하는 반면 초기치가 낮았던 사람은 급속히 감소한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소득 발달궤적의 조건모형에서 초기치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은 연령, 주거이동유무로 나타났으며 변화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력, 주거이동 유무, 자녀와 동거하는 경우로 나타났다. 연령이 증가할수록 소득이 급속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거이동 경험이 있는 경우에 비해 주거이동의 경험이 없고 자녀와 동거하는 경우 소득이 완만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생활만족도 발달 궤적 추정치를 무조건모형에서 살펴본 결과, 생활만족도 중 가족의 수입, 여가생활, 주거환경의 경우 초기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나, 변화율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이혼․별거 당시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개인간 차이가 있으나, 시간이 지나도 변화율에 개인적 차이가 없다는 의미이다. 생활만족도(사회적 친분관계)의 경우는 친구관계 혹은 지인 관계에 대한 만족도를 측정하는 변수인데, 초기치와 변화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개인차가 나타났다. 즉 이혼․별거 당해 연도나 다음연도에 친구관계, 지인 관계 등 사회적 친분관계 만족의 개인차가 다양하게 퍼져있다는 의미이다. 넷째, 앞서 밝힌 바와 같이 생활만족도 요인 중 조건모형으로 분석할 수 있는 변수는 생활만족도(사회적 친분관계)이다. 생활만족도(사회적 친분관계) 조건모형에서 초기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력, 소득으로 나타났으며 변화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학력, 성인과 동거하는 경우로 나타났다. 남성에 비해 여성의 경우, 학력이 높은 경우, 혼자 사는 경우에 비해 여타 성인과 동거하는 경우 생활만족도(사회적 친분관계)가 완만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소득 발달궤적과 생활만족도(사회적 친분관계) 발달궤적 사이의 관계는 시간의 변화에 따라 더 빨리 증가하는 영향을 주는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과 생활만족도의 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결과가 나온 것은 본 연구에서 이혼․별거 전후 3년 동안의 변화를 살펴보는 것이어서 장기간을 살펴보는 연구에 비해 소득과 생활만족도(사회적 친분관계)의 관계 변화의 차이를 발견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주요 검증결과를 통해 본 연구가 갖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혼․별거를 경험하는 사람들의 소득 변화, 생활만족도의 변화 궤적을 파악하여 분석기간을 횡단적으로 보던 동향에서 벗어나 종단적으로 이혼․별거 전후 변화를 살펴,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이혼․별거자들이 생활하기 가장 힘든 이혼․별거 전후 1년 시기를 집중적으로 살펴본다는데 의의를 제공한다. 둘째, 선행연구에서는 이혼․별거를 경험한 대상자 중 연구대상이 주로 저소득 여성 한부모나 자녀를 양육하는 여성 한부모가 집중대상이었다. 그러나, 현재 이혼․별거 이후 사회적 자료들은 이혼․별거 이후 남성과 여성 모두 소득 감소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혼․별거 여성과 남성을 함께 고찰하여, 사회복지개입 방안 모색에 필요한 근거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셋째, 패널을 활용하여 생활만족도를 고찰할 때, 본인이 인지하는 생활만족도 한 문항만을 분석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연구에서는 이혼․별거자의 생활만족도에 대한 세부적인 내용을 이해하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생활만족도의 세부항목(가족의 수입, 여가생활, 주거생활, 가족관계, 친인척관계, 사회적 친분관계)을 분석하여 이혼․별거자의 생활만족도를 더 깊이 이해하려는 의의를 제공한다.;This research intended to analyze a change in income and life satisfaction for 1 year before divorce or separation, during the relevant year of divorce or separation and for 1 year after divorce or separation which are the periods when divorced and separated persons face the greatest difficulty. And it also intended to look into whether the income and life satisfaction before and after divorce or separation improve or weaken in comparison with those before divorce or separation longitudinally. A longitudinal study was required because poverty and emotional difficulty experienced before and after divorce or separation continue for a long period. And it was required to research difficulty and usefulness experienced by the persons involved all together as adaptation to life after divorce or separation include both an economical state and the psychologic-emotional stability. As there might be a difference between the effectible factors for the relevant year of divorce or separation and those before and after divorce or separation in accordance with a change of time, this research intended to comprehend those effectible factors simultaneously. And it intended to provide a plan to intervene social welfare considering changes in income and life satisfaction to be faced by a family during the period of divorce or separation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such longitudinal study and to promot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for a family with one parent who has experienced divorce or separation through this. To analyze the purpose of a study presented in this research, materials for 11 years, from the 1st year to the 11th year of Korean Labor Panel, were used. And the analysis targeted total 244 persons, 128 males and 116 females, who have experienced separation or divorce. A potential growth model was used to assess the appropriacy of the model and to respond to inquiries constituted in this research. SAS 9.1, SPSS 17.0 was utilized for a technical analysis on collected data and potential growth model was analyzed with AMOS 7.0. Abstract of main results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ly, average values of income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annually for the previous year of separation or divorce, for the relevant year of separation or divorce and for the next 3 years of separation or divorce. Development trajectory of income was statistically notable for both variables between variations and initial values of unconditional model. This means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ersons in both initial values and variations. Negative correlation coefficients in initial values and inclination of income showed a gradual decrease for persons with high initial values of income from the starting point while it showed a dramatic decrease for the persons with low initial values. Secondly, the factors affecting initial values in a conditional model in income-development trajectory were the age and whether they have moved their residences and the factors affecting variations were the academic ability, whether they have moved their residences and the cases living with child or children. Income tended to decrease rapidly as the age increased. Income tended to reduce gradually for the persons that have not moved their residences and been living with their child or children in comparison with those having been moved their residences. Thirdly,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estimated figures of development trajectory of life satisfaction from unconditional model, it showed that initial values were statistically notable for satisfaction of family income, leisure activities and residential environment while their variations were remained insignificant. In other words,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individuals at the time of divorce and separation however, there is no individual difference in variations even the time has passed. Satisfaction in social acquaintance was a variable that measured a satisfaction level in friendship or acquaintanceship and initial values and variations showed statistically notable individual variations. Which means individual variations of satisfaction in social acquaintance such as friendship or acquaintanceship for the relevant year or the following year of divorce or separation were variously spreaded out. Fourthly, a variation analyzable with a conditional model among other factors of life satisfaction as previously stated, was life satisfaction (social acquaintance). The factors affecting initial values in conditional model of life satisfaction (social acquaintance) were the academic ability and income and those affecting variations were the age, academic ability and the cases living with adult(s). Life satisfaction (social acquaintance) showed a gradual downward tendency for females rather than males, persons with higher academic ability and persons living with adult(s) compared to those living alone. A relation between income trajectory and life satisfaction (social acquaintance) trajectory increased faster in accordance with a change of time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uch results drew a similar conclusion to Forrester's (1980) that a level of income is not connected with life satisfaction of divorcee. The meanings of this research through the main results of verification above is as follows. Firstly, breaking the pattern of trends looking at analytic period in cross-sectional way from comprehending a change in income and change trajectory of life satisfaction for persons experiencing divorce or separation, basic information could be provided by looking into changes before and after divorce or separation in longitudinal way. Especially this attached a meaning to an intensive investigation of 1 year before and after divorce or separation which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difficult years for the persons experiencing divorce or separation to live. Secondly, research targets among persons experienced divorce or separation in precedent studies were concentrated on a low-income female parent or a female parent raising child or children. However, current social data after divorce or separation indicates that both males and females after divorce or separation experience a loss in income. Therefore this research provided ground materials required for seeking a plan to intervene social welfare by considering females and males in their divorces and separations all together. Thirdly, consideration on life satisfaction using panels tended to analyze only one question of life satisfaction which was recognized by the person. Thus, it wa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details on life satisfaction of persons experiencing divorce or separation from such research. Therefore this research provided a meaning to comprehend life satisfaction of persons experiencing divorce or separation more in depth with analysing details of life satisfaction (family's income, leisure activities, residential life, family relationship, kinship and in-lawship, social acquaintanceship).-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 론 1 A. 문제제기 1 B. 연구목적 5 C. 연구의 의의 6 II. 이론적 배경 7 A. 이혼·별거에 대한 이론적 관점 7 1. 경제적 관점 7 2. 사회심리적 관점 11 B. 소득과 생활만족도에 대한 선행연구 15 1. 소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5 2.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2 3. 소득과 생활만족도 간의 관계 29 III. 연구방법 32 A. 연구문제 32 1. 소득 변화 32 2. 생활만족도 변화 32 3. 소득 변화와 생활만족도 변화 간의 관계 33 B. 분석자료 및 조사대상 33 C. 변수의 정의와 측정 35 D. 분석방법 39 IV. 연구결과 46 A.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46 1.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46 2. 주요 변수의 특성 48 B. 연구모형 분석 89 1. 소득 변화의 분석결과 89 2. 생활만족도 변화의 분석 결과 94 3. 소득 변화와 생활만족도 변화 간의 관계 100 V. 결론 106 A. 결과 요약 및 논의 106 1.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소득과 생활만족도의 변화 차이 106 2. 소득 변화 분석 결과 108 3. 생활만족도 변화 분석 결과 109 4. 소득과 생활만족도 변화 간의 관계 110 B. 함의 110 1. 정책적 함의 110 2. 실천적 함의 112 C.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 114 참 고 문 헌 117 ABSTRACT 12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59600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이혼·별거 전후 소득과 생활만족도의 변화-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Change in Life Satisfaction and Income Before and After Divorce or Separation-
dc.creator.othernamePark, Hyun Jung-
dc.format.pageix, 132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사회복지전문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전문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