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5 Download: 0

Comparative study of resin bond strength in regard to surface materials and treatments for porcelain repair

Title
Comparative study of resin bond strength in regard to surface materials and treatments for porcelain repair
Other Titles
도재 수리 시 표면 재료와 처리 방법에 따른 레진 결합 강도의 비교 연구
Authors
유지영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임상치의학대학원 임상치의학과보철수복치의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은진
Abstract
Purpose: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hear bond strength of surface materials and the treatments used to repair feldspathic porcelain and nickel-chromium non-precious alloy using composite resin and two commercially available kits.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30 disc specimens (1.0 mm thickness × 8.0 mm diameter) were fabricated from feldspathic porcelain and nickel-chromium base metal alloy. The specimens were embedded in acrylic resin, and each substrate was divided and treated using the following 3 methods: Group 1: Apply Porcelain Repair Kit and AELITETM All-Purpose Body after diamond bur roughening. Group 2: Apply Porcelain Repair Kit and AELITETM All-Purpose Body after 50 ㎛ aluminum oxide sandblasting. Group 3: Apply CoJetⓇ Sand system and Filtek Z250. All specimens were thermocycled between 5℃ and 55℃ for 1000 cycles, and the shear bond strength was measured with a universal testing machine with a 0.5-mm/min crosshead speed, and the failure mode was noted. All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Mann-Whitney test and Kruskal-Wallis test at a significance level of 0.05. Results: Group 2 (25.85 ± 3.51 MPa) showed the best results in the porcelain groups. In addition, group 1 (16.28 ± 4.50 MPa) and group 3 (16.23 ± 2.16 MPa)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metal groups, group 3 (13.81 ± 3.45 MPa) proved superior to group 1 or group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results for group 1 (3.12 ± 1.16 MPa) and group 2 (6.56 ± 2.88 MPa). Cohesive failure of the porcelain was predominant in the porcelain specimens. Each group of metal specimens displayed a unique failure mode in response to different treatments. Conclusions: Withi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sandblasting and the Porcelain Repair Kit can be suggested in the case of a fracture that is localized to the body porcelain. If the fracture extends to opaque porcelain or metal, the CoJetⓇ Sand system is worthy of consideration.;목적: 장석형 도재와 니켈-크롬 비귀금속 합금 표면에 도재 수리 키트와 코젯 샌드 시스템으로 표면 처리 후 복합 레진으로 수리하여 표면 재료와 처리 방법에 따른 전단 결합 강도를 평가하였다. 재료 및 방법: 장석형 도재와 니켈-크롬 비귀금속 합금으로 직경 8 mm, 두께 1 mm 디스크 형태의 시편을 각각 15개씩 제작하고, 모든 시편을 아크릴릭 레진에 함입하였다. 도재와 금속 시편을 각각 3가지 방법으로 처리하였다. (1) 다이아몬드 바로 거칠게 한 후, 도재 수리 키트, 복합 레진 (AELITETM All-Purpose Body) 적용 (2) 50 ㎛ 산화 알루미늄 분사 후, 도재 수리 키트, 복합 레진 (AELITETM All-Purpose Body) 적용 (3) 코젯 샌드 시스템, 복합 레진 (Filtek Z250) 적용 모든 시편은 5~55℃에서 1000회 열 순환 처리 후, 만능 시험기를 이용하여 0.5 mm/min의 속도로 전단 응력을 가하여 결합 강도를 측정하고 파절 양상을 판별하였다. 측정값은 맨 휘트니 분석과 크루스칼 왈리스 분석으로 통계 처리하였으며, 유의 수준은 P < 0.05로 하였다. 결과: 도재에서 산화 알루미늄 분사 후 도재 수리 키트로 수리한 경우 (25.85 ± 3.51 MPa) 유의하게 높은 강도를 나타냈고, 다이아몬드 바로 거칠게 한 후 도재 수리 키트 (16.27 ± 4.50 MPa) 로 처리한 군과 코젯 샌드 시스템 (16.23 ± 2.16 MPa) 으로 처리한 군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금속에서 코젯 샌드 시스템으로 수리한 경우 (13.81 ± 3.45 MPa) 유의하게 높은 강도를 보였으며, 도재 수리 키트 적용 전에 다이아몬드 바로 거칠게 한 군 (3.12 ± 1.17 MPa) 과 산화 알루미뉼 분사 처리한 군 (6.56 ± 2.88 MPa) 사이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파절 양상은 도재의 응집 실패가 우세하였고, 금속에서는 처리 방법에 따라 파절 양상이 다르게 나타났다. 결론: 도재 표면에는 50 ㎛ 산화 알루미늄 분사 후 도재 수리 키트를 적용하였을 때, 금속 표면에는 코젯 샌드 시스템을 적용하였을 때 가장 높은 레진 결합 강도를 얻었다. 이 결과로부터, 도재에 국한된 파절이 발생했을 때에는 산화 알루미늄 분사 후 도재 수리 키트의 적용을, 금속까지 노출된 파절이 발생했을 때는 코젯 샌드 시스템의 적용을 고려해볼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치의학대학원 > 임상치주보철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