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5 Download: 0

전시디자인을 위한 다원적 커뮤니케이션 모델연구

Title
전시디자인을 위한 다원적 커뮤니케이션 모델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the multi-dimensional communication model for the exhibition design
Authors
이란표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공간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현중
Abstract
Caused by the globalization, recently the life style and the mode of experiencing space are exposed to a social tendency of radical deterritorialization, which is coming into force between the borderlines, the human races, and the ideologies, and also due to the postmodern ambience the paradigm of sciences and the way of thinking have been deconstructed enormously. Moreover, the appearance of a qualitatively new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the Internet at the end of 20th century has made people's ways of perception be transformed fundamentally, and then they have been shifted from the situation of the logo-centric hierarchical and lineal communication as the traditional value system to a multi-signifying operation space in which a non-hierarchical and a-lineal context of reference between the senses and a connection between the self-referring images are formed. Confronted to this situation, it is thought to be necessary that the meaning representing space which has been comprehended by the container metaphor be rearticulated into a invisible and non-representative signifying effect space and with this the body conception as a receptacle of the mind or the soul be reset into a self-organizing and self-constituting deterritorialized body conception. But to accomplish the rearticulation of space and the resetting of body, it has to be foremost preceded that we arrange a dynamic communicative work field which can contribute to the spatialization of signifying effects and the corporealizing of bodily self-organizations. Furthermore it should be groped for founding of the self-referential and system-generative structure of images. In the trade fairs in which architectural languages and signs are expressed into space and form it occurs that exhibition products, exhibiting space, exhibition designer and visitors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trade fair communication as a form of total communication that furnishes the spontaneous and sensitive contemporaries not only a condensed perspective to the exhibition but also possibilities of the interaction with the exhibited is not only one of the realizabilities of the new communication model that coincides with the changed situation, but also a possibility condition of the complex communication that is formed centering around the effects of commodities generating the unfetishistic signifying within the modern capitalist system. In a broad sense the design of the exhibition booth includes spatial and architectural forms and in a narrow sense lightening, colors and materials. Hence it must be considered that the exhibition booth is the product of the spatial image design which cannot be understood only instrumentally, and also that in the exhibition design not only the elements such as the sender, the recipient and the objects, but also the semiotic element such as the various kinds of images and installations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the multi-dimensional communication. Therefore it is inevitable that one must substitute the concept of the two-dimensional communication (‘the sender-the message-the recipient’) with the concept of the three-dimensional which especially takes notice of the fourth element of the communication, ‘the relation between the perceived and the semiotic image’. Therefore this study is purposed to offer the theoretical fundamental and system of the multi-dimensional communication for the exhibition booth design and its expressional elements by reappropriating the historical discourses about the spatial perception and the theoretical concepts about communication and medial, especially shedding light on the ‘Organon-Model’ of Karl Bühler as an grounding model of the multi-dimensional trade fair communication. This study is divided into three main areas as follows: i)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multi-dimensional trade fair communication In the first part it is attempted to draw the theoretical background ideas for establishing a multi-dimensional communication system from the historical contexts of the discourses for the spatial perception and to reappropriate those into a new context of this study. Concretely analyzed are ‘Psychophysik’, ‘Raumästhetik', and ‘Gestaltpsychologie', a main argument of which is that the psychic and the physical are basically connected, and that this actual fact plays a important role in the explication of constituting the spatialization and the space perception. Through the analyses it should be indicated, which kind of conceptions the multi-dimensional trade fair communication constitute. ii) The systematic fundamentals of the multi-dimensional trade fair communication Based on the inferred conceptions from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multi-dimensional trade fair communication, it is dealt with the core systems of the modern communication and media theories such as those of ‘N. Luhmann’, ‘N. Boltz’, ‘M. McLuhan’, 'L. Manovich', which represent the typical expressive system of the multi-dimensional trade fair communication. In this chapter it is of importance to elucidate the foundations of the systematization of the multi-dimensional trade fair communication. iii) The model construction and the operating modalities of the multi-dimensional trade fair communication The last and main chapter of this study is dedicated to the clarification of the model construction and the modalities of the multi-dimensional trade fair communication, of which the signifying modality has 'the arbitrariness', 'the abstract relevance', and 'the apperceptive complement', the exhibition marketing modality 'the delineation of the corporate image', 'the presentation of the products and the services', and 'the communication with the visitors', and the communicative modality 'the narrativity', 'the virtuality', and 'the performativity'. In this process this study tries to reappropriate the Organon Model of K. Bühler that can be appreciated as the combining parameter between the multi-dimensional communication and the trade fair communication. Lastly it is undertaken to analyze the booth design cases according to the analyzing indicators which are deduced from the operating modalities of the multi-dimensional trade fair communication. After all this study aims at explicating the possibility conditions for the new paradigm of the trade fair communication and the modalities of the communication model of the trade fair, which reflect the changes of the world and the ways of perception in our times.;최근 전 지구화 과정으로 인해 국경과 인종 그리고 이데올로기의 기존경계를 넘어 생활방식 및 체험공간은 탈 경계적 변화를 겪고 있으며, 6,70년대 이래로 사고방식과 생활환경 그리고 학문적 패러다임은 포스트모던적인 기류에 힘입어 획기적 변화의 과정에 노출되어 왔다. 더욱이 20세기 말 인터넷과 같은 질적으로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방식이 등장함으로써 사람들의 지각방식은 전례 없는 현격한 변형생성의 회오리에 내맡겨지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에 직, 간접적으로 관여되어 있는 현대인들은 기존의 전통적 가치체계의 근간이었던 이성중심의 위계적이고 단선적인 일방적 소통구조로부터 비위계적이고 비선형적인 ‘감각들 간의 지시연관’ 내지는 ‘이미지들 간의 연쇄’라는 복합적인 의미화 작용공간으로 이행하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과거 컨테이너 메타포로 이해되던 의미재현공간은 비가시적이고 비재현적인 의미화효과공간으로 재규정되고, 정신 또는 영혼의 담지체로서의 육체개념은 구성적이고 자기조직적인 탈 경계적 몸 개념으로 재정립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의미화 효과공간으로서의 공간의 재규정과 몸 개념으로서의 육체개념의 재정립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공간효과의 창출과 육체구성적인 작용에 직접적으로 기여하는 역동적인 커뮤니케이션의 장이 마련될 필요가 있으며, ‘자기 지시적(self-referential)’이고 ‘체계발생적인(system-generative)’ 독자적 이미지 창출 구조가 정립되어야 한다. 건축언어와 기호가 공간과 형태로 표현되는 역동적 커뮤니케이션의 장인 무역전시공간에서는 전시대상물과 전시환경으로서의 공간, 전달대상, 그리고 시간적 요소의 조합을 통해 의미와 가치를 전달하는 총체적인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진다. 즉자적이고 감각적인 현대인들에게 짧은 시간 내에 전시물에 대한 압축된 조망을 줄 뿐 아니라 전시물들과 인터렉티브한 작용을 하도록 해주는 총체적 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전시커뮤니케이션은 무엇보다 변화된 상황에서 요구되는 새로운 소통모델의 실현가능성일 것이다. 더 나아가 그러한 전시커뮤니케이션은 현대 자본주의 체제 내에서 상품이 갖는 탈 물신주의적 의미화 발생효과를 중심으로 만들어지는 복합적인 효과적 커뮤니케이션의 가능성조건이기도 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세계의 변화 및 인간의 지각방식의 변화에 대한 인식을 토대로 해를 거듭할수록 중요성이 더해지고 있는 커뮤니케이션의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의 문제와 이를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공간구성양태들 중의 하나로서 전시커뮤니케이션의 모델구성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주요 영역들을 연구대상으로 삼는다. 첫째, 다원적 커뮤니케이션의 이론적 배경에 해당되는 전체 연구의 첫 부분에서는 기존의 단선적 커뮤니케이션 이론 대신 보다 입체적인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구축하기 위한 이론적 배경을 역사적 논의맥락들로부터 추출해내어 재구성하는 작업이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기본적으로 심리적인 것과 물리적인 것이 일정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이러한 결합이 공간구성 내지는 공간감 구성의 문제에 있어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주장하는 논의맥락을 형성한 19세기 말 20세기 초 ‘심리물리학 (Psychophysik)’, ‘공간미학(Raumästhetik)’, ‘게슈탈트심리학(Gestaltpsychologie)’ 등의 이론적 논의들이 다원적 커뮤니케이션의 이론적 배경으로서 포괄적으로 분석된다. 분석과정에서는 다원적 전시커뮤니케이션을 구성하는 핵심적 개념들이 도출된다. 둘째, 다원적 커뮤니케이션의 이론적 체계를 다루는 장에서는 앞서 이루어진 다원적 커뮤니케이션 모델의 가장 전형적인 표현 체계로서 현대의 이미지와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이론체계들인 ‘루만(N. Luhmann)’, ‘볼츠(N. Boltz)’, ‘맥루한(M. McLuhan)’, '마노비치(L. Manovich)' 등의 매체이론, 현대 기호학과 전시미디어 이론들이 다각도로 다뤄진다. 또한 미디어 및 커뮤니케이션 이론체계들을 다루는 과정에서 다원적 커뮤니케이션 모델의 체계화 작용을 형성하는 핵심적 작용요소들이 해명된다. 셋째, 다원적 커뮤니케이션 모델구성 및 작용과 관련된 마지막 장에서는 다원적 커뮤니케이션 모델과 그 실제적 공간구성양태라고 할 수 있는 전시커뮤니케이션 간의 결합 고리로서 ‘뷜러(K. Bühler)’의 오르가논 모델이 전시커뮤니케이션 논의를 위한 다원적 커뮤니케이션 모델의 기본구조로서 상세히 고찰된다. 이미지의 독자적 작용체계를 근간으로 하고 있는 다원적 커뮤니케이션 모델이 전시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전형적으로 드러난다고 할 때, 주제와 메시지 등이 전시공간과 연출체계에 의해 전시공간과 관람객 사이의 의미화 작용으로 녹아들어가 이로부터 형성되는 역동적이고 복합적인 층위가 해명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기업이미지 묘사, 전시품 프레젠테이션, 관람객 커뮤니케이션을 하나로 이어주는 매개고리 역할을 하는 동시에 개별구성요소들과 각기 독자적인 관계를 갖는 가운데 역동적인 전체를 구성하기도 하는 전시커뮤니케이션 모델의 구성과 작용체계가 해명되어야 한다. 이와 더불어 단선적 의미전달이 아닌 의미화 작용공간을 다루는 다원적 커뮤니케이션 모델이 전시커뮤니케이션에 직접 적용될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해 구체적인 사례분석 작업이 이루어진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