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8 Download: 0

어머니의 낙관성 및 양육태도와 아동의 낙관성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Title
어머니의 낙관성 및 양육태도와 아동의 낙관성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Mothers’ Optimism, Parenting Attitude and their Child's Optimism on Child's Subjective Well-being : The Examination of Path Model
Authors
주지영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아동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성연
Abstract
본 연구는 어머니의 낙관성, 양육태도 및 아동의 낙관성이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위치한 2개의 초등학교 5,6학년에 재학 중인 331명의 아동(남아: 165명, 여아: 166명)과 대상 아동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였다. 어머니의 양육태도, 아동의 낙관성 및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은 아동보고용 질문지를 이용하였으며, 어머니 낙관성은 어머니보고용 질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어머니 낙관성은 Scheier, Carver와 Bridges(1994)의 LOT-R(the Revised Life Orientation Test)을 염영미(1998)가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어머니의 양육태도는 박영애(1995)가 개발한 양육행동검사를 김문정(2003)이 30문항으로 구성하여 만든 ‘아동용 양육행동척도'를 사용하였다. 아동의 낙관성은 Sydney와 동료들(2005)의 YLOT(the Youth Life Orientation Test)를 김주용, 이지연(2007)이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였고,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은 Diener(184, 1996)와 Diener와 동료들(2004), Ryff(1989), Ryff와 Keyes(1995)의 이론과 경험적 연구들을 참고하여 번안한 박병기와 홍승표(2004)의 척도를 박병기와 송정화(2007)가 수정, 보완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문제의 분석을 위해 AMOS 18.0을 사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각 변인간에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이용하여 결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낙관성이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직접경로를 살펴본 결과, 아동의 낙관성은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직접경로에서만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즉 아동이 매사 긍정적인 사고를 갖고, 낙관적 성향이 높을수록 아동 스스로가 지각하는 주관적 안녕감이 높았다. 그리고 어머니의 낙관성과 양육태도가 아동의 낙관성에 미치는 직접경로도 유의미하게 나타나, 어머니의의 낙관적 성향이 높고, 긍정적인 양육태도를 보일수록 아동의 낙관적 성향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낙관성과 긍정적 양육태도는 아동의 낙관성을 매개로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어머니가 낙천적 성격을 갖고있으면 아동 또한 낙관적 성향이 높았으며, 이러한 높은 수준의 아동의 낙관성을 보인 아동은 주관적 안녕감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가 긍정적인 양육태도를 보일수록 아동은 낙관적 성향이 높았으며, 이러한 높은 수준의 낙관성은 주관적 안녕감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아동의 낙관성은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어머니의 낙관성과 양육태도는 아동의 낙관성을 통해서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결과는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 발달에 아동의 낙관성 향상이 필수적임을 시사하며, 또한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과 낙관성 발달을 위해 어머니의 낙관적 성격과 긍정적인 양육태도가 매우 중요함을 시사한다. 이에 본 연구는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의 발달을 위해 아동의 낙관적 성향의 중요성을 입증함으로써, 아동의 낙관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중재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시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mothers' optimism, parenting attitude and child's optimism on their child's subjective well-be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331 pairs of mothers and their children from 5th and 6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currently attending schools in Seoul. Data were gathered via four questionnaires regarding mother's optimism reported by mother and parenting attitude, child's optimism, child's subjective well-being reported by children. Data were analys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AMOS 18.0. The main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the mothers' optimism, parenting attitude and child's optimism were positively related with their child's subjective well-being. second, child's optimism showed direct paths to child's subjective well-being. That is when child's optimism was higher, child's subjective well-being was high. Third, the relations between mothers' optimism and child's subjective well-being were mediated by child's optimism. Also relations parenting attitude and child's subjective well-being were mediated by child's optimism.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mothers' optimism and parenting attitude are the important antecedent variables in predicting child's subjective well-being as well as child's optimism. It is also suggested that child's optimism has a great influence on child's subjective well-being. This study underscores mothers' role in promoting their child's happines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