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26 Download: 0
소셜미디어 이용, 사회적 동조, 그리고 위험루머 유형이 수용자 인식에 미치는 영향
- Title
- 소셜미디어 이용, 사회적 동조, 그리고 위험루머 유형이 수용자 인식에 미치는 영향
- Other Titles
- Effects of Social Media Use, Social Conformity, and Risk Rumor Types on User’s Perception : Centering on Twitter
- Authors
- 오수민
- Issue Date
- 2012
- Department/Major
- 대학원 언론홍보영상학과
- Publisher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Degree
- Master
- Advisors
- 김영욱
- Abstract
-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social media use, social conformity, and risk rumor types on user’s perception centering on twitter. A 2(Twitter use) x 2(social conformity) x 2(risk rumor types) experimental design was employ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witter use and existence of social conformity was a significant factor influencing user’s trust and risk perception in risk rumor messages whereas risk rumor types was not a significant factor. Also, there is an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witter use and social conformity on user’s trust and risk perception in risk rumor messages, and there is an interaction effects among Twitter use, social conformity, and risk rumor types on user’s risk perception in risk rumor messages. This study indicates that Twitter use and the existence of social conformity plays a significant role especially in risk rumor related to social matters.;최근 소셜미디어 이용의 급증과 함께 소셜미디어와 관련된 여러 가지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이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빠른 정보 공유와 실시간 네트워킹, 인적 교류 활성화와 같은 소셜미디어의 긍정적인 측면에도 불구하고 부정적인 루머의 확산에 소셜미디어가 중심에 있었던 최근의 여러 가지 사건들을 보았을 때 소셜미디어 이용이 어떻게 루머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특히 루머란 ‘잠재적 위험의 상황에서 만들어지는 검증되지 않은 정보(Difonzo & Bordia, 2006)’로서 그 특성상 위험을 내재하고 있기 때문에 사회 전반에 큰 혼란을 가져올 수 있으며, 따라서 효과적으로 루머를 관리하는 것은 중요하며, 특히 위험을 내재한 ‘위험루머’를 관리하는 것은 사회 전반의 불신과 혼란을 미리 방지하거나 축소시킬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또한 이러한 루머가 빠르게 확산되고 부풀려지는 데에는 특히 사회적 분위기의 영향력이 크다. 한국사회에서 이슈가 되었던 루머들을 살펴보면 사람들은 사실 유무에 대한 확인을 하거나 객관적으로 사안을 살펴보기 보다는 단순한 쏠림현상, 즉 동조화 폭포현상으로 인하여 루머를 진실로 받아들이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폭포효과로 확산된 루머들은 수용자의 인식에 영향을 미쳐 엄청난 파급효과를 발휘하게 되며, 특히 수용자들의 위험인식은 개인적 차원과 사회적 차원의 위험 인식으로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이 두 가지 위험루머 유형에 따라서 수용자들의 위험 인식이 어떻게 차이가 나타나는지 살펴보는 것은 루머에 대한 위험인식을 살펴보는데 있어 의의가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소셜미디어 이용과 사회적 동조 유무가 위험루머에 대한 수용자 인식, 특히 위험루머에 대한 수용자의 신뢰도와 위험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소셜미디어 이용과 사회적 동조 현상이 위험루머 유형과 어떻게 상호작용하여 위험루머에 대한 수용자의 신뢰도 및 위험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세 변인의 연관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30대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하여 유형별 위험루머 시나리오를 제시한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 중 트위터 이용을 중심으로 한 연구이기 때문에, 가상의 언론사가 언론사 트윗에 확인되지 않은 위험루머 기사를 트윗하는 것으로 시나리오를 작성하였으며, 위험루머 유형과 사회적 동조 유무에 따라 4가지 시나리오로 작성되었다. 총 200명의 데이터 중 트위터 이용정도에 따라 데이터를 재분류하여 결과적으로 159명의 데이터를 최종 분석에서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먼저 트위터 이용 정도가 높을수록 위험루머에 대한 수용자의 신뢰도 및 위험인식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트위터를 오랜 시간 이용하고 트위터 내에서 상호작용 정도가 높은 사람은 위험루머를 접했을 때 트위터를 짧은 시간 이용하고 트위터 내에서 상호작용 정도가 낮은 사람보다 루머를 신뢰하는 정도와 위험을 인식하는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 사회적 동조가 있을수록 위험루머에 대한 수용자의 신뢰도 및 위험인식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적 동조가 있는 위험루머를 접하는 경우 사회적 동조가 없는 위험루머를 접하는 경우보다 루머를 신뢰하는 정도와 위험을 인식하는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로 사회적 동조 유무와 트위터 이용정도가 상호작용하여 위험루머에 대한 수용자의 신뢰도 및 위험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적 동조가 있을 때 트위터 이용정도에 따라 위험루머에 대한 수용자의 신뢰도 및 위험인식이 훨씬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네 번째로 위험루머 유형은 위험루머에 대한 수용자의 신뢰도 및 위험인식에 차이를 가져오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단순하게 루머가 개인적 위험인가, 사회적 위험인가의 여부는 수용자의 인식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 번째로 트위터 이용정도, 사회적 동조 유무, 그리고 위험루머 유형이 수용자의 위험인식에 대하여 삼원상호작용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트위터 이용정도가 높은 중이용자들은 사회적 위험과 관련된 루머를 접했을 때 사회적 동조 현상이 있으면 위험을 훨씬 더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면 트위터 이용정도가 낮은 경이용자의 경우 전반적인 위험루머에 대한 위험인식이 낮아 사회적 동조 유무와 위험루머 유형이 위험인식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소셜미디어 이용과 사회적 동조가 위험루머에 대한 수용자의 신뢰도와 위험인식에 영향을 미치며, 특히 위험루머 유형과 소셜미디어 이용 정도, 사회적 동조 유무는 상호작용하여 위험루머에 대한 수용자의 위험인식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정부와 기업의 위험루머 관리 전략의 수립시, 소셜미디어 이용정도와 사회적 동조 유무, 그리고 위험루머 유형에 따라 그에 알맞은 효과적인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소셜미디어의 경우 정보가 빠르고 쉽게 전파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사회적 동조가 있을 경우 그 특성상 루머가 더 빠르고 넓게 확산될 것이라 여겨지므로, 소셜미디어 이용과 관련된 루머 관리에 있어 폭포현상이 생기기전 신속한 대응이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이와 함께 트위터 이용정도와 위험루머 유형은 사회적 동조 현상과 상호작용하여 위험인식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소셜미디어 상의 위험루머 관리에 이를 반영하여 보다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공중과 커뮤니케이션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회 내에 심각한 피해를 초래할 수 있는 위험루머의 관리를 위한 소셜미디어 이용정도, 사회적 동조 유무, 위험루머 유형과 관련된 단서를 제공함으로써 PR분야의 위기관리 연구를 위한 토대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함의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Fulltext
- Show the fulltext
- Appears in Collections:
- 일반대학원 > 언론홍보영상학과 > Theses_Master
-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Export
- RIS (EndNote)
- XLS (Excel)
- X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