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3 Download: 0

아동·청소년 대상 학교 현장 음악치료에 관한 연구 분석

Title
아동·청소년 대상 학교 현장 음악치료에 관한 연구 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f the music therapy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in the school settings : A Review of the Overseas Literatures
Authors
안은경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송인령
Abstract
본 연구는 1990년부터 2011년까지 국외의 음악치료현장에서 연구된 아동·청소년 대상 학교 현장 음악치료 관련 학위 논문 및 학술지 논문 62편의 내용을 분석하여 국내 학교 현장에의 적용 가능성 및 국내의 음악치료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학교 내 음악치료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국외 논문들을 목표 영역, 학교급, 연구 형태, 진단 및 측정 도구, 음악적 중재에 따라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목표 영역은 크게 학습동기 강화, 학습 기술 향상, 상호작용 기술 강화, 외현화된 정서와 충동성 감소, 내재화된 정서와 우울감 감소, 음악적 능력 신장, 기타의 7개 영역이며 이 중 연구는 내재화된 정서와 우울감 감소 영역에서 가장 많이 실시되었으며 연구 수는 17편(27.4%)이다. 둘째, 학교급별 분석에서는 국외 학교 현장 음악치료의 초·중·고등학교 별 연구 빈도를 살펴보았는데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그리고 복합 영역으로 나누었을 때 초등학교 현장에서의 연구가 25편(40.4%)으로 가장 많았다. 셋째, 연구 형태에 따른 분석에서는 음악치료 연구 형태를 그룹, 개별, 복합, 그리고 기타로 분류하였다. 그 중 그룹 중재를 실시한 연구가 46편(74.2%)로 가장 많았다. 넷째, 측정 도구 측면에서 분석해 보면, 실험연구 26편과 기술연구 2편, 조사연구 1편의 총 29편이 객관적 검사 도구를 사용했으며, 사용된 검사 도구의 종류는 표준화 검사가 30개, 연구자 개발 척도가 6개였다. 영역별로는 학습 동기 강화 영역에서 2종류의 검사 도구가, 학습 기술 향상 영역에서는 6종류의 검사 도구가 사용되었다. 상호작용 기술 강화 영역에서는 10종류, 외현화된 정서와 충동성 감소 영역에서는 2종류, 내재화된 정서와 우울감 감소 영역에서는 10종류, 음악적 능력 신장 영역에서는 1종류, 기타 영역에서는 5종류의 검사 도구가 사용되었다. 다섯째, 음악적 중재별로 분석한 결과 62편의 연구에서 음악감상 및 토론과 즉흥 연주 기법을 가장 많이 사용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한 편의 연구에서 한 가지의 음악적 중재를 사용하기 보다는 여러 가지 중재를 사용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위의 결과들은 학교 내에서 이루어지는 음악치료에 대한 인식과 연구가 부족한 국내 음악치료 분야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일부 열어주었다고 볼 수 있다. 일반 학교 내에서 이루어진 연구만 선정하였기 때문에 분석 논문 수가 많지 않아 분석 된 내용의 일반화 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으나 학교 현장 음악치료의 적용 영역, 학교급별 적용, 연구 형태, 검사 도구에 따른 연구 주제 설정, 효율적 중재 방법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review the theses and journal dissertations published in foreign countries about the music therapy for the children and adolescents especially in the school settings. The research was conducted by selecting 62 literatures and by analyzing their goal field, grade level, grouping, test and rating scale and musical intervention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goal fields, it was found the field of decrease in internalized emotion and depression accounted the most of the studies as 17 studies(27.4%). The first field was followed by the field of strengthening the skills of interaction, improving the learning skills, decrease in externalized emotion and impulsivity, improving musical skills, strengthening the motivational learning end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grade level, it was found that the elementary school level accounted for most of the studie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grouping, the group intervention was accounted for most of the studies as 46 studies(74.2%). This field was followed by the field of the individual intervention, combined intervention ends.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est and rating scales for music therapy, the 30 types of standardized tests and the 6 types of researcher developed tests were applied for 29 studies. Fifth, as result of analyzing the musical interventions, music listening with discussion and improvisation accounted for most of the stud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domestic researches about the school setting music therapy program have to go one step ahead according to the conditions came from the researches. It is hoped that future studies will strike a balance among the exact school settings, their goal field, grade level, grouping, test and rating scale, musical interventions and the result as the effect to find more effective music therapy. In addition, in order to develop the music therapy into a more professional discipline, more researches focusing on specialized musical interventions appropriate for the school setting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