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5 Download: 0

과제 변인에 따른 한국어 학습자 간 상호작용 양상에 대한 연구

Title
과제 변인에 따른 한국어 학습자 간 상호작용 양상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Korean Language Learners' Negotiation of Meaning according to difference of tasks: Focusing on Dictogloss and Text-editing Tasks
Authors
강혜원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선희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inspect aspect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negotiation of meaning according to difference of tasks; dictogloss and text-editing tasks. The chapters of this study and its contents are as follows: In ChapterⅠ, the study identifies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e study and reviews the study flow of two tasks; dictoloss and text-editing tasks. And also looked at the previous studies of the negotiation of meaning in the 2nd language acquisition and corrective feedback to affirm the need and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After that, establishes the reasearch problems and presents topics. In Chapter II, this study describes the procedures of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ollaborative writing tasks of dictogloss and text-editing, explains the interactive hypothesis and the concept of negotiation of meaning by Long (1980) and summarizes the types of corrective feedback by Russel and Spada (2006) and the types of negotiation of meaning by Jin, Jae-hee (2006). It also contains detailed strategies by stage of negotiation of meaning based on the negotiation procedure by Lee, Sun-Woo (2005) among the existing studies on the interaction between Korean language learners. In Chapter III, this study refers to the research method and procedures. This study was conducted by giving dictogloss and text-editing tasks to 40 intermediate-level Korean language learners of various nationalities at Korean university institutes. A preliminary test was first conducted before main test and the conversations among learners were recorded, transcribed and analyzed. Then the differences in negotiations of meaning by each group based on a type was described. In Chapter IV, this study contains the analysis results. First, the text-editing task group was more actively engaged negotiations of meaning than the dictogloss group. Second, the type of negotiation of meaning seen between teacher-learner was also seen between learner-learner. Third, in dictogloss, recast most commonly occurred for grammar and repetition for vocabulary. In the text-editing task, recast and repair occurred more frequently than in dictogloss for both grammar and vocabulary. Forth, when the types of negotiations of meaning were analyzed by grouping the test items into 'already-learned' beginner/intermediate level vs. 'yet-to-learn' advanced level items, recast occurred most commonly in dictogloss and text-editing task for already-studied items, similar to negotiation of meaning by target items, whereas for yet-to-learn items, recast and repetition occurred most commonly for dictogloss and recast for text-editing task considering learners' affective aspect. In Chapter V, this study describe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This study takes a step further from the type of analysis in the previous research on negotiation of meaning between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compares with the analysis type on negotiation of meaning between Korean language teacher-learner. This study is valuable that it looked into the negotiation of meaning's type if typical type between teacher-learner could be shown in case of learners group. This topic has not been dealt with in the previous research. Furthermore, it examined which type of task draws more negotiation of meaning based on two writing-focused output tasks with different party of error, explicit provision of error and text reconstitution procedure. This puts more values on the research and could be referred in teaching the Korean language mainly focused on Korean language learners' negotiation of meaning.;본 연구의 목적은 문법 받아쓰기(Dictogloss)와 텍스트 수정 과제(Text-editing tasks)를 중심으로 과제 변인에 따른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어 학습자 간의 상호작용 양상을 밝히는 데 있다. 이러한 본 연구의 구성과 각 장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 과제 변인에 따른 학습자간 상호작용 양상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을 밝히고 선행 연구를 살펴봄으로써 문법 받아쓰기와 텍스트 수정 과제에 대한 기존 연구와 의미협상 및 수정적 피드백에 대한 연구를 정리하고 본 연구의 필요성과 의의를 재확인한 후 연구문제를 제시하였다. Ⅱ장에서는 협동적 쓰기 과제인 문법 받아쓰기와 텍스트 수정 과제의 절차를 기술하고 차이점을 정리하였으며 Long(1980)의 상호작용 가설과 의미협상의 개념을 설명하였고 Russel 과 Spada (2006)의 수정적 피드백의 유형과 진제희(2006)의 의미협상 유형을 정리하고 학습자와 학습자 간 상호작용을 연구한 기존 연구들에서 Gass와 Varonis (1985a)의 의미협상 과정을 참고하여 정리한 이선우(2005)의 의미협상 단계별 세부 전략에 대해 기술하였다. Ⅲ장에서는 본고의 연구 방법 및 절차를 밝히고 있는데, 본 연구의 실험은 국내 대학 기관에서 한국어를 학습하고 있는 중급 수준의 다국적 학습자 40명을 대상으로 ‘문법 받아쓰기’와 ‘텍스트 수정 과제’를 통하여 실시하였다. 실험은 예비실험을 거친 뒤 본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학습자 간 대화 상호작용을 녹음한 자료를 전사·분석하였다. 이후에는 본고의 의미협상 양상을 정의하는 분석의 틀을 바탕으로 각 집단 간 의미협상 양상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Ⅳ장에서는 분석 결과를 기술하였다. 첫째, 문법 받아쓰기 과제보다 텍스트 수정 과제 집단이 더 활발한 의미협상을 하였다. 둘째, 교사-학습자 간 의미협상 유형도 학습자-학습자 간 의미협상 시 나타났다. 셋째, 문법과 어휘항목에서 문법 받아쓰기의 경우 과제의 오류 생산의 주체에 따라 문법항목의 경우 고쳐 말하기, 어휘항목의 경우 반복 반응어가 가장 많이 발현되었고, 텍스트 수정과제의 경우는 문법 항목에서는 고쳐 말하기가, 어휘 항목에서는 바로잡기가 문법 항목의 경우보다 더 높은 빈도수를 기록하였다. 넷째, 과제별 선수 학습한 항목 여부로 학습자들이 선수 학습한 항목인 초, 중급 수준의 항목과 미 학습한 고급 수준의 항목에 대한 의미협상 유형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목표 항목에 따른 의미협상 양상과 같이 과제 특성의 차이로 선수 학습한 항목에서 문법 받아쓰기는 고쳐 말하기, 텍스트 수정 과제에서는 바로잡기가 가장 많이 나타났고, 미 학습한 항목에서는 문법 받아쓰기의 경우, 학습자의 정의적 측면이 고려되어 고쳐 말하기와 단순 반응어, 텍스트 수정 과제의 경우, 바로잡기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결론으로 연구의 의의 및 한계를 기술하였다. 본 연구는 먼저 학습자-학습자 간의 의미협상 양상을 연구한 선행연구의 분석의 틀에서 한 걸음 나아가 교수-학습자 간의 의미협상 양상을 연구한 분석의 틀을 함께 비교, 재정리하여 선행연구에서 다루지 않았던 과제를 통하여 동급의 숙달도를 가진 학습자 간에서도 교수-학습자 간의 의미협상 양상이 나타날지를 고찰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오류 생산의 주체, 오류의 명시적 제공, 텍스트의 재구성 절차가 다른 두 쓰기 중심 출력과제를 통하여 어떠한 과제가 더 많은 의미협상을 이끌어내는지를 고찰함으로써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한 한국어 교육 교수에 고찰할 만한 연구 결과를 제공할 수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