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방희정-
dc.contributor.author안제원-
dc.creator안제원-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58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58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217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42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2178-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 to investigate relationships between rapid automatized naming (RAN), executive functions (working memory, inhibition, shifting), and reading ability, and (2) to explore the predictive factor (rapid automatized naming, executive functions) for reading abilities in upper grade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the present study, the reading ability composed of reading fluency and reading comprehension was compared with the predictive factors for each reading ability which includes reading fluency and reading comprehens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9 fourth-grade students (24 boys and 35 girls) attending an elementary school in Kyongki province. The reading fluency was measured by BASA Reading test and reading comprehension was measured by KISE-BATT. Rapid automatized naming test designed by Hyunjung, Park was used. Various executive functions tests were used for the assessment of children, including CCTT, Stroop test, Digit span, Corsi blocks test. Data was analyzed by correlation and stepwise selection.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identifying relationships between reading ability (reading fluency and reading comprehension) and predictive factor (rapid automatized naming, executive functi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s showed reading fluency had high correlation with digit rapid automatized naming, verbal working memory, and inhibition, whereas it only had moderate correlation with shifting. On the other hand, reading comprehension demonstrated high correlation with shifting, and inhibition, while it exhibited little but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digit/object rapid automatized naming. Second, in order to investigative predictive factor to reading fluency, stepwise selection analysis was used. Digit rapid automatized naming, inhibition, verbal working memory were important variables contributing to reading fluency. Third, in testing the hypothesis of reading comprehension, stepwise selec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he results showed that predictive factors to reading comprehension were inhibition and shifting, while verbal working memory did not significantly predict reading comprehension. In sum, in the present study aimed at explor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reading fluency and reading comprehension in four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the results showed that predictive factor to reading fluency and reading comprehension varied.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important to identify factors that could affect reading fluency and reading comprehension in order to explore an effective reading strategy and a means of intervention in normal elementary children.;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빠른 이름대기, 실행기능 하위유형과 읽기능력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아동의 읽기 능력에 대한 빠른 이름대기, 실행기능 하위유형의 예측력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읽기능력을 읽기유창성, 읽기이해력으로 나누어 산출하였으며, 상관분석 및 단계선택법(stepwise selection)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4학년 학생 59명(남: 24명, 여:35명)으로, 검사는 1:1 개별검사 형태로 진행되었다. 읽기유창성은 기초학습기능검사(BASA)를 사용하고, 읽기이해력은 기초학력검사(KISE-BATT)의 독해 하위검사 중 문장완성, 어휘선택, 문장배열 하위검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빠른 이름대기는 박현정(2010)이 제작한 도구로 숫자, 낱자, 사물, 색깔 이름대기 하위소검사로 측정하였다. 다음으로 실행기능은 작업기억(언어 작업기억/시공간 작업기억), 전환능력, 억제능력으로 나누어서 측정하였다. 언어 작업기억은 WISC-III의 숫자 소검사로, 시공간 작업기억은 WAIS-III의 숫자 소검사를 문항으로 한 Corsi blocks 검사로 측정하였다. 또한 실행기능의 전환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신민섭과 박민주(2007)가 국내에서 표준화한 아동 색 선로검사(CCTT)를 실시하였으며, 억제능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국내의 신민섭, 구훈정(2007)이 표준화한 아동 색상 단어 검사(STROOP)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빠른 이름대기, 실행기능 하위유형과 읽기 능력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읽기유창성은 빠른 이름대기의 숫자, 사물, 색깔, 낱자 이름대기 하위검사와 언어 작업기억, 억제능력과 상당한 정적 상관을 전환능력과는 약간의 정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읽기이해력은 전환능력, 억제능력과 상당한 관련성을 보였으며, 빠른 이름대기 하위검사 중 색깔, 사물 이름대기와 작지만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산출됐다. 둘째, 읽기 유창성에 대한 빠른 이름대기와 실행기능의 예측력을 검증하고자 단계선택법을 실시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고학년의 읽기유창성에 대해 숫자 이름대기가 27.5%의 가장 많은 설명량을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억제능력(STROOP 색상단어)이 10.6%, 언어적 작업 기억 3.3%의 설명량을 가지고 유의하게 읽기유창성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읽기이해력에 대한 빠른 이름대기와 실행기능의 예측력을 알아보기 위해 단계선택법을 실시한 결과, 전환능력(CCTT-2)은 읽기 이해력의 22.3%를, 억제능력(STROOP 색상단어)은 읽기 이해력의 9.0%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언어 작업기억은 읽기이해력을 유의하게 예측하지 않았다. 종합하면, 고학년 아동의 읽기유창성, 읽기이해력을 예측하는 요인으로서 빠른 이름대기와 실행기능의 하위유형을 검증한 결과, 읽기유창성, 읽기이해력 간의 예측변인과 설명량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상아동의 읽기능력의 유형에 따라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효과적인 읽기 학습전략을 탐색하고, 적절한 개입방법을 모색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서론 1 A.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연구문제 4 II.이론적 배경 5 A.읽기능력 5 1.읽기의 심리적 과정 및 발달단계 5 2.읽기의 구성요소 8 B.빠른 이름대기 10 1.빠른 이름대기의 개념 10 2.빠른 이름대기와 읽기능력 11 C.실행기능 14 1.실행기능의 개념 14 2.실행기능과 읽기능력 17 III.연구방법 21 A.연구대상 21 B.연구절차 22 C.측정도구 23 1.읽기능력 23 2.빠른 이름대기 24 3.실행기능 24 D.자료분석 26 IV.연구결과 27 A.빠른 이름대기,실행능력과 읽기 능력 변인의 기술통계 분석 27 B.빠른 이름대기,실행기능과 읽기 능력 변인의 상관관계 분석 28 C.빠른 이름대기와 실행기능의 읽기 능력 예측력 검증 31 1.읽기 유창성에 대한 빠른 이름대기와 실행기능의 예측력 검증 31 2.읽기 이해력에 대한 빠른 이름대기와 실행기능의 예측력 검증 32 V.결론 및 제언 33 A.결과 요약 및 논의 33 1.읽기 유창성에 대한 빠른 이름대기와 실행기능의 예측력 검증 33 2.읽기이해력에 대한 빠른 이름대기와 실행기능의 예측력 검증 35 B.연구의 의의 및 제언 37 참고문헌 39 부록 50 ABSTRACT 5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4481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100-
dc.title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읽기능력 예측-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빠른 이름대기와 실행기능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Prediction of Reading Ability in Upper Gra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Rapid Automatized Naming and Executive Functions-
dc.creator.othernameAhn, Je Won-
dc.format.pageix, 6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12.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