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9 Download: 0

자유놀이 상황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전쟁놀이 양상과 영향을 주는 요인 및 의미 분석

Title
자유놀이 상황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전쟁놀이 양상과 영향을 주는 요인 및 의미 분석
Other Titles
An investigation on the aspects, factors and the meaning of children’s war play
Authors
김상아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엄정애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aspects of war play of children, the factors that cause such actions and meanings of these actions to children. The research mainly focused on the following three questions: 1. What are the aspects of war play of children during free play? 2. What are the factors that cause war play in children? 3. What meaning does war play hold for children?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ree-year-old children of Haneul class at Kkumbit kindergarten, located in Seoul. 20 children from Haneul class were subjects of this research. The data was collected from March 12, 2012 to April 26, 2012 for 26 times.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 videotaping, audio recording and document collecting. Based on video/audio clips and field notes, it was possible to come up with the fieldwork journals and the transcriptions of children’s play. As Bogdan and Biklen(2007/2010) suggested the data were coded and categorized. The results from the research are as follows : First, war play of children during free play is revealed to the play including make-believe which has the factor of exercise, and it is play fighting which is different from the real fighting, also has persistence tendency. War play starts with pretending some situations, roles, objects according to the episode including attack and fight. War play includes various physical actions and the factors of physical movement with tools. Moreover, as the play fighting which is different from the real fighting, children express their enjoyment during the play and they take agreed offensive and defensive actions with keeping a safe distance. When the attack without agreement occurs, quick apologies was offered. Lastly, war play is the play with persistence tendency, and children adapts various strategies to persist and to continue, not to conclude. They take a rest for a moment when they feel fatigued by excessive movement as they want to continue war play for a long time. Second, the factors affecting war play is found to be products featuring popular comic characters, media, gender stereotype, plays at home, the reaction of teachers. Children experience superhero characters related to war play and show attachment and attention, through the character products they owns. In addition, with the influence of media, superhero characters and war episodes that children receives from TV animation program are reflected to children's war play. Children are also under the influence of gender stereotype. In the situation of war play boys recognize girls to be protected or as a weakness, but in the actual play, girls are observed to participate in war play actively. Experience of playing at home also has an effect on children's war play, so the experience of play fighting and monster play with adults at home as well as the experience of commercial weapon toys used at home are found to affect the children's image of war play. Finally, children are conscious of the reactions of teachers and adults. Children expand war play when they feel teachers and adults react positively, and when children feel them react negatively, children switch to a different play or go to the another place to continue without teachers or adults. Third, the meaning war play holds for children are as follows. Above of all, children share peer culture and similar interests with friends through war play. Children can express friendship and some sense of kinship, realize the virtues of courage and justice, have some opportunity of experience and expression of superiority and self-confidence that actually they don't have, in terms of fantastic hypothetical situation. Sometimes conflicts may occur, but children can control the conflicts through their own emotional solution or requesting meditation by teachers.;본 연구는 유치원의 자유놀이 상황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전쟁놀이 양상과 전쟁놀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보고, 전쟁놀이가 유아들에게 주는 의미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선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자유놀이 상황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전쟁놀이 양상은 어떠한가? 2. 유아들의 전쟁놀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가? 3. 전쟁놀이는 유아들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가? 본 연구는 서울시 E구에 위치한 꿈빛유치원 만 3세 하늘반 유아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은 2012년 3월 12일부터 2012년 4월 26일까지 총 46일간 이루어졌으며, 총 26회의 참여 관찰, 비디오 촬영, 오디오 녹음, 문서 수집을 통해 자료가 수집되었다. 본 연구자는 비디오 녹화 내용과 오디오 녹음 자료, 현장 약기 내용을 바탕으로 현장 기록 전사본을 작성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Bogdan과 Biklen(2007/2010)이 제시한 대로 부호화하고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유놀이 상황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전쟁놀이는 가작화를 포함하는 놀이로서, 운동적 요소가 있고, 실제 싸움과 구분되는 싸움 놀이이며, 지속성이 있는 놀이인 것으로 그 양상을 드러냈다. 전쟁놀이는 유아가 공격이나 싸움을 내포한 에피소드에 맞춰 상황, 역할, 사물을 가작화하는 것으로 시작되었다. 전쟁놀이는 다양한 신체 움직임과 도구를 사용한 신체 운동적 요소를 포함하고 있었다. 또한 실제 싸움과 구분되는 싸움 놀이로서 유아들은 놀이 중 즐거움을 표현하고, 안전한 간격을 유지한 채 합의된 동작으로 공격과 방어 동작을 취하였으며, 실수로 공격한 상황에서는 바로 사과가 이루어졌다. 마지막으로 전쟁놀이는 지속성이 있는 놀이로, 유아들은 전쟁놀이를 종결하지 않고 유지하거나 연장하기 위한 다양한 전략을 사용하였으며, 과도한 움직임으로 피로감을 느낄 때에는 잠시 휴식을 취함으로써 전쟁놀이를 오랫동안 지속하고자 하였다. 둘째, 전쟁놀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캐릭터 상품, 미디어, 성 고정관념, 가정에서의 놀이, 교사의 반응으로 나타났다. 유아들은 자신이 소지한 캐릭터 상품을 통해 전쟁놀이와 관련된 영웅 캐릭터를 경험하고 있었으며, 애착과 관심을 보였다. 또한 미디어의 영향으로 유아들의 전쟁놀이에는 TV 애니메이션을 통해 접하는 영웅 캐릭터와 전쟁 에피소드 등이 반영되어 나타나고 있었다. 또한 유아들은 성 고정관념의 영향을 받고 있었는데, 전쟁놀이 상황에서 남아들은 여아들을 보호해야 할 대상 혹은 약한 존재로 인식하고 있었지만 실제 놀이에서는 여아들도 적극적으로 전쟁놀이에 참여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가정에서의 놀이 경험도 유아들의 전쟁놀이에 영향을 주어 가정에서 성인과 함께 해 본 괴물 놀이, 싸움 놀이와 더불어 가정에서 사용하는 상품화된 무기 놀이감의 놀이 경험이 유아들의 전쟁놀이 이미지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유아들은 교사 및 성인의 반응을 의식하고 있었으며,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다고 느낄 때는 전쟁놀이를 확장하고 부정적인 반응을 보인다고 느낄 때는 다른 놀이로 전환하거나 교사나 성인이 없는 공간으로 이동하여 놀이를 지속하였다. 셋째, 전쟁놀이가 유아들에게 주는 의미는 다음과 같았다. 우선 유아들은 전쟁놀이를 통해 같은 관심사를 가진 친구들과 또래 문화를 공유하고 있었다. 또한 전쟁놀이를 통해 유아들은 우정과 동질감을 표현하였고 용기와 정의의 덕목을 실현할 수 있었으며, 환상적인 가상 상황이라는 점에서 유아가 실제로 갖지 못한 우월감과 자신감을 경험하고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 때로는 갈등이 발생하기도 하였지만 유아는 나름대로 감정을 해소하거나 교사의 중재를 요청함으로써 갈등을 조절하고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