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2 Download: 0

청소년, 노인의 인식된 짐스러움, 절망감, 우울 및 자살생각의 관계

Title
청소년, 노인의 인식된 짐스러움, 절망감, 우울 및 자살생각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among the Perceived Burdensomeness, Hopelessness,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of Adolescents and Older Adults.
Authors
추경진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승연
Abstract
자살은 스스로의 의지적인 행동으로 목숨을 끊는 행위를 말하는 것으로써, 개인적 차원의 문제를 넘어 사회적으로도 많은 손실을 초래하기 때문에 자살의 예방은 매우 중요하다. 자살생각은 자살에 대한 생각을 이르는 것으로써 자살계획, 자살시도보다 앞선 것으로 여겨지기 때문에 자살예방을 위해서는 자살생각의 예방과 개입이 필요하다. 이에 대한 기존의 자살 연구들은 특정연령집단에 국한하여 조사하였다. 그러나 상이한 연령집단에 대한 연구는 자살의 유사성과 차이성을 조망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에 더 효과적인 개입방법을 고안하게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심각한 자살현황을 나타내고 있는 청소년과 노인을 대상으로 설정하여 비교 연구하고자 하였다. 자살은 많은 경우 여러 단계를 거치며 점진적으로 이루어진 일종의 의사결정과정으로 볼 수 있는데 특히 부정적인 인지는 자살에 이르게 하는 핵심요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점진적인 자살생각으로의 과정에서 선행연구들은 부정적 인지요인으로써 미래에 대한 부정적인 기대감인 절망감과 부정적 정서요인인 우울을 주요한 변인으로 설정해왔다. 본 연구는 자살생각으로의 경로에서 부정적인 인지과정을 정교히 할 수 있도록 새로운 부정적인 인지요인으로 인식된 짐스러움을 설정하였다. 인식된 짐스러움은 대인관계에서 경험할 수 있는 부정적인 인지로써 자신의 존재가 타인에게 짐이 된다고 생각하는 것이며 자살생각에 영향을 주는 위험요인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인식된 짐스러움은 절망감의 원인이 되며 인식된 짐스러움이 절망감을 매개로 하여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에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식된 짐스러움, 절망감, 우울, 자살생각 간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이에 대한 청소년집단과 노인집단의 차이가 나타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식된 짐스러움, 절망감, 우울, 자살생각에 있어 청소년집단과 노인집단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모든 변인에서 차이가 발견되었으며, 청소년에 비해 노인이 모든 변인에서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각 집단에 따라 주요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든 변인들간의 상관은 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가장 상관이 높은 것은 우울이었고 노인의 자살생각에 가장 상관이 높은 것은 절망감이었다. 또한 상관관계의 집단 간 차이를 검증한 결과 노인이 청소년보다 인식된 짐스러움과 절망감, 절망감과 우울, 절망감과 자살생각 간의 상관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청소년은 노인보다 우울과 자살생각 간의 상관이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주요 변인들 사이에 어떠한 구조적 관계가 존재하는지 살펴본 결과, 인식된 짐스러움은 자살생각에 대한 직접 경로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시에 인식된 짐스러움은 우울과 절망감에도 유의미한 경로를 가지며, 절망감과 우울을 매개하여 자살생각을 설명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넷째, 주요변인들의 구조적 관계에서 집단 간 차이가 있는가를 검증하고자 다집단 분석을 실시한 결과 인식된 짐스러움에서 절망감으로, 절망감에서 우울로, 절망감에서 자살생각으로 가는 경로계수는 청소년보다 노인에게서 더 높게 나타났다. 반면 우울에서 자살생각으로 가는 경로계수는 청소년이 노인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는 달리 인식된 짐스러움에서 자살생각, 인식된 짐스러움에서 우울로 가는 경로는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다섯째, 인식된 짐스러움과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절망감과 우울의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인식된 짐스러움이 절망감을 매개로 하여 자살생각을 설명하는 간접효과와 우울을 매개로 한 간접효과, 그리고 절망감과 우울을 매개로 하여 자살생각을 설명하는 간접효과 모두 청소년과 노인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노인집단에서는 인식된 짐스러움과 자살생각 간의 관계에서 절망감의 간접효과가 자살생각에 대한 인식된 짐스러움의 직접효과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결과들이 의미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기존의 자살연구들은 주로 청소년과 성인을 대상으로 했었지만, 본 연구에서 노인이 자살생각을 비롯하여 관련 위험요인들을 청소년보다 많이 경험하는 것을 확인함에 따라 노인의 자살생각과 그 위험요인에 대한 연구가 매우 필요한 실정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새로운 변인으로 제시한 인식된 짐스러움은 자살생각에 직, 간접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이러한 영향은 청소년과 노인에서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청소년과 노인에 대한 자살개입에 있어서 인식된 짐스러움이 공통적으로 다뤄져야할 위험요인임을 시사한다. 한편, 노인에 비하여 청소년의 자살생각은 우울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인의 자살생각은 청소년에 비하여 절망감에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차이에 근거하여 자살예방개입에 있어서 각각 차별화된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하는 결과라고 볼 수 있다.; Suicide is the act of taking one’s own life intentionally. Since it does not only brings in personal issues but also results in a big loss in the society, the prevention of suicide is really important. Particularly, the suicide ideation, which refers to the ‘thinking of suicide’ needs to be prevented and intervened as it is considered to be a step prior to suicidal plans and attempts, so it is necessary to prevent and intervene in the suicide ideation. The scope of existing suicide researches about suicide ideation is limited to the specified age groups. However, the research among the different age groups reveals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 of their suicides, helping in devising a more effective way of intervening in suicide ideation. This research aims to compare adolescents and older adults who have recently shown a large number in suicide stats. In many cases, suicide can be considered as a kind of progressive decision making process that passes several stages, particularly, the negative recognition could be a critical factor in deciding one’s own death. Precedent studies have established that throughout such progressive process of suicidal ideation, hopelessness, the negative expectation and depression, the negative emotional factor are the two main variances of negative recognition. This research has added an establishment of perceived burdensomeness as a new factor of negative recognition in purpose to elaborate on the negative recognition process during the pathway to the suicidal ideation. Perceived burdensomeness is a negative recognition that can be experienced through the personal relationship. It represents a belief that his or her existence is a burden to the others, and it is identified as a risk factor for suicidal ideation. Moreover, in accordance with the precedent studies, perceived burdensomeness is a cause of hopelessness and the perceived burdensomeness could affect in suicidal ideation by mediating hopelessness, thus this research focused on identify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burdensomeness, hopelessness,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and identify if there is a difference among adolescents and older adults. The major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investigation of perceived burdensomeness, hopelessness,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between adolescents and older adults, showed a difference in every variance, and older adults had higher variances than adolescents. Second, analysis of relationships among the major variances has revealed that they are positively correlated. For adolescents, depression was the most highly related variance of suicidal ideation while it was hopelessness for older adults. Furthermore, the investigations on the difference of variance relativity of different groups showed that relativities among perceived burdensomeness and hopelessness, hopelessness and depression, hopelessness and suicidal ideation were greater for older adults than for the adolescents. Third, the examination of the existence of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major variances showed that the perceived burdensomeness has a direct path to the suicidal ideation. At the same time, it also has a meaningful path to both hopelessness and depression, which leads to the suicidal ideation by mediating them. Fourth, the multi-group analysis for investigating the difference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major variances of different groups has revealed that the Path Coefficients from perceived burdensomeness to hopelessness, from hopelessness to depression, and from depression to suicidal ideation were larger for older adults than adolescents. On the other hands, the path from perceived burdensomeness to suicidal ideation, and from the perceived burdensomeness to depression had shown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ifferent groups. Lastly, the investigation of the mediating effects of hopelessness and depression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burdensomeness and suicidal ideation have indicated that there were some meaningful indirect effects for both older adults and adolescents, which includes the indirect effect of perceived burdensomeness that explains the suicidal ideation by mediating the hopelessness, by mediating depression, and by mediating both hopelessness and depression. Moreover, it is indicated that for the older adults group, indirect effects of depression were more severe in the relationship of perceived burdensomeness and suicidal ideation than the direct effect of perceived burdensomeness on suicidal ideation The above results implies that the previous studies on suicide were focused on adolescents and younger adults, but from this research, the older adults were actually experiencing more of suicidal ideation and related risk factors compare to adolescents. Therefore, the studies regarding the suicidal ideation of older adults and corresponding risk factors are inevitable. In addition, the perceived burdensomeness, which had been presented in this research as a new variance that affects the suicidal ideation, had similar direct and indirect affects on suicidal ideation for both adolescents and older adults. This implies that the perceived burdensomeness has to be considered for both adolescents and older adults to intervene in their suicides. Meanwhile, the suicidal ideation of adolescents was shown to be more affected by depression than older adults while older adults were more affected by hopelessness.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specialized suicide preventing interventions for different groups are in ne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