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9 Download: 0

목표유지가 청년과 노인의 스트룹 간섭에 미치는 영향

Title
목표유지가 청년과 노인의 스트룹 간섭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Age and Goal Maintenance on The Stroop Interference
Authors
정유진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혜원
Abstract
The Stroop task in which one has to focus one dimension of stimuli has been widely used in the studies of selective attention (Kane & Engle, 2003; MacLeod, 1991; Spieler, Balota, & Faust, 1996; Stroop, 1935). In a typical Stroop task, participants are asked to name the color of ink in which a color-word is printed. The Stroop interference reflects the increase in response latency to name the color of ink when the color of ink and the meaning of the color-word are incongruent compared to response latency when the to be named color is identical with the meaning of the color word (Kane & Engle, 2003; West & Baylis, 1998). According to Kane and Engle (2003), the Stroop interference is determined by two independent components, competition resolution and goal maintenance. That is, an attentional control process to resolve the response competition between 'word reading' and 'color naming' could only be engaged when the task goal, 'color naming', is actively maintained in the memory. If the Stroop interference is influenced not only by competition resolution but also by goal maintenance, then one would have difficulty in resolving the Stroop interference in the context, which does not reinforce goal maintenance. Moreover, one who is less efficient in maintaining a task goal is more vulnerable to the Stroop interference in this situation. According to Kane and Engle (2003), the effect of goal maintenance on the Stroop interference depends on the task context. The goal maintenance is affected by the proportion of congruent trials in a mixed block of incongruent trials and congruent trials. In a pure block of incongruent trials, only 'color naming' leads a correct response and every incongruent trial reinforces the goal 'to name the color of ink' or 'not to read the word'. However, on congruent trials in the mixed block, 'word reading' leads the same correct response as 'color naming', therefore, the congruent trials encourage goal neglect. Thus, based on Kane and Engle (2003), it is predicted that as the proportion of congruent trials in a mixed block increases, participants have more difficulty in maintaining goals and the transient failure of goal maintenance causes the Stroop interference increase. Thus, it is expected that an individual who has difficulty in maintaining a goal is more vulnerable to proportion of congruent trials when conducting a Stroop task. Based on previous research(Braver & West, 2008; De Jong, 2001; Paxton, Barch, Racine, & Braver, 2008; Rush, Barch, & Braver, 2006), which claim that age-related deficit in the ability to maintain task goals, older adults who is less efficient in a maintaining task goal is more vulnerable to the Stroop interference in increase the proportion of congruent tria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goal maintenance on the Stroop interference by manipulating the proportion of congruent trials and to examine whether the age difference in the Stroop task is magnified under the condition of high proportion of congruent trials. In this study, two experiments were performed. The first experiment was a preliminary experiment to examine the influence of goal maintenance on the Stroop interference by manipulating the proportion of congruent trials. In the first experiment, two variables were manipulated: trial type and proportion of congruent trials. There were two types of trial. In a congruent trial, each color word was presented in its corresponding ink color. In an incongruent trial, each color word was presented in a non-matching ink color. According to the proportion of congruent trials, there were three conditions (20%, 50%, 80%congruent block). The second experiment was designed to examine whether the age difference in the Stroop task performance varies as a function of the proportion of congruent trials. In the second experiment two, there were two age groups: older and younger. Vocabulary scores and years of education were controlled across age groups. Two proportion of congruent conditions (20%, 80%congruent block) were us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 Stroop interference increased as the proportion of congruent trials increased. Second, Stroop interference was larger in the older adults than in the younger adults. Third, the age difference in the Stroop task was magnified when the proportion of congruent trials was high. These results show that the Stroop interference increases when the goal maintenance is most critical and the age-related difference in the Stroop interference increases when the maintenance of the goal is most critical.;스트룹 과제는 자극으로 제시되는 색단어에서 단어의 의미가 아닌 단어가 칠해진 잉크 색을 명명해야하는 과제로서 자극에 포함된 여러 속성 중 한 속성에 대해서만 반응해야하는 대표적인 선택적 주의(selective attention)과제이다(Kane & Engle, 2003; MacLeod, 1991; Spieler, Balota, & Faust, 1996; Stroop, 1935). 스트룹 간섭(Stroop interference)은 색단어가 그 단어의 의미와 같은 잉크 색으로 칠해진 일치시행보다 색단어가 그 단어의 의미와 다른 잉크 색으로 칠해진 불일치시행의 수행에서 반응시간과 오류율이 증가하는 현상을 말한다(Kane & Engle, 2003; West & Baylis, 1998). Kane과 Engle(2003)은 스트룹 간섭의 해결이 효율적인 반응경쟁해결(competition resolution)과 목표유지(goal maintenance)라는 두 가지 기제에 달려있다고 본다. 반응경쟁해결은 자극으로 제시되는 단어의 의미 정보에 대한 활성화 억제를 통해 ‘단어읽기’반응과 ‘색명명’반응 간의 경쟁을 해소하는 것을 의미하며 목표유지는 ‘색명명’이라는 과제목표를 기억에 활성화 상태로 유지하는 것으로, 과제목표가 기억에 활성화상태로 유지되었을 때 비로소 반응경쟁을 해결하기 위한 주의적 처리과정이 개입할 수 있다. 스트룹 과제의 수행이 반응경쟁해결 뿐만 아니라 목표유지라는 서로 다른 기제에 의해 결정된다면, 목표유지를 강화시켜주지 못하는 맥락에서 스트룹 간섭해결에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고 예측해 볼 수 있으며, 목표유지에 어려움을 겪는 개인일수록 스트룹 간섭해결에 더 큰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고 예측해 볼 수 있다. 목표유지가 스트룹 간섭에 미치는 영향은 과제맥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Kane과 Engle(2003)에 따르면, 목표유지는 일치시행비율에 따라 달라 질 수 있다. 불일치시행만 제시되는 블록에서는 ‘색명명’ 반응을 할 때에만 옳은 반응을 할 수 있으므로 지속적으로 ‘색명명’이라는 과제목표가 강화될 수 있다. 하지만 일치시행과 불일치시행이 혼합되어 나타나는 블록에서 일치시행은 ‘색명명’이 아닌 ‘단어읽기’ 반응을 하여도 과제를 수행하는 데 문제가 없기 때문에 목표무시(goal neglect)가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일치시행의 비율이 증가 할수록 목표유지가 어려워지고 스트룹 간섭은 증가할 것이라고 예측된다. 이는 목표유지에 어려움을 겪는 개인의 스트룹 과제 수행은 일치시행비율의 조작에 더 민감하게 반응할 것이라는 예측을 가능케 한다. 노화에 따라 목표유지능력에 쇠퇴가 일어난다고 보고하는 선행연구결과들(Braver & West, 2008; De Jong, 2001; Paxton, Barch, Racine, & Braver, 2008; Rush, Barch, & Braver, 2006)을 고려해볼 때, 노인은 스트룹 간섭을 해결하는 데 있어서 청년보다 일치시행비율의 조작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할 것으로 예측해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치시행비율 조작을 통해 목표유지가 스트룹 과제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목표유지가 스트룹 간섭해결에 관여한다면, 일치시행비율 조작에 따른 목표유지의 어려움이 청년과 노인의 스트룹 과제 수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두 개의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Ⅰ은 일치시행비율 조작을 통한 목표유지정도의 차이가 스트룹 간섭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살피기 위하여 실시하였고, 두 개의 변인이 조작되었다. 첫 번째 변인은 시행유형으로 색단어의 의미와 단어가 칠해진 잉크색깔이 일치하는 일치시행과 색단어의 의미와 단어가 칠해진 잉크색깔이 다른 불일치시행 두 가지 시행유형이 있다. 두 번째 변인은 일치시행비율로 블록 내 일치시행비율에 따라 20%, 50%, 80%블록 세 가지 비율조건이 있다. 실험 Ⅱ는 일치시행비율조작을 통한 목표유지의 어려움이 노인의 스트룹 과제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진행하였다. 실험 Ⅱ에서 청년과 노인 두 집단의 참가자를 모집하였으며, 두 집단 간 참가자의 교육년수와 어휘력을 통제하였다. 실험 Ⅱ의 일치시행비율 변인은 일치시행비율 20%블록과 80%블록, 두 가지 비율조건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트룹 간섭은 블록 내 일치시행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목표유지가 어려울수록 스트룹 간섭이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청년보다 노인의 스트룹 간섭이 더 컸다. 노인은 청년보다 ‘단어읽기’반응과 ‘색명명’ 반응 간의 경쟁을 해결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스트룹 간섭의 연령차는 일치시행비율이 높은 조건에서 더 컸다. 목표유지가 어려운 상황에서 노인이 청년보다 스트룹 과제 수행에 더 어려움을 겪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