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0 Download: 0

또래 괴롭힘 피해와 우울, 불안 관계에서 소극/회피적 대처행동과 공격적 대처행동의 매개효과

Title
또래 괴롭힘 피해와 우울, 불안 관계에서 소극/회피적 대처행동과 공격적 대처행동의 매개효과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Victimization and Depression/ Anxiety: Meditating Effects of Passive/Evasive Behavior and Aggressive Behavior
Authors
이선미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유성경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또래 괴롭힘 피해수준과 우울, 불안 관계에서 소극/회피적 대처행동과 공격적 대처행동이 매개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구조 모형 방정식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기존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또래 괴롭힘 피해 수준이 우울에 대해 직접적인 영향력을 갖는 동시에 두 변인의 관계를 소극/회피적 대처, 공격적 대처행동이 매개할 것으로 가정하고 연구모형을 설정 하였다. 또한 또래 괴롭힘 피해 수준이 불안에 대해 직접적인 영향력을 갖는 동시에 두 변인의 관계를 소극/회피적 대처, 공격적 대처행동이 매개할 것으로 가정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분석 결과, 두 연구모형 모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나 연구모형을 최종 구조 모형으로 채택하였다. 연구를 위해 서울시와 경기도에 위치한 3개의 초등학교 5-6학년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배부된 총 600개의 설문지 중 불성실하게 응답하거나 설문에 응답하지 않은 68명을 제외한 532명을 최종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첫째, 또래 괴롭힘 피해 수준과 우울 관계에 있어서 스트레스 대처행동을 매개변인으로 분석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소극/회피적 대처행동은 또래 괴롭힘 피해 수준과 우울 관계를 유의미하게 부분적으로 매개하였으나, 공격적 대처행동은 두 변인간의 관계를 매개하지 않았다. 또래 괴롭힘 피해수준이 공격적 대처행동에 대해 정적인 관계만 가질 뿐, 공격적 대처행동이 우울에 대해서는 아무런 유의미한 관계를 가지지 않았다. 경로 계수를 살펴 보면, 또래 괴롭힘 피해 수준이 우울로 가는 경로계수 보다 소극/회피적 대처 행동을 매개로 하여 우울로 가는 경로계수가 더 크게 나타났다. 즉, 또래 괴롭힘 피해 수준이 소극/회피적 대처행동을 매개로 할 때 우울을 더 높인 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또래 괴롭힘 피해 수준과 불안 관계에 있어서 스트레스 대처행동을 매개변인으로 분석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소극/회피적 대처행동과 공격적 대처행동은 또래 괴롭힘 피해 수준과 불안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였다. 경로계수를 살펴보면, 또래 괴롭힘 피해 수준이 불안으로 가는 경로계수보다 소극/회피적 대처 행동, 공격적 대처행동을 매개로 하여 불안으로 가는 경로계수가 더 크게 나타났다. 이는 소극/회피적 대처행동, 공격적 대처행동을 매개로 할 때 불안이 더 높아 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종합해 보면, 또래 괴롭힘 피해수준과 우울 관계에서 소극/회피적 대처행동이 매개효과를 보였고, 소극/회피적 대처행동과 공격적 대처행동이 불안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보였다. 우울과 불안에 영향을 주는 대처행동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볼 때, 또래 괴롭힘 피해자의 대처행동에 따라 우울과 불안에 따른 각기 다른 개입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우울과 불안 사이 각기 다른 정서적 특징이 있음을 보여주며, 이는 우울과 불안을 하나의 부정적 정서로 포함시킬 것이 아니라 두 가지 정서적 특징을 세분화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소극/회피적 대처행동과 공격적 대처행동이 또래 괴롭힘 피해 수준과 우울, 불안관계에서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구조모형방정식을 사용하여 통합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는 앞으로 피해자들을 대상으로 한 상담 장면에서 대처행동의 변화를 시도하여 부정적 정서를 감소시키는 데 있어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s of passive/evasive behavior and aggressive behavior on the link between peer victimization, and depression and anxiety using a structural equations modeling (SEM) approach. Data were gathered from 600 children in 5th and 6th grade in 3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Responses(n=532) from the Participant Role Questionnaire(PRQ), Stress Coping Behaviors,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CDI) and Revised Children's Manifest Anxiety Scale (RCMAS) were used in the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assive/evasive coping behavior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victimization and depression. Although Aggressive coping behavior had no mediation effect. Correlations revealed positive associations between peer victimization and aggressive coping behavior. The results suggest that passive/evasive coping behavior partially accounted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victimization and depression. Second, passive/evasive coping behavior and aggressive behavior both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victimization and anxiety. The finding demonstrated that passive/evasive coping behavior and aggressive behavior partially accounted for the links between peer victimization and anxiety. The findings of this study ascertained (a) the mediating effect of the Passive/evasive coping behavior on the peer victimization and depression, (b) the mediating effects of passive/evasive coping behavior and aggressive behavior on the peer victimization and anxiety. Employing appropriate coping behaviors would be an effective way to help sooth the negative emotions produced from peer victimization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counseling intervention for peer victimization counseling were discuss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