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891 Download: 0

청소년 문제와 자아실현

Title
청소년 문제와 자아실현
Other Titles
The Adolescence Problem and Self Realization: Focused on Honneth's Concept of Recognition
Authors
김지선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도덕·윤리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남경희
Abstract
본 연구는 청소년기의 발달과정에서 나타나는 혼란과 인정(Anerkennung)에 대한 욕구에 대해 살펴보고, 청소년기의 문제 행동을 인정의 부재 즉, 무시나 소외에서 비롯된 빗나간 인정투쟁의 일환으로 이해해보고자 한다. 우리가 무언가와 관계를 맺기 위해선 관계 맺고자 하는 대상의 특성을 제대로 알아야 한다. 마찬가지로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하는 문제에 앞서 가르치는 대상인 청소년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최근 청소년 문제의 심각성은 기존의 학교가 행해 온 교육에 대해 다양한 관점에서 비판적 논의를 야기시켰으며, 인성교육의 필요성과 방법에 대해서도 재고찰을 요구하게 되었다. 그러나 학교와 교사의 꾸준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청소년 문제는 왕따, (성)폭행, 금품 갈취 등 그 수준이 어른의 범죄를 넘어서고 있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자신들이 저지르고 있는 악행들이 잘못된 것인지 조차 인식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청소년기는 급격한 신체의 변화와 더불어 심리적 혼란이 발생하기 때문에 질풍노도의 시기라 불리며 사회 적응의 어려움을 겪게 된다. 그러나 실제로 모든 청소년이 이 시기를 질풍노도의 시기로 보내는 것은 아니다. 미국의 정신분석학자 에릭 홈부르거 에릭슨(Erik Homburger Erikson)은 청소년기가 특별히 질풍노도의 시기일 이유는 없다고 보았다. 물론 청소년기에 겪는 자아정체감 확립 등의 여러 가지 어려움 때문에 질풍노도 일 가능성은 내제해 있지만, 인간이 살면서 생애의 각 단계마다 겪어야 할 위기와 거쳐야 할 발달과업이 있기 때문에 청소년기만 특히 더 힘들고 넘기기 어려운 격동기가 되어야 할 이유는 없다는 것이다. 가정, 학교, 사회에서 이 시기에 적절한 관계맺음을 통한 교육이 이루어진다면 청소년들은 건강한 가치관 형성과 자아실현의 밑거름을 다질 수 있다. 하지만 우리의 교육 현실은 청소년들을 입시지옥으로 몰아넣고 획일화된 지식과 가치관을 갖추기를 강요한다. 청소년기에는 특히 주는 대로 먹고 입혀주는 대로 입던 수동적 인간에서 본인의 의사가 분명한 적극적 자아를 형성해 가는 인간이 됨에 따라 부모나 교사의 일방적이고 획일화된 교육방법은 통하지 않는다. 교육함에 있어서 지식이나 가치의 전달은 없어서는 안 될 매우 근본적인 과정이다. 그러나 교사는 교육내용을 가르칠 뿐만 아니라 인간을 가르치는 일을 한다는 교육활동에 주목해야 하며 이 두 가지 일은 독립된 두 가지 활동이 아님을 잊지 말아야 한다. 교사가 학생에게 교육내용을 가르쳤다면, 교사는 학생과의 인간적인 접촉을 통해 이미 학생의 인격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주고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여야 한다. 이 포괄적인 연쇄 가운데 교사와 학생 사이에 상호인정의 부재가 일어나면 청소년 문제라는 파열음이 발생하고 마는 것이다. 이에 필자는 청소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악셀 호네트(Axel Honneth)의 인정 개념을 제시한다. 호네트는 자신의 저서 『인정투쟁』에서 헤겔(Hegel)의 인정 개념에 조지 허버트 미드(George Herbert Mead)의 자아이론을 끌어들여 인정에 대해 설명한 바 있다. 나는 그가 이야기 한 인간의 삶의 궁극적 목적이라고 할 수 있는 개인의 자아실현과 사회적 인정사이의 관계성에 대해 밝히고, 이러한 인정을 바탕으로 한 관계맺음을 실천함으로써 청소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보았다. 학생들은 어떤 상황에서든지 교사로부터 그들에 대한 사랑과 관심과 격려를 원하며, 또한 학생들은 타당성 있고 공정한 개입이라고 인정할 경우에만 교사의 언행을 긍정적으로 지각한다. 여기서 우리는 청소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교육적 방법은 학교생활 전반에서 교사-학생간의 상호주관적 인정을 통해 지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교육에 있어서 인정을 바탕으로 한 관계맺음의 중요성을 드러낸다. 물론 어떠한 개인도 항상 긍정적인 상호주관적 관계만을 맺진 못한다. 인정의 대척점에 모욕이나 굴종과 같은 '무시'라는 무시무시한 범주가 도사리고 있다. 인정은 긍정적인 자아 정체성을 형성시키는 힘이지만, 반면 무시는 주체에 엄청난 심리적 훼손을 가한다. 인정은 개인의 삶을 윤택하게 만들지만, 무시는 개인을 사회적으로 사망에 이르게 할 수도 있다.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가능한 한도 내에서 긍정적인 상호 관계의 경험을 학생들에게 제공해주는 것이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이 인정이라는 개념을 통해 사람과 사람의 관계는 타인으로부터 인정을 얻고 그를 통해 자긍심을 획득하지만, 무시에 의해 자긍심이 훼손되었을 때 끊임없는 인정 투쟁의 과정이 발생 된다는 사실을 밝혔다. 인정의 관계는 사랑과 우정과 같은 원초적인 인정 형식부터 각 주체의 권리를 인정하는 권리 관계 형태의 인정 형식, 그리고 가치 공동체를 지향하는 연대 형식의 인정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분할될 수 있다. 다양한 인정 형태를 거치면서 개인의 긍정적 자기 관계의 정도가 단계적으로 높아지기에, 인정 형태가 고양될수록 인간은 단순한 자기 보호로부터 적극적인 자기 발현으로 고양될 수 있다. 요컨대 청소년들이 겪게 되는 가장 중요한 과정 가운데 하나인 자아 정체성의 형성에 있어서, 인정은 타자와의 관계 맺음에 대한 의미있는 패러다임을 제공한다는 면에서 그 가치가 있다. 그러나 현재 청소년들은 대체적으로 자신이 서로에게 있어서, 교육 현장에 있어서, 기성세대에게 있어서 열등한 존재로 취급받고 있다는 생각으로 인해 긍정적 자기의식을 제대로 형성하지 못하고 있다. 입시 위주의 교육환경 속에서 그들의 차이와 개성은 무시되고, 오로지 성적으로만 평가받아 사회적 인정이 결핍된 상태이다. 이는 청소년의 자기존중감 감소, 부정적인 자아 정체성으로 이어지고, 인정을 요구하는 욕구의 왜곡된 표출로 인하여 청소년 문제 행동으로 귀결한다. 소비 행태, 폭력, 따돌림 등의 문제는 단지 아이들의 잘못된 인성에서 비롯된 것이 아닌 것이다. 이를 인정하는 것으로부터, 비로소 청소년 문제 해결의 근원적인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 교사는 청소년을 올바로 이해하고 그들의 소리에 귀 기울여야 하며, 인정의 각 형태들인 사랑, 권리 부여, 사회적 연대를 실천한 관계맺음을 통해 긍정적인 자아 정체성 형성과 자아실현을 도와야 할 의무와 책임이 있음을 깨달아야 한다. 이를 위해 나는 세 가지 방법을 제안했다. 우리는 청소년들을 그 자체 독특한 사고 방식과 행동들을 지닌 존재로서, 대기세대가 아닌 대안세대로서 인정해야 한다. 교육 현장 역시, 성적이나 성격 등의 다른 요인의 개입 없이 개개인의 특성과 자질을 그 자체로 발견함으로써 학생들의 자아실현을 도와야 하며, 이를 위해선 권위자로서의 우월감과 선입견을 버리는 일이 교사를 비롯한 기타 교육 관련 종사자들에 의해서 선행적으로 달성되어야 한다. 실제 교육 행위상에서, 그들은 단순히 일방적인 형태의 지식 주입식 교육이 아니라, 상호인정의 실천적 적용으로 제시하는 교육 방법을 통해 학생들의 올바른 인격 형성과 자아실현을 도울 수 있다.;This thesis examines the urge of confusion and ‘Recognition(Anerkennung)’ in the adolescence development and the problematic behavior in adolescence begins from the absence of recognition, namely the struggle for recognition, which is originated from neglect or isolation To have a connection with something, we must accurately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between the subjects. Before asking what and how to educate, first we must properly understand the adolescents who we are educating. Recently the seriousness of the adolescence problem brought various critical discussions about the education of the existing schools, and demand the reconsideration of the need and means of personality education. So many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s are developed and carried out but despite of the school and teachers' efforts, the adolescent delinquency are expanding to adult crimes like outcast, sexual assault, extortion of money. The even bigger problem is the adolescents don't realize their wrongdoings are bad. In adolescence, the sudden physical growth and emotional confusion occurs so we call it a stormy period of puberty and they have difficulties adapting to society. But in reality not every adolescent spends a stormy period of puberty. American psychoanalyst Erik Homburger Erikson argues that adolescence doesn't have to be a stormy period of puberty. Certainly because of the various difficulties, like establishing self-identity, adolescence may be a stormy period of puberty. But in every life period, a person will experience difficulties and go through various development tasks, so there is no reason that adolescence should not be especially a more difficult turbulent period. In this period, if they have an appropriate relationship within the family, school, society than adolescents can build a foundation for healthy values and self realization. But our educational reality is we push adolescents into examination hell and force them to receive standardized education. In adolescence, from being a passive person who eats and wears what they are given, they grow into a person who expresses their intentions, so the forced and standardized education of their parents and teachers will not work. Infusing knowledge or values is indispensable and fundamental in educating. However we must take notice of that teacher not only teaches the educational contents but also teaches human beings. and that each of these two are not an independent activity. When teaching educational contents to students, because of the humane contact, the teacher must realize he has a profound influence in the student's personality development. In this comprehensive link, if there is an absence of inter-subjective recognition between the teacher and student, than adolescent delinquency occurs. So I propose the concept of recognition by Axel Honneth to resolve the problem of adolescent delinquency. In his writing ‘the struggle for recognition’, Honneth explains recognition using Hegel’s concept of recognition with George Herbert Mead’s self-identity theory. I will clarify the relation between self-realization, which is the ultimate purpose in human life according to Honneth, and social recognition, and will also show that making relations with the basis of such recognition, adolescent delinquency can be resolved. Students wants affection, attention and encouragement from their teacher in any situation, and also they will only perceive the teacher's action positive, if the teacher's intervention is valid and fair. From this point of view, we can see the educational solution of adolescent delinquency is through the guidance of teacher-student' intersubjective recognition in the student's school life. Henceforth, in education, we can confirm the importance of making relations with the basis of such recognition. Of course nobody can always make positive intersubjective relations. On the other side of recognition, there is a a dangerous category like insult or submission, which is 'neglect'. Recognition will establish positive self-identity, but neglect can make one into social death. What we can do is provide as much as possible positive intersubjective relations to students. This thesis shows that through such concept of recognition, relationships with others can obtain other's recognition and because of it we can acquire self-esteem, but if self-esteem is harmed by neglect, than an endless recognition struggle happens. The connection of recognition can consist a basic type of recognition, like affection and friendship, a type of recognition which is a relation of rights, like acknowledging one's own right, and a type of recognition which desiring a value community. Through various types of recognition, one's own degree of positive self-relations can increase in stages, and also if the type of recognition is enhanced, a person can enhance one's self from simple self-preservation to active self-discovery. Recognition deserves consideration because of when establishing one's self-identity, whic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cess adolescents experience, making relations with others can provide a significant paradigm. However today's adolescents cannot properly establish positive self-consciousness, because of the thought that they are mostly inferior to other adolescents, in educational environments, and against the older generation. In today's education, adolescents can't find individual self-realization and establish proper personality. In a exam centered educational environment, the difference and individuality of adolescents is neglected and only evaluated through grades, so they are lack of social recognition. This leads to loss of self-respect, negative self-identity and because of a contorted display of needing recognition, this finally concludes to adolescent delinquency. The problem of consuming behavior, violence, exclusion does not just come from the faulty character of adolescents. From acknowledging this, we can find a fundamental clue to the solution of adolescent delinquency. Teachers should properly understand and listen to adolescents, and must realize they have an obligation and responsibility in helping establish positive self-identity and self-realization through making relations with the practical use of affection, granting rights, social bonding, which are various types of recognition. So I purposed three methods. We should acknowledge that adolescents have a distinctive way of thinking and acting and they are not a generation that stands by, but a generation that can be an alternative. Also the education establishment should help students achieve their self-realization without the intrusion of other factors, like grades or character, and by finding the individual nature and attributes. But before that, teachers and other educational faculty members must lose the sense of superiority and prejudice as the authority. In actual educational activities, they can help establish students' proper personality and self-realization by adapting the practical use of inter-subjective recognition in educational means and not forcing simple standardized edu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도덕·윤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