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6 Download: 0

朝鮮後期 祇林寺 三世佛畵 硏究

Title
朝鮮後期 祇林寺 三世佛畵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f Kirim Temple Three states of existence Buddhist painting in the latter Joseon Dynasty : Focusing on the 'tale of the foundation of Kirim Temple'
Authors
신현경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홍남
Abstract
본고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祇林寺 三世佛畵>는 현재 모사본으로 祇林寺 大寂光殿에 중단탱에 봉안되어 있고, 원본은 보수과정을 거쳐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박물관에 소장중이다. 이 佛畵는 현존하는 대다수의 佛畵에서는 볼 수 없는 특이한 화면 구도를 갖고 있는데, 한 화면 안에 두 개의 프레임을 갖고, 상단과 하단의 각각의 도상이 도해되어 있다는 점이다. 상단부에는 釋迦 · 藥師 · 阿彌陀의 ‘三世佛’을 도해하고 있으며, 하단부에는 ‘變文’을 ‘變相’으로 표현한 서사적인 줄거리를 갖는 도상을 그리고 있다. 佛畵에서 ‘變文’을 ‘變相’으로 표현한 變相圖流의 佛畵는 종래에도 많이 있어왔지만 <祇林寺 三世佛畵>와 같이 如來圖와 變相圖를 한 화폭에 의도적으로 함께 도해한 작품은 현재까지 확인되는 바로는 본 佛畵가 유일하다. 이런 특이한 도상의 조성은 작품이 지니는 특수한 목적이 기반이 되어 제작된 것으로 생각되며, 이는 ‘祇林寺’가 갖는 寺刹의 특수성과 특수한 목적을 기반으로 발원 및 조성된 도상이라고 생각한다. 이에 필자는 <祇林寺 三世佛畵>의 도상 안에서 하단부의 變相도상이 ‘祇林寺 창건 연기설화’라는 확신을 갖고, 하단 도상에 집중하여 그 의미와 중요성을 살펴보겠다. 나아가 궁극적으로 이러한 형식적 부분과 도상해석을 바탕으로 본 佛畵가 갖는 美術史的 意義를 작품이 갖는 특수성의 입각하여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祇林寺 三世佛畵>의 현황에 대해 알아보기 전에 먼저 祇林寺의 歷史와 寺刹에 반영된 종교적인 배경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고 Ⅱ장에서 구체적으로 작품의 현황에 대해 살펴보았다. 현황을 살펴보는데 있어 기본적으로 畵記의 해석을 통해 본 佛畵의 발원자와 발원 목적, 시주계층 등을 알아보고, 이와 함께 <祇林寺 三世佛畵>에서만 보이는 독특한 화면의 이단 구도 형식에 대해 살펴보고 본 불화의 발원 의의에 대하여 조명하였다. Ⅲ장에서는 이러한 <祇林寺 三世佛畵>의 조성배경에 ‘祇林寺 창건 연기설화’가 그 기저에 있으며, 이와 같은 사실을 寺刹에 전해오는 事蹟記와 기타 문헌들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현재 <祇林寺 三世佛畵>의 봉안처와 정확한 편년문제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고, 문헌자료와 祇林寺 소장의 타 佛畵들의 화기해석을 통해 그 연대를 1788년으로, 원래의 봉안처를 지금은 건물지만 남아 있는 ‘金堂’으로 구체적으로 추정 할 수 있었다. Ⅳ장에서는 본격적으로 <祇林寺 三世佛畵>의 도상해석을 통해 佛畵의 도상이 갖는 컨텍스트에 관하여 알아보았다. 그 과정에서 조선시대에 『月印釋譜』에서 보이는 「안락국태ㅈ젼」의 내용이 조선후기로 가면서 국문소설인 「안락국전」로 변모 하였고, 본 佛畵가 「안락국전」을 모본으로 하여 도상화 되었음을 寺刹 事蹟記의 시대적 변화양상과 기타 문헌자료들을 기반으로 밝혀냈다. 또한 본 佛畵의 도상의 전거로 조선후기 불교계 소설에서 보이는 기본적 특징을『月印釋譜』에 수록된 「안락국태ㅈ젼」과 「안락국전」의 내용 비교를 통해 구체적으로 알아보았다. 도상해석의 방법에 있어서는 본 佛畵에서 확인되는 11개의 방제와 <祇林寺 三世佛畵>와 동일한 ‘안락국태자의 이야기’의 컨텍스트를 갖는 1576년作 日本 靑山文庫에 소장중인 <사라수탱>의 도상과의 비교를 통해 시대의 변화에 따라 같은 컨텍스트 안에서 보이는 도상 변화에 초점을 맞추어 비교하였다. 또한 상단도상과 하단도상을 하나의 컨텍스트 안에서 이해하고 이 두 도상을 유기적 관계 안에서 해석하여, 그 저본에 ‘祇林寺 창건 연기설화’가 있음을 밝혀 본 佛畵를 ‘佛敎 說話圖’ 범주에서 이해하였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祇林寺 三世佛畵> 가 美術史的으로 어떤 중요성을 갖는지에 대하여 <祇林寺 三世佛畵> 안에서 보이는 시 · 공간의 복합적인 구성요소와 동시대의 기타 佛畵들과 산수화에서 보이는 회화적인 표현 요소와 방법을 통해, 본 佛畵가 작품의 조성목적과 형식에 있어 필연적으로 이러한 양식들이 사용되었음을 밝히고 나아가 그 美術史的 意義를 고찰하였다.;The aim of this research paper is to analyze the Buddhist painting, (祇林寺 三世佛畵). A copy of the original piece is placed on the middle platform of the hall of great peace and light of Kirim Temple and the original is currently kept in Dongguk University Museum after the restoration. carries unique features not found in most of the surviving Buddhist paintings. It illustrates two frames within one scene and iconographic images both in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painting. The upper part depicts Three Buddha(三世佛), the Buddha’s three states of existence, in the forms of Sakymuni(釋迦牟尼), Medicine or Healing Buddha(藥師佛) and Amitabha Buddha(阿彌陀佛), -Buddha of this world, Buddha of the East, and Buddha of the west- and the lower part presents ‘Bian Wen’(變文) as ‘a picture drawn in Buddhist scriptures’(變相) as a narrative scene. There are numerous examples of narrative Buddist paintings(變相圖) -The paintings depicting the transmutation of the Pure Land or Hell-, depicting Bian Wen(變文) as a picture drawn in Buddhist scriptures(變相); however, is the only surviving Buddhist painting depicting both 'Tathagata painting'(如來圖), the sacred image of Buddhist deities, and 'narrative Buddist paintings'(變相圖). This unique iconographic combination may reveal specific uses and distinct characteristics of Kirim Temple. This research focuses on these unique features of and argues that the lower part of the painting represents the tale of the foundation of Kirim Temple, focusing on its meaning and significance. Through the iconographic studies and understanding of this Buddist painting, this paper discusses the contribution the painting makes to the study of art history. Before discussing the present condition of in Chapter II, the paper first provides historical and religious backgrounds of Kirim Temple. Its patrons and donors are discuss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ainting records(畵記) and the reasons for its distinct composition are examined in order to discuss the present condition of . Chapter III then studies the records found in Kirim Temple and several other historical documents in order to support the argument that is based on the ‘tale of the foundation of Kirim Temple’. The later part of this chapter investigates and raises the questions of the currently enshrined place and the created date of . Chapter IV provides a detailed interpretation of the context of through the iconographic analysis. In this process, the study has found that the story of 「Allakguktaejajeon」(安樂國太子傳) in 『Wolinsukbo』(月印釋譜) from the Joseon Dynasty had changed over time as the story found in 「Allakgukjeon」(安樂國傳) from late Joseon Dynasty and that was based on 「Alakgukjeon」(安樂國傳). 「Allakguktaejajeon」in 『Wolinsukbo』and 「Allakgukjeon」 are compared in this chapter to exa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Buddhist writings in late Joseon period. In interpreting the iconographic images of , a comparison is made between the eleven records found in and (沙羅樹幀), currently stored in Chungsanmoongo(靑山文庫) in Japan. , drawn in 1576, provides the story of a crowned prince, Allakguk (安樂國), similar to the tale of the foundation of . This comparison shows the changing representations of iconographic images over a long period of time within the same context of the story. In addition, the iconographic images in upper and lower parts of are systematically analyzed in order to prove their functions as the narrative representations of the ‘tale of the foundation of Kirim Temple’. Finally, Chapter V discusses the complex composition and unique features of by analyzing and comparing the narrative elements found in its contemporary Buddhist paintiong and landscape paintings and how contributes to the study of Buddhist religious ar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