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경숙-
dc.contributor.author신은혜-
dc.creator신은혜-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53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53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216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37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2163-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undergraduate students' awarenes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career path guidance, providing materials for career counseling physical education instructors are supposed to have. The population of this study was eight universities which are located in the Seoul-Gyonggi area. Purposive sampling was used to collect samples and a total of 477 questionnaires were used. To identify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a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and cross-tabulation analysis (p) was carried out to see the difference in awareness of career counseling based on gender, curriculum track, and type of entrance examination. The SPSS program (v. 15.0) was used for statistical calculation. Through the above research methods and processes, the following results have been drawn: First,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have the following levels of awareness regarding career and the process of career selection: 73.2% of the students surveyed said that when they were in high school, they knew vocational aptitude and 81.7% of them responded that they were interested in their career path. 54.1% of the subjects answered that they began to think about their specific career path since they were high school students and 53.4% of them stated that they mostly knew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reer they wanted to pursue. When choosing what to do with their life, 83.3% stated that they considered aptitude and interest as the most important elements. To acquire information on vocations, the internet was the most popular source, which was selected by 52.2% of respondents. 17.2% of the subjects regard that their high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 was ranked at the highest among those who influenced them when they decided their career, but 38.6% answered they made the decision on their own. 38.6% of them said that the key difficulty in deciding their career was lack of confidence in job prospects. Secondly,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think the following regarding career guidance they received from their P.E. teacher: 69.1% of the subjects answered that they have received career counseling from their P.E. teachers when they were in high school. Among those who have received counseling, 55.4% responded that they received satisfactory counseling and 52.7% responded that career guidance was helpful in deciding their major or career path. 55% of the students, which was the majority, stated that the counseling was mainly on college entrance. Among those who did not consult their teachers on selecting their career paths, 26.8% said they didn't receive career counseling since they had nothing to consult about, 26.8% stated that they did not have anyone they wanted to discuss the issue with, and 16.8% answered that the counseling was unsatisfactory. The subjects think the main drawbacks of career guidance by high school P.E. teachers are their lack of information on careers (38.8%), school record-centered approach (24.1%), and guidance focused on the college entrance rate (19.1%). Thirdly,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think following improvements can be made in career guidance given by P.E. teachers: 78.4% of the undergraduate students surveyed answered that career guidance from P.E. teachers was necessary and 58.2% said that high school students needed to be advised of their future career since their sophomore year. 54.1% think that they would have wanted to receive counseling after school, and 64.4% think the guidance office is the best place for career counseling. 54.4% of the students prefer voluntary, individual counseling as a way of career guidance and 32.9% said career counseling through individual meetings would be good for the students. Also, in order to vitalize career guidance by P.E. teachers, 36.5% of the subjects stated that teachers needed to make a comfortable atmosphere during the counseling, and 32.1% said effective alternatives are needed such as sharing older alumni's experiences. 41.5% of the students said they would want to have career counseling with P.E. teachers who have mutual trust with students and 30.5% wanted to gain information on their major's future prospects. 47.8% answered that various materials for entering university are the primary issues in preparing for career guidance. Based on these results, we can expect that students who are going to major in physical education are able to make their decision on their future careers more rationally with well-organized career guidance materials. Also, we can expect that more positive guidance by high school P.E. teachers can lead to forming trust in public schools as a place where students can prepare for their future. For that matter, schools need to support training courses for P.E. teachers so that they can acquire the related expertise, and participate in career guidance more actively. In addition, the process of career guidance should be operated flexibly to fit the individual properties of each school.;본 연구는 고등학교 체육교사의 진로지도에 대한 체육계열 대학생들의 인식을 파악하여, 앞으로 체육계열로 진로를 결정하는 학생들에게 필요한 체육교사의 진로지도의 방향과 진로상담에 기초가 되는 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서울 · 경기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7개의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체육계열 대학생들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였고, 표집방법은 유의표집(purposive sampling)을 사용하였다. 총 5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작성하도록 하였으나, 불성실하게 응답한 23부를 제외한 총 477부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자료처리 방법으로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성별, 계열별, 입학전형의 형태별 진로지도 인식에 대한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교차분석 (p)을 실시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v. 15.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체육계열 대학생의 진로의식 및 진로선택과정은 다음과 같다. 체육계열 대학생들은 고등학교 때 자신의 적성파악에 대하여 73.2%가 긍정적으로 대답했고, 81.7%가 진로에 대해 관심이 있었다고 응답하였다. 자신의 구체적인 진로에 대해 최초로 생각한 시기는 고등학교 때가 54.1%로 가장 높았고, 자신의 진로의 특성에 대해서 53.4%가 대체로 잘 알고 있었다고 응답하였다. 진로를 선택하는데 있어서 자신의 적성과 흥미를 기준으로 선택했다는 응답이 82.2%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고, 진로와 관련된 정보는 주로 인터넷을 통해 얻었다는 응답자가 52.2%로 가장 높았다. 고등학교 때 진로선택에 영향을 미친 주요한 타자로는 체육교사가 17.2%로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나, 38.6%가 본인이 스스로 진로를 선택 하였다고 응답하였다. 진로를 선택하면서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는 직업전망에 대한 확신부족이 32.1%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둘째, 고등학교 체육교사의 진로지도에 대한 체육계열 대학생의 인식은 다음과 같다. 체육계열 대학생들은 고등학교 때 69.1%가 체육교사로부터 진로지도를 받아본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진로지도를 받아본 학생들은 55.4%가 만족했다는 긍정적인 응답을 하였고, 52.7%가 체육교사의 진로지도가 학과나 진로선택에 도움을 주었다고 응답하였다. 진로지도에 대한 내용은 대체로 진학과 관련된 내용이었다는 응답이 55%로 가장 높았다. 진로지도를 받아 본 경험이 없는 학생들의 이유로는 상담할 내용이 없어서 26.8%, 상담하고 싶은 분이 없어서 26.8%, 상담해도 별 만족을 못 얻어서 16.8%가 각각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체육계열 대학생이 인식하는 고등학교 체육교사의 진로지도의 문제점으로는 체육교사의 진로에 대한 정보 부족이 38.8%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학업성적 위주의 진로지도가 24.1%, 합격률위주의 진로지도가 19.1%로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셋째, 체육계열 대학생이 인식하는 고등학교 체육교사의 진로지도에 대한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체육계열 대학생들은 고등학교 때 체육교사의 진로지도의 필요성에 대해서 78.4%가 필요하다라고 긍정적인 응답을 하였고, 58.3%가 고2때부터 실시하는 것이 좋다고 하였다. 54.1%가 방과 후에 진로지도를 받고 싶다고 하였고, 진로 지도 장소로는 64.4%가 상담실을 선택하였다. 그리고 54.4%가 학생의 개별적 자진 상담의 진로지도 방식으로 좋다고 응답하였고, 개별적 상담활동을 통한 진로지도가 앞으로 체육계열학과에 진학 할 학생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고 32.9%가 응답하였다. 또한 체육교사의 진로지도가 활성화되기 위한 방안으로 체육교사의 편안한 진로상담 분위기 조성이 36.5%, 선배들의 경험담을 통한 실질적인 대안 마련이 32.1%로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체육계열 학생들은 학생과 서로간의 신뢰관계를 갖고 있는 체육교사에게 진로지도를 받고 싶다고 41.5%가 응답하였고, 진로를 결정할 때 체육교사의 도움을 받고 싶은 진로지도내용은 전공학과의 앞으로의 전망이 30.6%, 진로지도에서 가장 힘써야 할 부분으로는 다양한 진학 자료준비가 47.8%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기초로, 앞으로 체육계열 진로를 선택하는 학생들에게 고등학교 체육교사가 명확한 진로지도 자료를 제시함으로써 학생들이 보다 합리적으로 진로 결정을 내릴 수 있게 되고, 고등학교 체육교사의 보다 적극적인 진로지도를 통해서 공교육의 장이 학생들이 신뢰할 수 있고 미래를 준비할 수 있는 주요 발판이 되는 것을 기대해 볼 수 있다. 이를 위해 학교는 체육교사가 학생의 진로지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전문성을 신장할 수 있도록 교사 연수를 적극 지원하고, 학교의 특성에 맞게 진학 및 진로지도 시스템을 탄력적으로 운용하여야 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서론 1 A.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연구문제 5 Ⅱ.이론적 배경 6 A.고등학교 시기의 진로지도 6 B.고등학교 체육과 교육과정과 진로지도 12 C.체육계열 대학생의 진로에 대한 인식 21 Ⅲ.연구 방법 27 A.연구대상 27 B.연구도구 27 C.자료수집 방법 및 절차 29 D.자료처리 방법 30 Ⅳ.연구결과 및 논의 31 A.결론 31 B.논의 66 Ⅴ.결론 및 제언 71 A.결론 71 B.제언 74 참고문헌 75 부록 79 ABSTRACT 8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3115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고등학교 체육교사의 진로지도에 대한 체육계열 대학생의 인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Awareness of High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Career Guidance Counseling among Physical Education Track College Student-
dc.creator.othernameShin, Eun Hye-
dc.format.pagex, 8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dc.date.awarded2012.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