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8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경숙-
dc.contributor.author정지혜-
dc.creator정지혜-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52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52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253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36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2535-
dc.description.abstractThe modern society graduall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he art education as it can be called as the era of culture. Especially, the combined art education is must-required education at this point where the meaning of 21st century art education is changing to the subject that is necessary to raise future creative intellectuals with flexible minds, which cross between the boundaries, and brilliant imaginations. However, current art educations in schools are mostly run as functionally focused on various art genr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let Korean students to have the creative thinking ability to cross the boundaries by developing the brand-new combined program, which meets topics of unification of other art fields, art and human society, art and science as overcoming the function-focused traditional art education. Thus, this study proposes the necessity of combined education, and purposes to widen the application range of the dancing in middle schools by developing the combined class teaching plan of dance-Korean, which middle school teachers can apply to the actual classes. This study composed the detailed teaching plans (total of 4 plans), which are applicable to the actual classes, and completed after 3 times of revision and supplementation by collecting the expert’s opinion through surveys and in-depth talks. The results through above research method are as below. First of all, current middle school teachers; 1 Korean teacher, 3 Dance teachers, showed positive opinions on the teaching plans, which is composed by the author, and they predicted the more affirmative efficacy for the studies of students and sufficiently applied to the sight when it goes through a slight modification and supplementation. Second, it was considered that more discussion is necessary on lacking professionalism of teachers and which class this combined class will be applied to, when the combined class is actually applied. During the talks concerning the teaching plans with the education experts, the presented comment in common was that general teachers who have not majored in dance would have difficulties to run this combined classes as this teaching method and plans are truly proposed in aspects of theoretical method. Moreover, when the combined classes are processed, the dance teacher should also recognize the study contents of Korean subject, so that the cooperative works with fellow teachers would be importa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teaching books and materials, which can effectively approach to teachers as a realistic measure to let general teachers to make better use. Third, it was figurative that the current educational condition related matters, such as actual manpower and infrastructures, which are necessary to activate the combined education during the process of teaching plan development for the combined education with dance and other subjects, are too much lacking in its level compare to the target. When the discussion between teachers and educational condition related matters are supported for the combined classes, which is composed by the systematic researches and process procedures through these results, not only interests but also effective studies may be done to the combined education of the needs of the times and students. Furthermore, besides the combination of dance-Korean subject, the combined education in other entire subjects should be activated. To do this, the recognition of combined education importance, and continuous and various researches should be done. In addition, the procedures to analyze, evaluate and modify the research results should be continuously processed.;현대 사회는 다양성이 증가함에 따라 넘치는 정보와 빠른 변화를 거듭하며 기존의 학업방식인 무조건적인 지식습득에만 전념하는 교육만으로는 더 이상 21세기가 필요로 하는 유연한 사고를 가진 인재 양성이 불가능하다. 특히 무용은 인간의 사상과 감정을 신체의 움직임으로 표현하는 예술인 동시에 훌륭한 교육의 수단으로서 신체활동을 통하여 창조성과 독창성, 표현력을 기를 뿐 아니라 인간행동을 변화시키는 데에도 큰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는 점에서 통합교육에서 중요한 매개체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통합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중학교 교사가 실제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무용-국어교과의 통합수업지도안을 개발하여 중학교에서 무용교육의 활용범위를 넓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수업에서 적용 가능한 구체적인 지도안(총 4차시)을 구성하였으며 질문지와 심층면담을 통해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여 총 3회에 걸쳐 수정·보완 작업 후 완성되었다. 이상의 연구방법을 통하여 추진한 연구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체육(표현활동단원)과 국어 교과서의 내용 분석 결과 통합수업을 구성하는데 있어 학습내용의 다양한 연계성을 발견함에 있어 어려움이 있었다. 타 과목들과는 달리 무용과 국어교과의 통합수업의 사례가 적어 각 교과의 연계성을 찾아 통합수업을 구성하는데 다양한 내용으로 구성되지 못한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본 연구자가 임의로 선정한 중학교 체육(표현활동단원)과 국어교과서 분석을 통해 국어교과 중 김춘수의 '꽃'이라는 시와 연계하여 통합수업지도안을 총 4차시로 구성하였다. 셋째, 본 연구자가 구성한 수업지도안에 대해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해보면 본 수업지도안을 활용한 수업이 진행될 경우 학생들의 학습에 보다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았다. 그러나 통합교육의 실제 적용에 있어서 교사의 전문성 부족과 실제 어느 수업에 통합 수업이 적용될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더 필요할 것이라고 하였다. 교육전문가와 수업지도안에 대해 면담을 하는 과정에서 공통적으로 도출된 의견으로는 교수 방법과 지도안은 이론적 측면이 강조되어있어 실제 무용을 전공하지 않은 일반 교사가 이러한 통합수업을 진행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을 수 있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또한 통합수업이 진행될 경우 무용교사도 국어교과의 학습내용이 충분히 숙지가 되어 있어야 하기 때문에 동료교사와의 협동 작업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따라서 일반교사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현실적 방안으로서 교사에게 효율적으로 접근될 수 있는 다양한 티칭교재 및 교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넷째, 무용과 타 교과와의 통합교육을 위한 수업지도안 개발 연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통합형 교육이 활성화되기 위해 필요한 실질적인 인력과 인프라 등 현재의 교육 여건 제반사항이 목표점에 비해 그 수준이 턱없이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체계적인 연구와 진행과정에 의해 구성되어진 통합수업이 교사들 간의 협의와 학교 측의 교육여건 제반 사항이 뒷받침해준다면, 시대에 요구에 맞는 통합교육과 학습자들에게 흥미뿐 아니라 학습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무용-국어교과의 통합뿐만이 아니라 다른 모든 교과에서도 통합 교육이 활성화 되어야 할 것이며 이것을 위해서는 통합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지속적이고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그 연구 결과를 분석하고 평가하며 수정해 나가는 과정들이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서론 1 A.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연구문제 3 C.연구의 제한점 4 Ⅱ.이론적 배경 5 A.통합교육의 이해 5 1.통합교육의 개념 및 필요성 5 2.통합교육의 유형 8 B.무용을 통한 통합교육 16 1.무용의 교육적 가치 16 2.무용을 통한 통합교육의 필요성 18 3.무용을 통한 통합수업 구성시 고려사항 20 C.통합교육수업의 구성요소 22 1.창의요소 23 2.생각의 도구 27 3.교수학습법 31 D.선행연구 분석 32 Ⅲ.연구방법 36 A.연구설계 36 B.수업 지도안 구성 36 C.수업지도안에 대한 의견 수렴 38 Ⅳ.연구결과 39 A.통합교육 측면에서의 무용과 국어교과의 학습지도안 구성 40 1.학습지도안의 전체적 구성 40 2.차시별 학습지도안 42 B.무용과 국어교과 간 통합 가능성에 대한 전문가 견해 64 1.현재 학교 환경에서의 교과 간 통합수업 가능성 64 2.실제 수업에서 본 연구의 수업지도안 활용 가능성 65 3.본 연구의 수업지도안에 대한 개선점 및 보완점 65 Ⅴ.결론 및 제언 67 참고문헌 70 부록 74 ABSTRACT 7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5305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무용과 타 교과와의 통합교육을 위한 수업지도안 구성-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국어교과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Composing Teaching Plan for Combined Class of Dance and Other Subjects-
dc.creator.othernameChung, Ji Hye-
dc.format.pagex, 7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dc.date.awarded2012.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