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6 Download: 0

국어 교사의 문학 텍스트 기반 어휘 교수 전략 연구

Title
국어 교사의 문학 텍스트 기반 어휘 교수 전략 연구
Authors
최지선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은성
Abstract
문학 교육에서의 어휘 지도는 일반적인 어휘 지도 방법과는 다른 특수성을 지닌다. 지금까지의 연구 성과들을 살펴보면 어휘 지도 방법에 대한 연구나 문학 텍스트를 활용하여 어휘 교육을 하는 방안들에 대한 연구들이 주를 이룰 뿐 문학 텍스트를 기반으로 어휘 교수를 진행할 때 어떻게 어휘를 지도해야 하는지에 대한 연구 성과는 거의 전무한 상태이다. 본 연구는 어휘 지도 방법이 문학 텍스트를 기반으로 할 때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는 인식에서 시작되었다. 실제 학교 현장에서 어휘 수업이 독립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경우가 거의 없고 다른 텍스트를 바탕으로 어휘 교수가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어휘 지도 교수를 목적으로 하는 어휘 지도 방법만이 제시되어 있어 실제로 적용하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실제 학교 현장에서의 어휘 지도 양상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학교 현장에서의 어휘 지도 상황으로 가장 빈번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 다른 텍스트를 수업하는 상황에서의 어휘 교수 상황으로 인식하고 본 연구에서는 문학 텍스트 기반 어휘 교수 전략에 대한 실제 교사들의 현황의 분석을 시도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기존의 어휘 교수 전략으로는 어떤 것이 있는지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문학 텍스트에서의 어휘 교육에 대한 연구 성과를 살펴보았다. 연구 방법은 기존의 어휘 교수 전략을 바탕으로 연역적으로 탐구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 학교 현장 교사들의 수업 상황을 바탕으로 그들이 사용하고 있는 어휘 교수 전략에 대해 귀납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현재 고등학교에서 근무하는 총 6명의 교사들의 각 3차시씩 총 18차시의 문학 수업 녹음을 바탕으로 그 녹음 파일을 전사하여 문학 텍스트 기반 어휘 교수 전략을 분석하였다. 녹음 대상의 조건은 문학 텍스트 교수라는 한 가지 사항을 제외하고 특별한 통제 조건을 두지 않았고 최대한 평소 수업 상황과 가장 유사한 수업 상황 하에서 어휘 교수 전략을 사용하는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기 때문에 연구 대상 집단에 사전 처지를 시도하지 않았다. 연구 대상 교사들의 수업 상황을 분석 해 본 결과 크게 ‘교수 태도’와 ‘교수 전략’으로 분석 기준을 도출 할 수 있는데 ‘교수 태도’는 교사가 직접적으로 어휘 의미만을 전달하는 ‘결과 전달’ 방식과 학습자가 어휘 의미를 떠올릴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과정 유도’의 교수 태도로 분석할 수 있다. ‘교수 전략’으로는 크게 4가지 기준을 설정할 수 있다. ‘분석적 접근형, 경험 활용형, 문맥 활용형, 자료 제시형’으로 나누고 각각의 유형에 따라 실제 교사들의 어휘 교수 전략의 빈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그 전에 연구 대상이 된 6명의 어휘 교수 수업 상황을 분석하고 각각의 교수 상의 특징점을 분석하였다. 어휘 교수 전략의 기준인 4가지 항목은 다시 세분화되어 ‘분석적 접근형’은 ‘의미 관계 활용’과 ‘문자적 의미 활용’으로, ‘경험 활용형’은 ‘학습자 어휘 지식 활용’, ‘문화적 경험 활용’, ‘다른 작품 활용’, ‘교수자 어휘 지식 활용’의 방법으로 세분화된다. 이 중에서 특이한 사항은 ‘문맥 활용법’이 생각보다 적게 나타났다는 것이고 ‘문자적 의미 활용’이나 ‘주석 활용’과 같은 객관적 지식 전달의 경우가 자주 나타난다는 것이다. 문학 텍스트를 기반으로 한다는 것은 정서적·함축적 어휘 의미 풀이가 많이 나타날 것이라고 예상하지만 실제로는 단어의 사전적 의미를 더 많이 교수하고 있다는 점, 한자어나 고어 해석을 주로 한다는 점, 문학에서는 문학 개념어 설명이 자주 나타난다는 점, 교사마다 수업 전략의 차이는 나타나나 자주 쓰는 수업 전략은 ‘문자적 의미 활용’이라는 점, 문답형식의 소극적인 학생 참여 어휘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 등을 발견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실제 학교 현장의 교수학습 상황을 분석하여 문학 텍스트 기반 어휘 교수 전략을 분석한 귀납적 연구라는 의의가 있으며 어휘 지도 방법이 단독으로 교수되는 상황이 드문 교육 현장에서 문학 텍스트에서 지도 할 수 있는 어휘 교수방안을 찾을 수 있는 밑거름이 될 수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Teaching vocabulary in literature education is different from general teaching methodology of vocabulary. However, preceding studies have focused on general methodologies of teaching vocabulary or how to teach vocabulary using some parts of literature texts which have those words. There are few on how to teach vocabulary in the whole texts of literature works. This study started from my awareness that there are not enough studies on how vocabulary is taught in the whole texts of literature. Actually, we don't teach vocabulary apart from literature works at schools. In other words, most of vocabulary is being taught in the literature texts. So it's difficult to apply the results of preceding studies to natural classroom environments. We need to analyze how vocabulary is being taught in real classes. Being aware of the fact that most of vocabulary is being taught in literature texts, I'd like to try to analyze teachers' teaching strategies of vocabulary based on literature texts. Firstly, I have investigated preceding studies to find out if there are any researches where vocabulary has been taught based on literature texts. I have used an inductive way where I've analyzed real classes, focusing on teachers' methods of teaching vocabulary, not a deductive way where I only investigate previous methods of teaching vocabulary. I've videotaped 18 literature classes of 6 teachers, each teacher being recorded 3 times, and analyzed their vocabulary teaching strategies. I didn't give any controlling conditions or previous treatments except teaching vocabulary in the literature, because I tried to analyze teachers' teaching strategies of vocabulary in their natural class environments. Analyzing them, I've observed two aspects. One was their teaching attitudes, and the other was their teaching strategies. I've noticed their teaching attitudes could be divided into two. One was delivering the meanings of words directly and the other was giving students opportunities to remind them of the meanings. Teaching strategies could be into 4 types. They are approaching analytically, utilizing their experiences, utilizing the contexts, and providing materials. I analyzed frequencies of using those 4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eaching, watching each teacher's classes. The type of approaching analytically is also divided into 2 types, one of which is using meaning relationships between words and the other is using the very literal meanings of each word. The type of utilizing their experiences is also specified into 4 types. They are using learners' vocabulary knowledge, cultural experiences, other literature works, teachers' vocabulary knowledge. An extraordinary thing I found out is that teachers don't use the method of utilizing the contexts as often as I expected, rather they use the method of using learners' vocabulary knowledges or footnotes more often. I've expected that teachers would focus more on teaching emotional or connotative meaning of words, but they focused more on delivering lexical meanings or simple translation of ancient words, simple explanation of literature concepts, and simple question-and-answer type between teachers and small groups of students. This study has its meaning in that it analyzed real teaching situations and teaching vocabulary strategies inductively, providing schools with a small way of teaching vocabulary based on literature works in the real school environment where vocabulary is rarely being taught apart from literature tex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