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정우-
dc.contributor.author유자영-
dc.creator유자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48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48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248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32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2483-
dc.description.abstract문학 교육을 받은 학습자가 문학 교육의 결과 자신의 삶 속에서 문학을 자발적으로 꾸준히 향유하게 되는 것은 문학 교육의 본질적인 목표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문학 교육의 중요한 목표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는 문학의 생활화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바람직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그동안의 문학 교육은 문학에 대한 각종 이론과 작품 분석 위주로 진행되었고, 그 결과 학생들은 문학에 대한 흥미를 잃고 문학을 멀리하게 되었다. 이러한 결과에 대한 반성으로 문학의 생활화가 문학 교육의 주요한 목표가 되어야 한다는 인식이 형성되었고, 이로 인해 교육과정에서는 ‘문학의 생활화’와 관련한 성취기준이 등장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성취기준이 반영된 교과서가 제작되어 2012년부터 각 고등학교에서 사용하게 되었다. 그러나 문학의 생활화 교육에 대한 중요성에 대해서는 공감하면서도, 문학의 생활화의 개념과 본질에 대한 기초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지는 않았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Ⅱ장에서 문학을 생활화한다는 것의 개념과 본질에 대해 기존의 논의들을 바탕으로 하여 보다 깊이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하여 문학 생활화의 본질을 특징짓는 요소로 ‘문학 향유에 대한 흥미와 동기 갖기’, ‘문학적으로 바라보기’, ‘문학적으로 표현하기’, ‘문학을 통해 성찰하기’를 설정하였다. 또한 문학의 생활화가 교육의 기본 틀이라고 할 수 있는 교육과정과 교과서에는 어떻게 수용될 수 있는지 그 원리를 각각 설정하였다. 이어서 Ⅲ장에서는 문학의 생활화가 최초로 구현되었다고 할 수 있는 고등학교 ‘문학 Ⅱ’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크게 단원구성과 제재와 활동으로 나누어 살펴봄으로써 문학 생활화를 위한 교육이 어떤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지, 또한 그 한계점은 무엇인지를 분석하였다. Ⅲ장의 분석을 토대로 하여 Ⅳ장에서는 바람직한 문학 생활화 교육을 위한 개선방안을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차원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교육과정의 구체화 방안을 위해서 목표, 내용, 방법, 평가 차원으로 나누어 각각에서 고려하고 강조해야 할 점을 제안하였다. 교과서 구성 차원의 개선방안으로는 세 가지를 제시하였다. 첫째, 문학의 생활화라고 하는 학습목표를 실현하기 위한 대표성을 가진 제재를 선정하기 위해서, 문학사적 가치를 인정받은 작품 뿐 아니라 학생작품을 포함한 평범한 사람들의 작품으로까지 제재의 선정 범위를 확대하는 것의 중요성과, 둘째, 학습자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문학 생활화를 실천하고 내면화할 수 있는 활동을 균형 있게 구성할 것, 셋째, 교과서가 사이버 공간과 같은 다양한 문학 활동 실천의 공간을 연결해주는 통로 역할을 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문학은 인간의 삶을 소재로 한다. 모든 문학의 재료들은 인간의 삶에서부터 나오며, 문학은 삶에 대한 진지한 성찰의 결과물이다. 따라서 문학 교육은 문학과 관련한 이론적인 지식 전달보다는 문학을 즐길 줄 아는 태도를 길러 주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한다. 학습자들이 자신의 삶 속에서 문학이 어떻게 기능하는지를 알고 자발적으로 문학을 향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어떤 교육 내용이 구성되어야 하는지를 제시하는 데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The fundamental purpose of literature education can be said to be achieved when the learner of literature comes to enjoy literature in one's life spontaneously and consistent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education on practising literature, one of the most important purposes of literature education, is conducted, and to present opinions to make it improve. Literature education until now has been in progress mainly focusing on analyzing works and theories of literature. As a self-reflection of this result, the perception that practising literature should be the major purpose of literature education was formed. As a result, achievement standards related to 'practising literature' started to appear in the curriculum. Additionally, textbook that applied these achievement standards has been produced and utilized in each highschool from 2012. However, although the importance of practising literature was acknowledged and sympathized, the basic research on the concept and the essence of practising literature was not conducted as actively. Thus, this article studied into the meaning of practising literature and its essence more deeply in chapter two. In chapter three, highschool literature textbook, considered as the very first book that has bodied out practising literature, was analyzed. The direction of education on practising literature and the limitations were also studied in this chapter. On this foundation, improvement for practising literature education was proposed in chapter four. Literature is about human life. Materials for literature all comes from human life, and literature is the result of deep introspection on life. Therefore, literature education should set the purpose of raising the interest and making the attitude of enjoying literature, instead of just delivering theoretical knowledge. The meaning of this study lies in suggesting which contents should be composed for literature education in order to make the learners understand how literature functions in their lives so that they can enjoy literature spontaneousl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및 의의 2 B. 선행연구 검토 3 C.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9 Ⅱ. 이론적 배경 12 A. 문학 생활화의 개념 및 본질 12 1. 문학 생활화의 개념 12 가. 일상에서의 지속적인 문학 활동 실천 12 나. 문학 작품 수용과 감상의 실천 13 다. 일상 언어 생활에서 문학의 활용 14 2. 문학 생활화의 본질 15 가. 문학 향유에 대한 흥미와 동기 갖기 16 나. 문학적으로 바라보기 17 다. 문학적으로 표현하기 17 라. 문학을 통해 성찰하기 18 B. 문학 생활화 교육의 틀 20 1. 문학 생활화의 교육과정 수용의 원리 20 가. 교육과정 내용 조직의 원리 20 나. 교육과정 내용 조직 22 2. 문학 생활화 교육과정 수용의 실제 23 가. 정의 영역의 설정과 문학 생활화 교육의 토대 23 나. 교육과정 구현 양상 25 C. 문학 생활화의 교재화 원리 27 1. 교육과정 상세화 28 2. 교재 구성의 원리 29 가. 단원 구성의 체계성 30 나. 선정 제재의 대표성 30 다. 활동의 목표 관련성 32 Ⅲ. 교과서별 문학 생활화 구현 양상 34 A. 단원구성 양상분석 34 1. 문학 창작 활동을 위한 단계적 구성 35 2. 문학 생활화 요소에 대한 동시적 접근 39 B. 제재분석 43 1. 학습 목표와의 관련성 43 가. '문학 생활화와 가치 있는 삶' 관련 제재의 특성 43 나. '문학 생활화와 바람직한 공동체' 관련 제재의 특성 45 다. '문학 생활화와 국어 생활' 관련 제재의 특성 47 2. 학습자와의 관련성 48 가. 학습자와 창작자간 거리의 특성 49 나. 학습자의 관심사 반영의 특성 51 C. 활동분석 56 1. 인지적 지식 중심의 사실적 발문 57 2. 자기 경험에 근거한 비평적 발문 60 3. 창조적 역량을 요구하는 창작 활동 65 Ⅳ. 문학 생활화 교육의 구체화 방안 70 A. 교육과정의 체계화 70 1. 목표의 체계화 70 가. '지식-기능-태도'의 체계 70 나. 문학 생활화 실천 범위에 따른 체계 71 2. 내용의 풍부화 72 가. 학년별 위계화 72 나. 다문화 교육 차원으로의 범위 확대 73 3. 방법의 다양화 74 가. 실제성의 강조 74 나. 자발성과 능동성 지향 75 다. 학습자의 개별성 고려 75 4. 평가의 실질화 76 가. 내면화에 대한 평가 76 나. 교수·학습 방법으로의 평가 77 B. 교과서 구성의 차원 78 1. 제재 선정 범위의 확장 78 2. 문학 향유 실천을 위한 활동의 확대 81 3. 사이버공간과의 연계 방식 다양화 84 Ⅴ. 결론 88 참고문헌 90 ABSTRACT 9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0888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문학 생활화 교육 실행 양상 및 개선 방안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고등학교 '문학' 과목 교과서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Research on The Aspect and Improvement of Practising Literature Education : Based on Highschool 'Literature' Course Textbook-
dc.creator.othernameYu, Ja Young-
dc.format.pageix, 9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2.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