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서혁-
dc.contributor.author김현정-
dc.creator김현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48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48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256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32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2562-
dc.description.abstract올해 3월, 교육과학기술부는 다문화학생 교육 선진화 방안을 통해 한국어 교육과정(KSL: Korean as a Second Language) 도입 계획을 밝혔다. 2013년부터 초, 중, 고등학교에서 한국어 과목을 정규과목으로 운영하고, 이를 위해 올해 안에 한국어 표준교재와 진단도구(학생용 TOPIK)를 개발하여 학교에 보급할 예정이다. 즉, 교육과학기술부는 올해 안으로 KSL 교육과정, 진단 도구, 교재 개발을 완료하고, 내년에는 전면 시행할 계획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한국어 교재를 분석하고, 다문화학생들의 한국어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읽기 중심의 초급 KSL 교재 개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다문화학생들의 대부분이 현재 초등학교에 재학 중에 있으므로 초등학생들을 본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교육과학기술부에서 초급부터 중급, 고급에 이르기까지 단계별 교재를 개발할 예정이기 때문에, 첫 단계인 초급 교재 구성에 초점을 맞추었다. 한편,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다문화학생들의 언어사용 능력 중, 말하기, 듣기 능력보다 읽기, 쓰기 능력이 매우 부족하기 때문에 다문화학생들의 읽기 능력 향상에 초점을 맞추었다. 본 연구는 초급 KSL 교재 개발 방향을 설정하기 위하여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다문화학생들을 대상으로 개발된 기존 교재들인 <학교가 좋아요 - 초급>, <즐거운 학교, 함께 배우는 한국어>, <함께 배우고 나누며 세계를 꿈꾸는 교실>, <행복한 교실, 다문화 세상>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다문화 문식성과 제2언어 교육 이론을 살펴보고, 이러한 다문화 문식성과 제2언어 교육 이론의 내용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다루었다. 첫째, 초등학교 저학년 다문화학생들을 대상으로 개발된 한국어 교재들이 다문화 문식성을 향상시키는데 적절한가? 둘째, 초등학교 저학년 다문화학생들을 대상으로 개발된 한국어 교재들이 제2언어로서의 학습 영역을 잘 반영하고 있는가? 다문화 문식성은 상호문화적 소통 측면과 학습자 읽기 수준 측면, 제2언어 교육은 생활 한국어 영역과 학습 한국어 영역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교육과학기술부(2012)의 한국어 교육과정을 기준을 토대로 각 교재 내용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호문화적 소통 측면에서 한국어 교재들을 살펴본 결과, <학교가 좋아요 - 초급>과 <행복한 교실, 다문화 세상>이 비교적 충실하게 상호문화적 내용을 다루고 있었다. 둘째, 읽기 능력 향상 측면에서 한국어 교재들을 분석한 결과, <즐거운 학교, 함께 배우는 한국어> 교재는 읽기와 관련된 단원이 총 2개밖에 되지 않아 무척 적었다. 또한 초등학교 저학년인 대상층의 특성을 고려하여 사진, 삽화 등을 사용하여 텍스트의 이해를 돕고 있었으며, 특히, <학교가 좋아요 - 초급>의 경우 외부 디자인업체에 의뢰하여 적절한 컬러 삽화를 가장 잘 활용하고 있었다. 다만, 전반적으로 초등학교 저학년에게 적합하지 않은 읽기 텍스트의 성취 수준, 내용, 장르가 제시되었다. 초등학생에게 적합한 읽기 텍스트의 성취 수준은 한글 해독, 낱말 이해, 사실적 이해, 추론 및 비판적 이해, 창의적 이해 능력이며, 내용은 정체성, 다양성, 협력, 장르는 설명하는 글, 이야기, 동화 등으로 다양하게 제시되어야 한다. 셋째, 한국어 교재들이 생활 한국어 영역에서 적합한지를 분석한 결과, 주제 및 의사소통 기능 측면에서는 전반적으로 잘 반영하고 있었으나, 어휘 측면서는 편차가 심하였다. <학교가 좋아요 - 초급>은 약 12~21개의 어휘를 사용하고 있었으나, <행복한 교실, 다문화 세상>은 2~5개의 어휘만을 사용하고 있었다. 넷째, 한국어 교재들이 학습 한국어 영역에서 적합한지를 분석한 결과, 주로 국어, 사회 교과 영역의 주제를 많이 다루었으며, 수학과 과학 교과 영역은 거의 다루지 않아 인문계 교과에 치우친 경향을 보여줬다. 다문화학생들이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를 습득하는 이유에는 원활한 의사소통기능뿐만 아니라 다른 교과 학습에 도움을 받고자 하는 것도 있으므로, 향후에 이러한 부분이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초급 한국어 수준의 읽기 교재 개발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교재 개발의 기본 방향을 제시하고, 교재의 구성 방안과 원리를 바탕으로 다문화 문식성, 생활 한국어, 학습 한국어 각각의 관련 요소를 반영하여 교재 개발의 실제를 제시하였다.;In March 2012, the Ministry of Educ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announced its plan to adopt Korean as a Second Language (KSL) program through multicultural student education advancement plan. KSL program is to be established so that KSL can be managed as one of the regular courses in Korea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from 2013. Also, a standardized Korean language textbook and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TOPIK) are expected to be developed and distributed in schools in 2012. The Ministry of Educ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will finish developing the KSL program, TOPIK, and textbook by the end of this year and will carry them out next year. Thu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xisting Korean language textbooks developed for lower graders in elementary schools and to set a beginner level KSL textbook focused on reading, in order to improve Korean language skills.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ve been selected as objects of this research since most of the multicultural students are currently attending elementary schools. In addition, because the Ministry of Educ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is planning to develop phased textbooks according to pre-intermediate,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s, this study focused on the composition of pre-intermediate level textbook. Meanwhile, among the language skills of multicultural students lack reading and writing skills more than they lack speaking and listening skills. Therefore textbook is developed centering on multicultural students' reading skills. In order to set the direction for pre-intermediate KSL textbook development, <I like school - pre-intermediate>, <Fun school, learning Korean together>, <Learn, share, and dream the world together>, and <Happy class, multicultural world>, books of which are developed targeting multicultural students at elementary schools, have been analyzed. Prior to analysis, multicultural literacy and second language educational theory have been examine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have been covered based on such multicultural literacy and second language educational theory. First, are Korean textbooks developed specifically for multicultural students of lower grades in elementary schools proper for improving multicultural literacy? Second, are Korean textbooks developed specifically for multicultural students of lower grades in elementary schools proper to be used for second language education? Textbook analysis based on multicultural literacy will see if contents of mutual cultural communication are reflected and if it took learners' reading levels into account. The results based on the Korean Education Program that the Ministry of Educ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2012) shows are as the following: First, based on the result of analyzing Korean textbooks in the perspective of mutual cultural communication <I like school - pre-intermediate> and <Happy class, multicultural world> covered mutual cultural communication well. Second, based on the result of analyzing Korean textbooks in the perspective of learners' reading level consideration, <Fun school, learning Korean together> only had two units related to reading. Also it considered the lower graders' characteristics and inserted photos and illustrations to help understanding the text, and especially in the case of <I like school - pre-intermediate>, it had requested design to an outsourcing company and used appropriate color illustrations. But in general, readable text level, contents, and genres were not proper for lower graders' in elementary schools. Readable text level proper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cludes decoding Korean, understanding words, realistic understanding, inferential and critical understanding, and creative understanding. The contents should show identity, variety, and cooperation, and genres should be shown in various ways including explanatory writing, stories, fairy tales, and so on. Third, based on the result of analyzing Korean textbooks in the territory of daily Korean communication, they well reflected in the perspective of topics and communication skills; however, in the perspective of vocabulary textbooks had big differences. <I like school - pre-intermediate> used approximately 12~21 vocabularies but <Happy class, multicultural world> used only 2~5 vocabularies. Fourth, based on the result of analyzing Korean textbooks in the territory of learning Korean, its language and social studies topics were mainly being covered. The field of math and science was merely being covered and showed the tendency of one-sided humanities curriculum. Since multicultural students are learning Korean as a second language for better communication and to get help in learning other subjects of study, such a tendency should be supplemented. The study based on the mentioned results showed a mean to develop pre-intermediate level reading textbook. The basic direction of such a textbook has been shown in this study. Moreover, based on the composition methods and principle of textbooks, elements related to multicultural literacy, daily Korean communication, and Korean learning have been reflected to show the reality of textbook developmen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서론 1 A.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B.선행 연구 검토 4 C.연구의 대상 및 방법 7 1.연구대상 7 2.연구방법 10 Ⅱ.다문화 문식성과 제2언어 교육 12 A.다문화 문식성의 이론적 근거 12 1.다문화 문식성의 개념 및 필요성 12 2.다문화 문식성 교육의 교수ㆍ학습 원리 13 3.다문화 문식성 교육을 위한 읽기 텍스트 15 B.다문화 문식성 습득을 위한 제2언어 교육 19 1.제2언어 교육 교수·학습의 이론적 체계 19 2.제2언어 교육의 현황과 특성 20 Ⅲ.다문화학생 대상의 한국어 교재 분석 32 A.다문화 문식성에 따른 교재 분석 34 1.상호문화적 소통에 관한 내용의 반영 34 2.학습자 읽기 수준의 고려 46 B.학습영역에 따른 교재 분석 57 1.생활 한국어 영역 분석 57 2.학습 한국어 영역 분석 66 Ⅳ.초급 한국어 수준의 읽기 교재 개발 방안 70 A.교재 개발의 기본 방향 70 B.교재의 구성 방안과 원리 72 1.다문화 문식성의 관련 요소 반영 72 2.생활 한국어의 관련 요소 반영 74 3.학습 한국어의 관련 요소 반영 76 C.교재 개발의 실제 78 Ⅴ.결론 87 참고문헌 90 ABSTRACT 9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08166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을 위한 읽기 교재 개발 방안-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초등학교 저학년 교재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Mean to Developing Reading Textbook for Korean as a Second Language : Focusing on Elementary Textbook for Lower Grades-
dc.creator.othernameKim, Hyun Jung-
dc.format.pagex, 9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2.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