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31 Download: 0

표현매체로서 LED를 활용한 박물관 전시 디자인 연구

Title
표현매체로서 LED를 활용한 박물관 전시 디자인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museum exhibit design being applied LED as an expression medium
Authors
박정아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실내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고기영
Abstract
21세기 문화의 세기를 맞이하여, 국민의 문화 향수 권리에 대한 지원을 활성화하려는 사회적 움직임과 함께 전시 공간의 기능도 달라지고 있다. 전시공간에서 디지털 기술에 기반을 둔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방법과 다양한 디지털 콘텐츠의 개발이 급속하게 이루어짐으로 인해 우리가 처한 전반적인 미디어 환경은 그 어느 때와도 비교할 수 없는 속도와 규모로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 나아가 디지털 기술은 미디어와 미디어의 내용, 즉 콘텐츠의 디지털화를 넘어 인간의 모든 제도와 존재 양식을 디지털화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이렇듯 디지털 기술이 인간 삶의 양식 전반을 바꿀 수 있다는 예측 속에서 우리는 디지털에 기반을 둔 미디어를 통해 나타나고 있는 새로운 공간 커뮤니케이션 양식과 변화되고 있는 문화적 지형에 특히 주목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제 디지털 세계는 더 이상 테크놀로지만의 세계가 아니라 그 자체로 새로운 문화이며 이미 일상을 재편하고 있는 것이다. 오늘날의 미디어 공간은 빛의 느낌을 자유자재로 변형시킨다. 그것은 미디어가 과거와는 전혀 새로운 매체를 활용하고 있다는 사실 때문이다. 건축과 인테리어 전반에 걸쳐서 빛의 혁명이 시작되고 있는데 고휘도 LED (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한 반도체 조명이 그 주역이다. LED는 최근 급격한 성능 향상과 가격 하락으로 인해 적용범위는 더욱 빠르게 확산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시대 흐름에 대응하여 전시 공간의 표현 매체로 LED빛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과 그 가능성에 대하여 제안해보고자 한다. 즉, 인간과 공간 간 개입과 반응에 대한 상호소통에 초점을 두고 미디어의 다양한 표현 방식으로 인해 현대의 인터페이스 공간과 미디어의 관계가 활발히 생성 되는 데에 새로운 가능성과 역할을 모색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본문의 내용은 공간에 표현매체로서의 LED가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함께 박물관 전시 공간에 미디어에 의한 관점에서 새롭게 적용되는 가능성을 연구하고 공간에 표현 되어지는 양상에는 어떠한 특성이 있는지 분석 한다. 그리고 전시 공간에 나타나는 LED의 유형화된 특성을 분석하고 사례분석을 통해 구체화 시킨다. 디자인 계획에 있어서는 대상지인 경기도 박물관을 타깃으로 하였는데 현재 박물관 전시 현황 분석을 통해 공간 활용도 부분에서 가장 취약하고 단절되어 있는 4개의 공간을 대표적으로 선정하여 박물관 전시 공간의 환경 이미지 개선을 위한 디자인을 제안 한다. 그에 알맞은 공간의 표현매체로 LED를 미디어적 방법으로 활용하여 디자인을 재정립한 후, 기대되는 전시 효과를 토대로 앞으로 박물관 전시 공간에 LED를 활용한 미디어적 표현이 차지하는 가치의 비중과 함께 디지털 기술 발전을 통한 시대의 흐름에 대응하는 박물관 전시 공간으로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자가 주목한 부분은 디지털 시대, 문화의 시대의 흐름으로 인한 인간과 공간의 관계 증진과 보다 나은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미디어 전시 방법에 대한 인간의 다양한 행위의 관계를 끌어내고자 함이다. ; In 21st century, significantly being developed in culture, the function of exhibition space has changed according to the social movement for activating the support for authority of culture of citizen. New communication methods based on digital technology in exhibit space and diverse digital contents has rapidly developed, so that the overall media environment in present is facing new phase, actually, it does not dare to compare the scale or speed with before. Furthermore, it has been expecting that the digital technology would surpass media and media contents, for example, digitalization of the contents, to make a digitalization all of the system and existence style of human. Therefore, we should focus on new space communication represented by digital media and cultural change newly expected in prediction that the digital technology will change the whole human life style. Digital world is not only limited in technology now. It is the new culture by itself, and is changing our life. These days, media space freely transforms a sense of light. Because Media in the past has nothing to do with the fact that new media is utilized. Revolution of light has been starting throughout architecture and interior, for example, semiconductor light using high intensity LED (light emitting diode) is the role. The applicable scope of the LED will be expanded more rapidly in accordance with an improved performance and reduced cost, and it has been diversified. In the middle of that, the use of media expression has been diversified in exhibit space. In study hereinafter, diverse methods and possibility highly applicable to LED light as an expression source will be suggest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change of era. In order words, the communication about involvement and reaction between human and space will be focused, and possibility and role will be found to actively generate relation between interface space and media according to diverse expression way of media. The text hereinafter will be studied a possibility newly applicable to LED as an expression way of media in museum exhibit space which is viewed in media according to developing of digital technology, and a characteristic about concept being expressed in space. In addition, the text has classified into theoretical study and case analysis, and derived feature based on the above has developed for design. When it comes to design plans, the museum located in Gyeonggi-do Museum is targeted and analyzed current exhibit status to choose four spaces where is the most vulnerable and disconnected regarding of using of a space. And the design is suggested for improvement of environment image in the exhibit space of a museum. As a proper expression media of the space, LED can be applicable to reestablish a design according to the way of media. And then, the based on the expected effect, a value and possibility of the media expression applicable to LED in exhibit space of museum corresponding to current trends through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will be suggested. The study has focused on improvement between human and space by flow of digital and cultural era, and also focused on relation of diverse activity of human about media exhibit way for communication better than befo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실내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