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17 Download: 0

현대 건축의 외피 표현 경향에 따른 공간 연출용 아트패브릭 연구

Title
현대 건축의 외피 표현 경향에 따른 공간 연출용 아트패브릭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Art Fabric for Space Deco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Trend of Skin Expression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Authors
유은선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섬유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장연순
Abstract
우리의 삶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디자인의 영역은 실용적인 면을 넘어 사용자에게 감성을 전달하고 감동을 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에 디자인과 예술이라는 영역의 경계가 점차 허물어지며 조형성과 실용성을 겸비한 다양한 디자인이 나오고 있는 현실이다. 디자인과 예술 뿐 아니라, 같은 디자인 영역 안에서도 장르간의 경계가 무너지고 있는 문화적 현상 속에서 더 이상 각 분야의 범위를 구분하는 일은 쉽지 않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디자인의 범위 중 건축의 영역을 선택하고 그것으로부터 섬유 디자인 영역으로의 표현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21세기 현대 건축의 외피 표현은 과거와 달리 크게 변화하고 있다. 오랫동안 인간은 건축물이 지탱하는 구조와 재료적 특성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였지만, 외피에 관한 ‘구조와 외피 사이의 관계 연구’, ‘외피 재료와 물성에 대한 연구’들은 현대 건축에서 다양하게 표현되어지며 예술의 영역으로까지 그 개념을 점차 확장 시키게 되었다. 건축의 외피는 우선 구조적인 관점에서 출발하여 구조로부터의 자율성을 확보하게 됨에 따라 독립적인 건축의 요소로서 자유롭게 표현되고 있다. 이는 건축의 외피가 구조와 내부의 종속관계에서 벗어나 외피 자체로서 하나의 내용이 되고 평면 중심의 사고에서 탈피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건축의 외피 이미지에서 보여지는 특징적 표현을 아트패브릭으로 유입시켜 작품 제작 가능성을 시도한다. 기존의 전통적 패브릭의 개념에서 벗어난 소재, 형태, 기법으로 현대인들의 생활공간에서 하나의 오브제, 작품으로서 다양한 행태를 유발할 수 있는 새로운 아트패브릭을 제작한다. 본 논문의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대 건축에서 나타나는 외피 디자인의 정의와 개념에 대해 알아보고, 몇 가지 표현 경향으로 분류하여 건축 사례를 통해 이해를 돕는다. 둘째, 공간 연출용 아트패브릭의 정의와 의의를 학습하고, 다양한 사례에 대해 알아본다. 셋째, 작품의 모티브로 가능한 건축 외피 디자인을 선택하고 소재와 표현 가능성을 연구한다. 넷째, 각각의 작품 마다 샘플을 제작하고 실제 작업 전, 다양한 실험을 통해 디자인을 구체화 시킨다. 다섯째, 8그룹의 디자인으로 분류하여 11점의 공간 연출용 아트패브릭을 제작한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건축의 외피 디자인은 과거의 내력벽과 같은 구조체의 외피 개념에서 벗어나 비물질적이고 복합적 경향의 통합된 예술로서 건축 디자인을 완전하게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다. 둘째, 현대의 섬유분야 또한 과거의 것을 반복하는 방식이 아닌 재료에 대한 고정관념을 탈피하고 공예의 차원을 넘어 미의 본질적 요소를 인식하고 작가의 개성과 다양한 표현을 추구하는 자유롭고 새로운 입체 작품, 그 자체로의 순수 조형물로 변화하고 있다. 셋째, 모티브가 되는 건축의 외피 이미지를 분석하고 재해석하여 작품 제작이 가능한 재료, 표현 방법을 모색하고 그로 인해 다양한 공간 연출용 아트패브릭으로의 제작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다. 넷째, 여러 장르의 디자인들이 서로 넘나들고 소통하며 각각의 장점을 살려 시너지효과를 내고 또 다른 분위기의 것을 제시할 수 있다는 결과물을 얻을 수 있었다. 이에 향후 지속적인 다양한 분야와의 재해석, 효용적인 표현 방법들을 통해 더욱 완성도 높은 아트패브릭 개발과 연구의 가능성을 발견하였다.;The field of design that is closely related to our life goes beyond the practical aspect to communicate sensitivity and convey deep emotions. Hence, the boundary that marks up the sphere of art is crumbling while diverse types of design that incorporate formativeness and practicality are emerging. As the recent cultural trend blurs demarcation not just between design and art, but also between different areas of design, it is not easy any longer to distinguish scopes of different fields one from another. This research takes architecture from all different fields of design and explores the possibility of expressing therewith into the area of fabric design. Coming into the twenty-first century, skin expression in modern architecture is going through a big change, something unseen in the past. For long man has been bound to the structure that buildings sustain and material characteristics, but researches on the relation between structure and skin or studies on skin material and physical properties have met various expressions in modern architecture and even extended the scope of the concepts to include areas of art. Although it sprouted from the structural perspective, the architectural skin began to be expressed freely as an independent element of architecture when it secured autonomy from structure. This should mean architectural skin breaking out of structure and internal subordination to constitute another content by itself and get out of plane-centered thinking. This research explores the possibility of the characteristic expressions seen in the image of architectural skin applying to art fabric. This attempt is aimed at a new type of art fabric that breaks away from the traditional concept of fabric to serve as an objet and work, generating other various forms in contemporary living space. The thesis has the following contents. First, definitions and concepts of skin design that appear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are examined before they are classified into a few expressional orientations, with architectural examples additionally presented to help understanding. Second, the definition and significance of art fabric for space decoration are to be learned, while various examples are explored. Third, a skin design is selected to serve as the motive of a work while materials and possible expressions are studied. Fourth, for each work, samples are made, while the design is made concrete prior to the actual operation through various experiments. Fifth, designs are classified in eight groups while eleven pieces of art fabric are made with space decoration purpose. Following results have come out of the above research. First, design of architectural skin has evolved from structure and the traditional concept of a skin serving as an integrated bearing wall to an objet that completes architectural design as art incorporated into immaterial and complex orientations. Second, contemporary textile has stopped repeating the past mode and is transforming into pure sculpture in itself, a new and free 3D work that breaks away from stereotypes about materials to get beyond the dimension of craftsmanship and recognize the essential element of beauty, pursuing the artist's personality and diversified expression. Third, materials and methods of expression closest to the motive in the image of architectural skin have been explored to figure out the possibility of their application into creation of art fabric for space decoration. Fourth, the research has come up with the conclusion that various genres of design connecting across boundaries can exploit its strength to exert a synergy for proposing something with a different feel. And it has led to the finding that research and development work is feasible toward art fabric with higher level of perfection through convergence of various areas and diverse methods of express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섬유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