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4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자형-
dc.contributor.author배정아-
dc.creator배정아-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44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44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221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29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2218-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actice of pain assessment and management for preterm infants by nurses, thereby providing empirical data to be utilized in developing effective nursing strategies and teaching pain management. The sample consisted of 141 nurses who completed a self-report questionnaire in the following areas: knowledge and administration of pain assessment scales, assessment of responses to pain, perceived levels of pain after treatment, and delivery of pain intervention, knowledge and implementation of pain intervention strategies between April 6, 2012 and April 27, 2012.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program.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On average, study participants scored 1.94 (±0.52) in their knowledge of pain assessment scales for infants, and 1.60 (±0.42) in administration of pain assessment scales, indicating low levels of knowledge and administration of pain assessment scales. 2. Infants’ responses to pain appraised by nurses include ‘frowning' (96.4%), ‘increased heart rate’ (95.7%), 'crying' (95.7%), 'fussiness' (90.7%), and 'twisting’ (90.7%). 3. Nurses' knowledge and implementation of pharmacological intervention scores were 3.40 (±0.64) and 2.63 (±0.76) on average, respectively. As for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 the knowledge score was 3.54 (±0.40) and the implementation score was 3.24 (±0.37)with the highest score in the knowledge and use of a pacifier. 4. With respect to pain perceived by nurses following injection treatment provided in NICU, the average score was 2.69 (±0.54), while the average score for nurses' pain intervention performance was 1.86(±0.88) implying that pain management intervention was inadequate. 5. Nurses’ more clinical experience was related to higher level of pain perception, but fewer pain relief interventions were delivered. Receiving more education was related to higher levels of knowledge and more frequent administration of pain assessment. 6. Greater knowledge and administration of pain assessment were associated with providing more pharmacological and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The data showed that levels of nurses' pain relief intervention performance were lower compared to their knowledge in pain and that more education was related to higher pain-related knowledge which may lead to carrying out more pain relief intervention. Findings suggest that standardized pain assessment scales and development of nursing intervention strategies are needed. Efforts should be made to improve nurses' performance of pain assessment and management through continuing education. Future studies are warranted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such efforts.;본 연구는 신생아 집중치료실(NICU:Neonatal Intensive Care Unit)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미숙아 통증사정과 간호중재에 대한 지식 및 수행 실태를 파악함으로써 통증완화를 위한 간호전략 수립과 통증관리 교육에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012년 4월 6일부터 4월 27일까지 경기도, 서울 및 대전광역시 소재의 6개 병원 신생아 집중치료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141명을 대상으로 통증척도에 대한 지식 및 수행정도, 통증반응 사정, 처치에 따른 통증정도에 대한 지각과 완화중재 시행정도, 통증중재법에 대한 지식 및 수행정도를 자가 보고식 설문지법으로 조사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dow 18.0 program을 이용하였고 통계처리는 ANOVA Test, Duncan 검정,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간호사의 신생아 통증사정 척도에 대한 지식은 평균 1.94점(±0.52), 통증 사정의 수행은 평균 1.60점(±0.42)으로 사정척도에 대한 지식과 수행이 낮게 나타났다. 2. 간호사가 미숙아 통증을 사정할 때 살피는 미숙아의 반응으로 '얼굴을 찌푸린다'(96.4%), ‘심장 박동수 증가’(95.7%), '운다'(95.7%), '보챈다 '(90.7%), ‘몸을 뒤튼다’(90.7%)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3. 간호사의 약물중재 지식은 평균 3.40점(±0.64), 수행은 평균 2.63점 (±0.76)으로 지식점수에 비해서 수행점수가 낮았다. 비약물 중재에 대한 지식정도는 평균 3.54점(±0.40), 수행정도는 평균 3.24점(±0.37)으로 ‘노리개젖꼭지’에 대한 지식과 수행 점수가 높았다. 4. 신생아 집중치료실에서 시행되는 침습 처치에 따라 간호사가 지각하는 통증정도는 평균 2.69점(±0.54), 처치 시 간호사들의 통증중재는 평균 1.86점(±0.88)으로 통증 완화중재 수행이 적게 이루어지고 있었다. 5. 간호사의 임상 경력이 높을수록 지각하는 통증정도는 높으나 통증 완화 수행은 낮았고 교육경험이 많을수록 통증관리 지식과 수행이 높았다. 6. 간호사의 통증관련 지식과 수행정도는 정적 상관관계로 즉, 지식이 높을 수록 수행도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고려해 볼 때, 간호사들의 미숙아 통증에 관한 수행실태가 낮았고 통증교육경험이 많을수록 통증관련 지식과 통증완화를 위한 수행이 높은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미숙아의 효율적인 통증관리를 위해 간호실무 현장에서 표준화된 통증사정 척도, 간호중재 적용을 위한 간호전략 수립이 필요하며 미숙아의 통증 관리 향상을 위해 간호 현장에서의 실무교육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목적 4 C. 용어정의 5 II. 문헌고찰 6 A. 신생아 통증반응과 사정 6 B. 신생아 통증완화를 위한 간호중재 12 III. 연구방법 15 A. 연구설계 15 B. 연구대상 15 C. 연구도구 16 D. 자료수집방법 18 E. 자료분석방법 19 E. 연구의 제한점 19 IV. 연구결과 20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0 B. 간호사의 미숙아 통증사정에 대한 지식과 완화중재 수행 21 C. 간호사가 지각하는 미숙아의 통증정도와 완화중재 수행 28 D. 간호사 특성에 따른 미숙아 통증사정 및 관리 30 E. 간호사의 통증사정과 관리에 대한 지식과 수행간의 관계 37 V. 논의 38 A. 간호사의 미숙아 통증사정 38 B. 간호사의 미숙아 통증관리 41 VI. 결론 및 제언 46 참고문헌 49 부록 54 Abstract 6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3436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간호사의 미숙아 통증 사정 및 관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Nurses' Pain Assessment and Management for Preterm Infants-
dc.creator.othernameBae, Jung A-
dc.format.pagevii, 6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12.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