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5 Download: 0

협동적 출력과제 활동이 한국어 학습자의 문법 능력에 미치는 영향 비교

Title
협동적 출력과제 활동이 한국어 학습자의 문법 능력에 미치는 영향 비교
Other Titles
A Comparative Study on the Effects of Output-Oriented Tasks on Korean Learner's Grammatical Abilities : Focusing on Dictogloss and Text-editing Tasks
Authors
김수연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선희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문법받아쓰기(Dictogloss)와 텍스트수정과제(Text-editing tasks)를 활용한 출력 중심 과제 활동이 한국어 학습자의 문법 능력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 비교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Ⅰ장에서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을 밝히고 선행 연구를 검토하여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본고의 연구 문제는 첫째, 문법받아쓰기 활동인 학습자의 문법성 판단 능력과 문법성 사용 능력 중에서 어떤 능력에 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텍스트수정과제가 학습자의 문법성 판단 능력과 문법성 사용 능력 중에서 어떤 능력에 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가이고, 셋째, 문법받아쓰기와 텍스트수정과제를 통한 활동에서 학습자의 연결 어미에 대한 문법성 판단 능력이 사전 · 사후 검사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가, 마지막으로 네 번째는 문법받아쓰기와 텍스트수정과제를 통한 활동에서 학습자의 연결 어미의 문법적 사용 능력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가이다. 이어서 Ⅱ장에서는 본 연구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학습자의 문법 능력과 연구에 활용할 활동의 기반이 되는 형태 초점 의사소통 교수법에 대하여 살펴본 후에 마지막으로 협동적 출력과제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Ⅲ장에서는 실험 도구의 적절성을 확인하고 텍스트수정과제에 필요한 오류를 파악하기 위하여 예비 실험을 실시하고 본 실험에서는 각각의 활동 이후에 학습자들의 문법성 판단 능력과 문법적 사용 능력의 향상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 ·사후 검사지를 측정 도구로 사용하여 검사하였다. 연구 대상은 이화여자대학교 언어교육원에서 한국어를 학습하는 연수생이나 유학생 중에서 중급 이상 수준의 학습자들을 집단별로 각각 20명씩 총 4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문법 항목으로는 연결 어미를 설정하였는데 이는 한국어 의사소통에 필수적인 항목이면서 동시에 학습자들이 사용에 어려움을 많이 느끼고 자주 오류를 발생시키는 항목이기 때문이다. 다음 Ⅳ장에서는 두 집단 간 사전․사후 검사 결과 및 설문지를 분석하여 기술하였다. 첫째, 문법받아쓰기 활동은 학습자의 연결 어미 이해 능력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지만 사용 능력에서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텍스트수정과제 활동은 학습자의 연결 어미 이해 능력과 사용능력에서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며 활동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문법성 판단 능력에서는 텍스트수정과제 활동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지만 문법받아쓰기 활동에서도 유의미한 정도는 아니지만 문법성 판단 능력 검사 점수의 향상이 이루어졌음을 확인하였다. 넷째, 문법성 사용 능력에 있어서는 문법받아쓰기 활동과 텍스트수정과제 활동 모두 평균 점수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얻어서 활동의 효과성을 입증하였다. 전체적으로 문법받아쓰기 활동보다는 텍스트수정과제 활동이 형태에 더 집중할 수 있기 때문에 학습자의 문법성 판단 능력과 사용 능력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결론으로 연구의 의의 및 한계를 기술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에서 그 동안 잘 이루어지지 않았던 두 가지의 협동적 출력과제가 학습자의 문법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는 데 의의가 있다. 특히 텍스트수정과제를 활용한 연구가 한국어 교육에서는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었기 때문에 더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본고에서는 협동적 출력과제 중에서도 문법받아쓰기 활동과 텍스트수정과제 활동을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나 후속 연구에서는 협동적 출력과제 활동 중에서 다른 활동들을 활용하여 학습자의 언어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고에서는 문법 능력의 정확성에 바탕을 두었기 때문에 사용 능력 검사를 담화 차원에서 구성하지 않았으나 후속 연구에서는 텍스트수정과제 활동을 바탕으로 하여 담화 차원에서의 문법적 사용 능력을 검사해 보는 연구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how output-oriented tasks, Dictogloss and Text-editing task, will impact on Korean learner's grammatical abilities. To this, in Section Ⅰ, I revealed need and purpose of the study, reviewed the previous studies, and set up research problems. The research problems in this paper, first, which ability impacts more in Dictogloss, 'ability to decide grammar and ability to use grammar' of learners. Second, which ability impacts more in Text-editing tasks, ' ability to decide grammar and ability to use grammar' of learners. Thirdly, is there meaningful difference of ability to decide grammar for connections of learners in tasks through Dictogloss and Text-editing tasks. Finally, the fourth, is there meaningful difference of ability to use grammar for connections of learners in tasks through Dictogloss and Text-editing tasks. Followed in Section Ⅱ, I looked at form focus communication teaching method which is based on learner's grammatical abilities and research tasks, and lastly, considered theoretical background of collaborative output tasks. And in Section Ⅲ, in order to determine the adequacy of the experiment tools and understand necessary errors at Text-editing tasks, I conducted preliminary tests, and this experiment, in order to know about degrees of improvement of ability to decide grammar and ability to use grammar of learners, I examined, using pre-and post-tests as measuring equipments. The Study subjects were total 40, each of 20 in groups who learn Korean; they are intermediate or higher level trainees or international learners at the Ewha Womans University Korean Language Education Center. For grammar topic, I chose connection because it is subject that is fundamental item in order to communicate which is ultimate purpose of Koean Language, but learners feel many difficulties and make many errors. n Section Ⅳ, I analyzed and talked about pre and post-test results and questionnaires between two groups. First, Dictogloss activity cannot influence connection understanding ability, but in using ability, it had significant impact. Second, Text-editing tasks activity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in both connection understanding ability and using ability of learners, and I could determine the effects of the tasks. Third, in ability to decide grammar, Text-editing tasks activity displayed significant results statistically, but at the same time, in ability to use grammar, I also confirmed it is not much meaningful but there were improvements of ability to decide grammar. Fourth, in ability to use grammar, proved effectiveness of the tasks by gaining significant differences in average scores of Dictogloss and Text-editing tasks. Entirely, since Text-editing tasks activity can more focus than Dictogloss activity, I confirmed that it affects more positively at ability to decide grammar and ability to use grammar. Finally, in Section Ⅴ, I described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s conclusions. In this study, there is significance, comparing how two kinds of collaborative output tasks influence grammatic abilities of learners. Especially, since Text-editing tasks activity does not take place at all in Korean education, it could say it is more valuable. In this paper, I looked at Dictogloss and Text-editing tasks mainly in collaborative output tasks, but in post study, I could look at impact on learners' language skills in collaborative output tasks, using other tasks. In addition, in this paper, since it is based on the accuracy of grammar abilities, it didn't form usage ability test as discourse, but in post study, based on Text-editing tasks activity, it will be significant to check for grammatic using ability as discours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