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9 Download: 0

담화 표지어 활용 전략이 한국어 읽기 이해에 미치는 영향

Title
담화 표지어 활용 전략이 한국어 읽기 이해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discourse markers utilization strategy on Korean reading comprehension
Authors
김치리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규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들이 효과적으로 읽기를 수행할 수 있도록 읽기 전략을 교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고, ‘담화 표지어 활용 전략’이 한국어 읽기 이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연구이다. 담화 표지어 활용 전략은 학습자들이 담화 구조를 고려하여 읽기를 수행하도록 도우며, 담화 표지어를 통해 세부적인 이해뿐만이 아니라 전체적인 이해, 추론적인 이해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게 한다는 장점이 있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 문제 1. 담화 표지어를 활용한 읽기 수업이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 이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 문제 2. 담화 표지어를 활용한 읽기 수업이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 이해에 영향을 미칠 경우, 읽기 이해 유형별(세부적 이해, 전체적 이해, 추론적 이해)로 읽기 이해도가 다른가? 연구 문제 3. 담화 표지어를 활용한 읽기 수업이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 이해에 영향을 미칠 경우, 담화 구조 유형별(나열 구조, 원인·결과 구조, 문제·해결 구조, 비교·대조 구조)로 읽기 이해도가 다른가? 연구 문제 4. 담화 표지어를 활용한 읽기 수업은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 습관과 읽기에 대한 정의적 측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인가? 본 연구를 위해 서울 소재의 대학교 부설 기관에서 한국어를 배우고 있는 다양한 국적의 중급(4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실험 집단 및 통제 집단을 구성하였으며, 동질성 검사를 통해 두 집단의 읽기 이해력이 동질함을 검증하였다. 읽기 수업에 앞서 사전 독해 검사 및 사전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4주간에 걸쳐 총 8시간의 읽기 수업을 실시하였다. 실험 집단은 담화 표지어를 활용한 읽기 수업을 실시하였고, 통제 집단은 읽기 텍스트의 내용 및 문법과 어휘 설명 중심의 읽기 수업을 실시하였다. 그 후, 사후 독해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실험 집단을 대상으로 사후 설문 조사 및 사후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독립 표본 t-검정, 대응 표본 t-검정, 빈도 분석 등의 방법으로 분석하였으며,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경우에는 효과 크기도 계산하여 분석하였다. 이상의 실험을 통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담화 표지어를 활용한 읽기 수업을 한 실험 집단이 통제 집단에 비해 사후 독해 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효과 크기도 큰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담화 표지어를 활용한 읽기 수업이 읽기 이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사후 독해 검사를 실시하여 읽기 이해 유형별로 살펴본 결과, 세부적 이해를 제외한 전체적 이해 및 추론적 이해에서 실험 집단이 통제 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전체적 이해 및 추론적 이해의 효과 크기는 큰 수준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담화 표지어 활용 읽기 수업은 전체적 이해 및 추론적 이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검증하였다. 그러나 사후 독해 검사에서 세부적 이해는 통제 집단과 실험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통제 집단의 세부적 이해 점수는 사전-사후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는 점과, 실험 집단의 세부적 이해 점수는 사전-사후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는 점에서 담화 표지어 활용 읽기 수업이 세부적 이해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추정할 수 있었다. 셋째, 담화 표지어를 활용한 읽기 수업은 네 종류의 담화 구조를 이해하는 데에 각각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나열 구조의 효과 크기가 큰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원인·결과, 문제·해결, 비교·대조 구조도 효과 크기가 보통 수준과 큰 수준의 사이에 위치하였다. 넷째, 사전 설문 조사와 사후 설문 조사의 응답을 대응표본 t-검정으로 분석한 결과, 담화 표지어 활용 읽기 수업이 담화 구조 및 담화 표지어를 활용하여 읽는 습관으로의 변화를 가져왔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사후 설문 조사를 통해 담화 표지어 활용 읽기 수업이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에 대한 정의적 측면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담화 표지어 활용 전략을 훈련하는 읽기 수업을 구상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그것을 실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적용해 보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한국어 읽기 수업 현장에서 담화 표지어 활용 전략을 적극적으로 지도할 것을 제안한다. 또한 교사들이 기존의 읽기 텍스트를 개작하거나 직접 읽기 텍스트를 제작해서 부교재를 만들 때에도 이러한 전략을 반영하면 좋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 이해력 향상을 위하여 담화 표지어 활용 전략을 훈련할 수 있는 형태의 한국어 읽기 교재와 한국어 통합 교재를 개발할 것을 제안한다. ;The research has put importance on teaching reading strategies in order to enable Korean learners to effectively read and assess the effects of discourse markers utilization strategy on Korean reading comprehension. The discourse markers utilization strategy helps learners to consider the discourse structure and accomplish reading, and this strategy has the advantage in that it promotes not only specific comprehension through discourse markers but general comprehension and effective inferential comprehension.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to review this hypothesis. Question 1. Do the reading classes which use discourse marker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Korean learner’s understanding in Korean reading? Question 2. In the case the reading classes which use discourse markers have an effect on Korean learner’s understanding in Korean reading, is the level of reading understanding different per reading understanding type (specific comprehension, general comprehension, inferential comprehension)? Question 3. In the case the reading classes which use discourse markers have an effect on Korean learner’s understanding in Korean reading, is the reading understanding different per discourse structure pattern (Listing structure, Cause·Effect structure, Problem·Solving structure, Comparison·Contrast structure)? Question 4. Will the reading classes which use discourse markers have a positive effect on Korean learner’s reading habits and affective aspect towards reading? For this research, a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led group was established from learners of the Korean language from various countries studying at a university affiliated organization in Seoul, and the homogeneity in the understanding in reading of both groups was tested through a homogeneity test. Prior to the reading class, a prior survey and prior reading test was conducted, and a total of 8 hour reading class was implemented over a four week period. A reading class which used discourse markers was implemented o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led group was subjected to a class focused on details of the reading text, grammar, and vocabulary explanation. Afterwards, a post-reading test was conducted and a post survey and post interview was conducted on the experimental group.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sing the SPSS 14.0 program to conduct a independent sample t-test, matched pair t-test, frequency analysis, and in the case there was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led group, the effect-size was also measur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e tes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was subject to a reading class that used the discourse markers had statistical significant high grades, and the effect-size were also high. This shows that reading classes that used discourse markers had positive effects on reading understanding. Second, results of conducting a post reading test and observing the reading understanding pattern showed the experimental group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 grades compared to the controlled group in general comprehension and inferential comprehension, not specific comprehension. The effect-size of the general and inferential comprehension showed to be high. Accordingly, it was proven that reading classes using discourse markers had a positive effect on general and inferential comprehension.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led group in specific comprehension after conducting a post-reading text, however, taking into consideration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ost and pre specific comprehension grade of the controlled group while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post and pre specific comprehension grade of the experimental group, we can assume that reading classes which use discourse markers also have a positive effect on specific comprehension. Third, the reading class which used discourse markers show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understanding the four types of discourse structures. Especially, there was a huge effect on the Listing structure, and the effect-size of the Cause·Effect, Problem·Solving, and Comparison·Contrast structure was positioned between normal and high level. Fourth, after analyzing the responses to the pre and post questionnaire through a matched pair t-test, we were able to confirm that the reading classes using discourse markers brought about a change in the reading habits of using discourse structure and discourse markers. Furthermore, through the post questionnaire, we were able to confirm that the reading classes using discourse marker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Korean learner’s affective aspect towards reading. The significance of the research is that it is not limited to designing a reading class which uses the discourse marker strategy but has applied this to real Korean language training on set and proven its effect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 propose that the discourse marker utilization strategy is actively used in Korean language reading classes. Furthermore, I believe teachers will benefit from reflecting this strategy when adapting original reading texts or directly producing an auxiliary reading textbooks. In addition, Korean integrated textbooks and Korean reading textbooks in a form which can train the discourse marker utilization strategy should be developed in order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Korean language learn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