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254 Download: 0

줄리아 크리스테바의 아브젝트(abject)에 대한 목회상담학적 연구

Title
줄리아 크리스테바의 아브젝트(abject)에 대한 목회상담학적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Julia Kristeva's Abject from the Perspective of Pastoral Counseling: Focussing on The Uncanny Motherhood and The Construction of Subject
Authors
조현숙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기독교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손운산
Abstract
본 논문은 줄리아 크리스테바(Julia kristeva)의 아브젝트(abject)개념을 목회 상담학적으로 연구한 논문이다. 아브젝트는 유아가 모성적 공간을 떠나 어머니와의 동일시를 포기하고 아버지라는 상징계(the symbolic)를 향해 나아갈 때 갑자기 나타나 유아를 공격하는 심리내적 환상이다. 지금까지 모성에 대한 심리학적, 신학적 이해는 ‘선함’이라는 명제에 치중해왔다. 그러나 크리스테바의 아브젝트는 ‘선함’의 이면에 가려진, ‘나쁨’ 혹은 ‘불쾌’의 영역으로, 크리스테바는 인간이 이 어둠의 공간을 통과하여 의미화를 생산해낼 때 주체가 될 수 있다고 말한다. 또한 크리스테바는 모성의 단선적 논의를 해체시키고, 모성의 양가성과 복합성을 주장하며 아브젝트를 돌파한 주체는 명확한 지점에 모체와 분리되어 영속적인 지위를 얻는 것이 아니라, 기호계인 코라(chora)의 부정성(negativity)에 따라 순환을 반복한다고 이야기한다. 즉 치료는 과정만 있을 뿐이지 단계가 아님을 주장한 것이다. 본 논문은 아브젝트를 에크하르트(Meister Eckhart)와 폭스(Mattew Fox)의 신학적 특성인 부정성(negativity)과 연결하여 목회상담의 새로운 방법을 알아보았다. 그들은 무(無)로서의 인간, 무(無)로서의 하나님을 주장한다. 이들이 공통적으로 주장하는 것은 인간의 영혼은 어둠의 운동장에서 태어나며, 인간은 자신의 어둠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어둠안의 고통을 그대로 직면하고, 놓아줄 때(letting go) 자신을 싸고 있던 욕망도 함께 벗겨지면서 무(無)가 된다고 주장한다. 이때 인간이 이 무의 상황에서 하나님께 나아가는 것을 에크하르트는 돌파(breakthrough)라고 주장했고, 인간은 이 돌파의 과정을 거칠 때 새로운 영혼이 된다. 크리스테바는 아브젝트를 그녀의 정신분석에 도입하여, 분석의 공간에 끊임없이 무(無)를 환기시킨다. 즉 코라의 모성적 열락에 사로잡혀 있는 인간의 욕망을 벗기는 것을 아브젝트라 본 것이다. 주체는 이 고통의 과정을 통해 어머니를 비워내고 상실의 지대인 무(無)의 공간을 거치게 된다. 이 무(無)의 공간에서 어머니를 애도하고 의미를 부여할 때, 비로소 주체가 된다. 본 논문은 위의 에크하르트와 크리스테바를 연결하여 목회상담의 세 가지 방법론을 제시한다. 첫 번째 방법은 주체가 모성대상을 상실한 뒤 슬픔의 빈 지대를 미학적으로 승화시키는 ‘아브젝트 속으로(into)'이다. 여기서 주체는 자신의 고통을 고통으로, 아픔을 아픔으로 놓아두는 ’letting go'의 순간을 만난다. 두 번째 방법은 그 아름다움을 의미화의 기호로 생산해내는 '아브젝트를 너머(beyond)'인데, 여기서 주체는 자신의 고통을 너머 고통을 의미화시키는 초-기호(hyper-essential signified)를 생산한다. 셋째방법은 ‘아브젝트와 함께(with)'의 방법으로 아브젝트는 주체의 삶에서 영원히 분리되지 않고, 주체의 곁에 머물면서 주체를 ’무(無)‘의 상황에 남겨놓지만, 끊임없이 의미를 추동하는 존재임을 알아보았다.;This dissertation is a study of Julia Kristeva’s concept of 'abject' in relation to pastoral counseling. According to Kristeva, ‘abject’ is defined as a change in inward psychology, which suddenly occurs at the moment when the infant turns from the maternal space to the paternal symbolic. At this moment the infant gives up its identification with the mother and through this process of rejection, it begins to construct its own identity apart from the mother. Traditional theological and psychological understandings of maternity have been focused on the positive statement such as either ‘goodness’ or ‘greatness’. However, Kristeva’s realm of ‘abject’ presupposes the negative aspects of maternity described as ‘badness’ or ‘unpleasantness’ that is hidden behind the ‘goodness’ or ‘greatness’. Her basic argument is based on several aspects of maternity. While subject does not gain permanent status by overcoming ‘abject’ at a particular moment, it can be achieved by the ‘chora’, which is the motive behind this process. This dissertation attempts to explain the pastoral theological perspective of ‘abject’ as another approach. This study, the arguments of Matthew Fox’s and Meister Eckhart’s descriptions of humanity and God as ‘nothingness’ were selected. They share the idea that the human spirit and soul are born from a ground of darkness, therefore, humanity in theory faces pain in the darkness and let’s it go rather than eliminating self-darkness. After embracing the darkness, humanity can uncover inner desires and exist in ‘nothingness’ a condition of humanity before encountering of God. Eckhart calls this process of a human proceeding toward God, ‘breakthrough’ at which point a new spirit is created and humanity beings. By joining ‘abject’ with psychoanalysis, Kristeva continuously reminds us of the importance of nothingness for psychoanalysis. In other words, she regards ‘abject’ as a revealed human desire, which is caught in ‘jouissance’ and explains that subject rejects ‘mother’ through a painful process to arrive at a place of emptiness. This experience of ‘nothingness’ gives new meaning to the place of loss that is connected to consoling the elimination of mother. At the end of this process, a new subject is finally born. This dissertation is ‘abject’ was applied to pastoral counseling through case studies. Among Kristeva’s cases, three methodologies for explaining subject as nothingness and were introduced though Didie’s story and the story of a male, client A. At first when subject faces the sorrow after its loss of maternal object, its aesthetic improvement from emptiness to beauty was explained in terms of ‘into-abject’. Second, Eckhart’s ‘breakthrough’ was related to the production of beautifulness referred to as ‘beyond-abject’ and Subject in the 'beyond-abject' produces hyper-essential signified. Thirdly, the term ‘with-abject’, ‘abject’ was treated as something that would maintain the context of nothingness as a result of staying ‘with ‘abject’ until the establishment of endless mean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기독교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