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714 Download: 0

일상극 『어느 여인의 초상』에 나타난 정체성 담론

Title
일상극 『어느 여인의 초상』에 나타난 정체성 담론
Other Titles
Discussion autour de la question d'identité dans le théâtre du quotidien: Portrait d'une femme
Authors
고은진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불어불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도훈
Abstract
본 논문에서 다룰 작품은 미셸 비나베르(Michel Vinaver, 1927〜)의 일상극『어느 여인의 초상 Portrait d'une femme』이다. 일상극은 20세기 후반에 변화하는 세계의 흐름 속에서 기존의 아카데미즘, 관습화된 사고를 타파하고자 하는 요구로부터 탄생한 새로운 연극사조로, 일상극에서는 오늘을 살아가는 현대인들, 소시민들 혹은 노동자의 현실의 삶, 그 동안 부수적인 것으로 간주되어 배제되었던 평범한 일상이 중심으로 다루어진다. 미셸 도이치(Michel Deutsch), 장-폴 벤젤(Jean-Paul Wenzel)과 함께 현대 프랑스 일상극의 대표작가로 손꼽히는 비나베르는 일상극작품을 통해 일상에서 일어나는 일, 우연히 발생한 사건들을 통해, 보통사람들, 바로 우리들의 목소리를 드러낸다. 1969년부터 발표한 일상극 계열의 작품들에서 현대사회에서의 ‘일’과 관련된 치열한 인간관계를 보여준 비나베르는, 1986년에 발표한『어느 여인의 초상』에서 개인과 사회 그리고 정체성의 문제를 보여준다. 작품은 주인공 소피 Sophie의 자비에 Xavier살해라는 사건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재판과정이 주축을 이룬다. 재판이 이루어지는 법정에서 소피라는 인물에 대한 정체성을 밝혀내기 위해, 주변 인물들의 시선을 통해 구축되는 담론은, 법정의 인물들에 의해 재구성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아이러니하게도 소피의 정체성이나 자비에 살해행위의 동기조차 밝혀내지 못 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비나베르는, 일상극에서 시도한 새로운 극작법을 통해 재판과정을 입체적으로 보여준다. 본 논문에서는 비나베르가 일상극의 글쓰기에서 시도한 새로운 극작법들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그 의미는 무엇인지를 작품『어느 여인의 초상』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재판과정을 통해 나타나는 주인공 소피의 정체성 담론화 과정의 의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서론에서는 새로운 연극사조인 일상극의 탄생배경과 그 의의를 알아보고, 본론에 해당하는 Ⅱ장에서, 비나베르가 제시하는 새로운 극작법과 그것이 작품을 통해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볼 것이다. Ⅲ장에서는 작품에 나타난 공간과 시선을 중심으로 재판과정 중에 이루어지는 정체성 담론화의 과정에 대한 분석을 시도할 것이다. 이어서 결론에서 소피의 정체성 담론화 과정이 지니는 의미를 파악하면서, 작품『어느 여인의 초상』이 지닌 궁극적인 의미를 밝히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Michel Grinberg est un écrivain typique du théâtre du quotidien en France. Né en 1927 en France de parents russes, il s'est voulu écrivain dès son jeune âge. Sous le nom de Vinaver, emprunté à sa famille maternelle, il commence en 1953 une carrière professionnelle dans la société Gillette, qui le conduit à assumer des fonctions directoriales et lui assure pendant vingt-sept ans une pleine autonomie financière. Une première pièce Les Coréens(1955) remarquée par Roland Barthes, est montée successivement par Roger Planchon et Jean-Marie Serreau. Le théâtre du quotidien essaie de nous présenter notre époque, la vie quotidienne d'une nouvelle manière. Après Par-dessus bord(1969), Vinaver propose d'examiner la nouvelle écriture de ce théâtre au travers de sa pièce théâtrale. Quelle est donc la particularité de l'écriture de cet auteur? Dans son oeuvre le texte se présente en épisodes fragmentés ou morcellés. En fait, il essais un mélange. Pour ce faire, il adapte les techniques des arts voisins, notamment, celles des cinéma, des beaux-arts et surtout de la musique. Vinaver recoupe plusieurs moments et voix afin de comprendre et écouter différentes voix. Selons ses propres termes, les jours sont constitues d'éléments très divers: abrupt, abstrait, accès, agression, attente, banalité, clémence, comique, connaissance, connection, construction, contemporain, contigence, densité, distance, écoute, ennui, entrelacs, évidence, frottement, hiérarchie. Nous nous proposons donc d'examiner la nouvelle écriture de Vinaver au travers de Portrait d'une femme(1986). La pièce nous présente un jugement qui en fait constitue une discussion autour de question d'identité. L'auteur reste fidèle au déroulment des lecteurs. Il a associé aux débats juridiques de brèves séquences à même de contribuer à l'éclairer sur la personnalité énigmatique de la jeune femme. Cependant, la cour de justice il n'a aucune vérité. L'heroïne, Sophie refuse de devenir une discussion. Cette réflexion nous amène à mettre l'accent sur les relations sociaux(l'individu et la société). Vinaver montre les problèmes actuels comme la violence cachée dans la vie quotidienne ou le monde d'aujourd'hui.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불어불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