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42 Download: 0

유치원에서의 영어교육에 대한 협력교수(Co-teaching) 사례연구

Title
유치원에서의 영어교육에 대한 협력교수(Co-teaching) 사례연구
Other Titles
A Case Study of the Bilingual Co-teaching in Kindergarten
Authors
차경희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과정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황규호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s Co-teachers’ cognition, alterations and drawbacks of attitude, and future development. Followings are the research thesis. First, How does the bilingual Co-teacher influence the teacher’s cognition and attitude? Second, what is the effectiveness of bilingual Co-teaching? Third, what are the supplement points according to the difficulties of bilingual Co-teaching?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the bilingual Co-teachers which are four Koreans, and four English native speakers from the C Kindergarten located in Gyunggi-Do. Researcher employed the case study which involved interviews and observations. Interviews were classified with two processes; interviews with answering the selected questions in particular time and location and basic conversation between colleagues during the work time. Additionally the researcher widely analyzed the daily teaching plans, daily process from the record of feedbacks, role taking between a Korean teacher and an English teacher and the result of the evaluation. To sum up the result of the study; Firstly, through the teaching support between a Korean teacher and an English teacher and an experienced bilingual program teacher and an inexperienced bilingual program teacher, the bilingual Co-teachers leaded the instruction that can naturally communicate with two languages instead of that Korean and English languages we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s they give instructions for not only one semester but two semesters. additionally, English teachers that are unfamiliar with infants compare to Korean teachers due to their first time Co-teaching bilingualism needed time to accustom at the early semester so for the first semester, Korean teachers leaded class arrangement. On the other hand, they could finally lead instructions enthusiastically from what they have saw and learn as they were accustomed with the bilingual class. Also infants understood and accepted difference between two Co-teachers and learned cooperating relationship. Secondly, leading the class with two teachers lowered the teacher-children ratio but increased the communication level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Also as an English teacher and a Korean teacher cooperate together, infants could learn English from the environment that was based on natural communication with an English teacher. At the same time, they experienced huge range of instruction contents, class activities, and teaching methods from diversity that two Co-teachers have. On this process, two educators that are communicating, separating works and finalizing them became a great role model to students. Also Co-teachers had less pressure from dividing works with colleagues, and they could share information and fill up their weaknesses also that improved teaching skills and professionalism. From this interaction between two Co-teachers, tight relationship has formed and teachers were emotionally comfortable. Thirdly, student’s confusion had caused from the lack of consistency from disagreement between two Co-teachers, and sudden rose time of communicating in English at early stage of the bilingual class brought pressures to children. Furthermore, two educators experienced confusion from different view of education and teaching styles. There need a personal effort for great communication based on trust, and a national level exertion for time and opportunities for actual action (communicating) and improvement of professionalism. These are the suggestions base on the limitations the study have. First, public and national Kindergartens that the bilingual Co-teacher’s structural teaching formation can be applied should be selected and discuss the future expandability. Second, research participants should be expanded to students and parents and concretely observe the educationally effectiveness and influences to develop the bilingual Co-teaching as one way of educating infant in English language. Third, there is a research needed to actually 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bilingual Co-teaching from comparing different English teaching formations.;이 연구의 목적은 연구자가 소속되어 있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이중 언어반 협력교수방법의 사례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교사의 인식 및 태도의 변화와 효과 및 문제점, 그리고 발전방향 등을 탐색해 보는 데 있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중 언어반 협력교수가 교사의 인식 및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이중 언어반 협력교수의 효과는 무엇인가? 셋째, 이중 언어반 협력교수의 문제점에 따른 보완방법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참여자는 경기도에 위치한 C사례유치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4개의 이중 언어반 협력교사들로 한국어 교사 4명과 영어 교사 4명이었다. 연구자는 사례연구의 방법으로 면담과 관찰을 주로 사용하였다. 면담은 면담 질문지를 작성하여 정해진 시간과 장소에서 면담하는 반구조화된 면담과, 참여교사들과 함께 유치원 생활을 하면서 자연스럽게 대화를 나누는 대화의 방법이 사용되었다. 더불어 교사의 일일교육계획안과 교육일지에서 나타나는 하루 일과의 운영, 한국인 교사와 원어민 교사간의 역할 분담, 평가 결과 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중 언어반 협력교사들은 협력교수가 1학기에서 2학기로 진행됨에 따라 한국어 교사와 영어 교사 사이와 협력교수에 경험이 있는 교사와 경험이 없는 교사 사이의 교수적 지원을 통해 한국어와 영어가 서로 동떨어진 수업이 아닌 자연스럽게 두 언어가 오고갈 수 있는 수업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이중 언어반 협력교수를 하면서 유아들을 연임하는 한국어 교사에 비해 유아들을 처음 접하게 되는 영어 교사들이 학기 초에 적응하며 익숙해지는 시간들을 필요로 하여 1학기에는 한국어 교사가 주도적으로 학급운영을 운영하는 데 반해 2학기에는 영어 교사가 익숙해진 상황과 그동안 보고 배운 것들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학급을 운영하는 변화를 경험하였다. 또, 이중 언어반 협력교수를 통해 유아들은 이중 언어의 학습효과뿐 아니라 협력교사들이 서로의 다른 모습을 인정하고 받아들여 그 안에서 조화를 이루어가는 협력적 관계를 배울 수 있었다. 둘째, 이중 언어반 협력교수로 인해 학습자인 유아들은 교사가 두 명이므로 교사 대 유아 비율이 감소하고 상대적으로 교사와 유아간의 의사소통의 기회와 횟수는 증가하여 풍부한 상호작용을 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영어 교사가 한국어 교사와 협력 교수하므로 유아들은 매일 접하는 영어 교사와 의사소통을 목적으로 하는 자연스러운 환경에서 영어를 배우고 동시에 두 교사가 지닌 다양성으로 구성된 폭넓은 수업내용과 활동, 교수방법을 모두 경험하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두 명의 교사도 서로 의사소통하며 역할을 나누어 하나의 일을 완성하는 데 이는 유아들에게 좋은 모델링이 되었다. 더불어 이중 언어반 협력교수로 인해 교사들은 두 명의 교사이므로 역할분담에 따른 업무 부담이 줄어들었고 서로의 공유된 지식으로 부족한 부분을 채우면서 교수기술 등이 향상됨과 동시에 각자의 전문성도 향상되었다. 이러한 상호작용 가운데 두 교사는 긴밀한 유대관계를 형성하면서 심리적인 안정감을 가질 수 있었다. 셋째, 이중 언어반 협력교수를 진행하면서 두 교사의 의견 차이에서 오는 일관성의 결여는 유아들에게 혼란을 주었으며 이중 언어반 협력교수로 학기 초 영어 교사와 의사소통을 하고 수업을 하는 데 있어서 증가되는 영어시간은 유아들에게 부담감을 주었다. 그리고 두 교사는 교육관과 훈육방법의 차이로 인해 혼란을 겪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경험하게 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신뢰감을 바탕으로 한 의사소통을 위한 개인적인 노력과 이를 실천할 수 있는 시간과 기회의 장을 기관에서 마련하고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국가차원의 노력이 요구된다. 본 연구의 제한점을 토대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중 언어반 협력교수의 구조적인 방법을 활용할 수 있는 국·공립 병설유치원을 선정하여 적용해 보고 확대가능성에 대해 논할 필요가 있다. 둘째, 이중 언어반 협력교수를 유아영어교육의 한 방법으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연구의 참여자를 교사 외에 유아와 학부모로 확대하여 교육적 효과와 영향을 구체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셋째, 유아들에게 영어를 가르치는 다양한 교수방법들과 비교하여 이중 언어반 협력교수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과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