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경실-
dc.contributor.author이희진-
dc.creator이희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41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41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6998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26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9982-
dc.description.abstractSeoul City was appointed World Design Capital for 2010 by ICSID(International Council of Societies of Industrial Design). Thus, Design Seoul Head Office was established and many design businesses are being performed to create the own brand of Seoul. In the process of those businesses, three symbols of the Seoul City were made and one of them is the Seoul Color. To make urban environment pleasant, color planning for public facilitie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be considered. These days, when designers do public designs, they consider all kinds of people including the disabled. However, when it comes to color planning, most of them miss considering color blindness. Therefore, color scheme using Seoul Colors considering color blindness is proposed, so that it can be helpful to those designers who will design public facilities in the future. The construction of this thesis is as follows. First,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behaviors of the color blindness are researched for normal sighted people to understand them. Second, all the public facilities in Seoul City are studied. Third, public facilitie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color functions considering color blindness. Fourth, theories of color harmony are classified by color functions. Fifth, color schemes, made up of Seoul Colors, are designed according to the color functions considering color blindnes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lor blind people sees all the R, YR, Y, GY, G and BG colors as yellow-reddish color and all the B and BR colors as blueish color. Therefore, it is not recommended to use those colors together. Second, safety function, identification function, and esthetic function are selected as color functions considering color blindness. Third, theory of color harmony for safety function is complementary contrast. Theory of color harmony for identification function is brightness contrast. Theory of color harmony for esthetic function is association contrast. Applying these results, 26 color schemes are designed in this study. Every designers can design color schemes using the results of this thesis. Thus, it is recommended for public designers to not only use the proposed 26 color schemes, but also design their own color schemes according to their needs. The results of the thesis can be very useful and helpful to the color blind people and to those designers will design public facilities. It is expected tha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paper, all the designers consider color blindness as they design public facilities and can provide color blind people better lives.;국제산업디자인단체협의회에 의해 2010년 세계디자인수도로 선정된 서울은 디자인도시의 수립을 위해 다양한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그 중 가장 대표적인 예로는 디자인 서울 총괄본부를 만들어 전문적인 차원에서 디자인혁신을 통한 서울 고유 브랜드를 적극적으로 창출하고 있는 일이다. 서울시는 디자인 서울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서울의 상징 3가지를 정하여 디자인 도시를 수립하는데 효과를 더하고 있는데 그 중 하나가 서울색이다. 서울의 도시환경을 쾌적하게 개선하기 위하여 빠질 수 없는 고려요소의 하나는 공공시설물의 색채계획이다. 따라서 서울색을 적용한 공공시설물은 서울 고유의 브랜드를 창출하는데 큰 몫을 할 것이다. 수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서울시 공공시설물은 일반인이든 장애인이든 누구나 사용 가능한 유니버설디자인의 개념이 적용되어야 한다. 공공시설물의 색채계획 단계에서도 유니버설디자인의 개념은 반드시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디자이너들은 몸이 불편한 장애인을 고려하여 좀 더 편리하고 다양한 형태의 공공시설물을 디자인하고 있지만 그 중 색각이상자는 색채를 지각하는데 있어서 일반인과는 달라 디자인을 할 때 고려해야 하는 대상이라는 사실을 간과하고 있다. 다른 선진국에 비해 우리나라는 아직 색각이상자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기 때문에 색채계획 시 디자이너가 색각이상자를 충분히 고려하지 않고 색채를 적용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색각이상자를 고려한 서울색을 사용한 배색을 제안함으로써 색각이상자에 대한 이해를 돕고 서울시 공공시설물의 색채계획에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하였다.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본 연구를 하게 된 배경과 목적을 언급하고 연구 범위와 방법을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공공디자인과 유니버설디자인의 개념에 대해 기술 하였고 색각이상자에 대한 이해를 위해 그들의 생리적 특성과 행태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디자인 서울에 대한 조사를 통해 배색에 사용될 서울색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았다. 3장에서는 배색을 하기 위한 현황조사를 하였다. 먼저 서울시 공공시설물의 종류에 대한 조사를 하고 색각이상자를 고려한 색채기능을 선별하여 각 기능에 맞게 공공시설물을 분류하였다. 다음으로 색각이상자의 색채지각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색각이상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일반인과 색각이상자의 색채 지각을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서울시에서 권장하는 서울색 가이드라인에 포함되어 있는 추천배색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비교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기존에 적용되어 있는 서울시 공공시설물의 색채현황을 살펴보고 서울색이 적용되어 있는 대표적인 공공시설물을 선별하여 시뮬레이션을 통해 분석하였다. 4장에서는 배색을 위하여 색채조화론에 대해 기술하였다. 다양한 색채조화론의 원리와 종류를 알아보고 색채의 기능을 기준으로 각 기능에 맞는 배색을 할 때 사용될 수 있는 조화원리를 분류하였으며 보다 정확하고 원활한 배색을 위해 환경색채계획에 많이 사용되는 NCS를 사용하여 서울 지역색 50색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분석한 서울색과 조화원리를 바탕으로 색각이상자를 고려한 색채기능에 적합한 배색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색각이상시뮬레이션과 색차 값을 통해 제안한 배색이 목적과 기능에 맞게 제작 되었는지 검증한 후 공공시설물에 직접 적용해 보았다. 5장에서는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평가하였으며, 본 연구의 의의와 기대효과를 기술하였다. 본 논문의 결과로 서울 지역색 50색을 고르게 사용한 26가지 배색을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를 이용하면 26가지 배색뿐만 아니라 보다 많은 배색의 조합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제안한 배색은 공공시설물 뿐만 아니라 공공디자인, 제품디자인, 시각디자인, 그래픽디자인 등 다양한 디자인에 모두 사용 가능하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 론 1 A.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B.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II. 공공디자인과 색각이상자 6 A. 공공디자인의 개념과 유니버설디자인 6 1. 공공디자인과 유니버설디자인의 정의 6 2. 유니버설디자인의 원칙 7 B. 색각이상자의 생리적·행태적 특성 9 1. 색각이상자의 생리적 특성 9 2. 색각이상자의 행태적 특성 12 C. 디자인 서울 및 서울색 가이드라인 17 1. 디자인 서울 설립 배경 17 2. 서울색 가이드라인 19 III. 색채기능별 공공시설물 분류 및 서울색 적용 현황 분석 24 A. 색각이상자를 고려한 색채기능별 서울시 공공시설물 분류 24 1. 서울시 공공시설물의 종류 24 2. 색각이상자에게 필요한 색채의 기능별 서울시 공공시설물 분류 26 B. 색각이상자의 색채지각과 서울색 가이드라인 추천배색 분석 30 1. 색각이상자의 색채지각 분석 30 2. 서울색 가이드라인 참고배색 색각이상 시뮬레이션 분석 34 C. 서울시 공공시설물의 색채 활용 37 1. 서울시 공공시설물 서울색 적용현황 37 2. 서울색 적용 공공시설물 색각이상 시뮬레이션 분석 40 IV. 색각이상자를 고려한 색채기능별 공공시설물 배색 42 A. 배색을 위한 색채조화론 42 1. 색채조화론의 원리와 종류 42 2. 색각이상자를 고려한 색채기능에 적합한 조화원리 48 B. 색각이상자를 고려한 색채기능별 서울시 공공시설물 배색 50 1. 서울 지역색 50색 NCS 분석 및 색각이상 시뮬레이션 50 2. 색각이상자를 고려한 색채기능에 적합한 배색 제안 61 C. 제안한 배색 검증 및 적용 65 1. 색각이상 시뮬레이션과 색차 값을 통한 배색 검증 65 2. 배색 적용 71 V. 결론 77 참고 문헌 80 Abstract 8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96421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색각이상자를 고려한 서울시 공공시설물 배색 디자인-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서울색의 기능적 적용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Color Scheme Design of Public Facilities in Seoul City Considering Color Blindness: Focusing on the Color Function of Seoul Colors-
dc.creator.othernameLee, Hee Jin-
dc.format.pagexi, 8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디자인학부색채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