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4 Download: 0

디스플레이에 재현된 디지털 컬러의 면적효과에 따른 감성반응에 관한 연구

Title
디스플레이에 재현된 디지털 컬러의 면적효과에 따른 감성반응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motional Response according to the Area Effect of Digital Color recreated on the Display
Authors
민지영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색채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경실
Abstract
오늘날의 미디어환경은 PC의 네트워크화를 넘어 비 PC 기기의 네트워크화로 발전되면서, 다양한 크기의 디스플레이가 나타나고 있다. 이와 같은 변화는 콘텐츠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콘텐츠에서 정보를 전달하는 효과적인 수단으로 사용되는 색채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디스플레이상의 색채는 검색시간을 줄여주거나 회상을 높이는 심리 · 생리학적인 영향력을 가지고 있고, 이런 색채의 중요성은 날로 커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디지털 신호에 의해 만들어진 색채인 디지털 컬러에 관한 시각적 요소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으나, 디스플레이에 재현되는 디지털 컬러의 면적에 관련된 연구는 미흡한 상황이다. 색채의 중요성에 맞추어 디지털 컬러의 면적효과에 관련된 세부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연구자는 디스플레이의 크기에 따라 면적 변화를 갖는 디지털 컬러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을 밝히고, 기존의 면적효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디스플레이상의 디지털 색채에 대한 물리적, 심리적인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 기존의 면적효과와 비교 분석하여 연구를 전개하였다. 본 연구는 인간의 지각적· 심리적 반응을 살펴보기 위해 색지각(컬러매칭) 실험과 감성 반응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에 따른 결과를 면적에 따라 분석하여 색지각과 감성 반응을 알아보았으며 색상, 명도, 채도로 분류하여 설명하였다. 디지털 컬러의 면적효과는 면적이 커짐에 따라서 밝아지고 선명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디지털 컬러에서 색상Y나 고명도와 같이 L*값이 클 때 명도의 변화가 일어나지 않았고, 색상B, P나 저명도와 같이 L*값이 작을 때 채도의 변화가 일어나지 않았다. 즉 디지털 컬러의 면적효과는 L*값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디지털 컬러에서 채도 단계가 낮을수록 명도의 변화가, 채도 단계가 높을수록 채도의 변화가 크게 보여 졌다. 디지털 컬러의 면적 변화에 대한 선호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디스플레이에 재현된 디지털 컬러의 면적효과는 색채 선호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디지털 컬러의 면적 변화에 따른 감성어휘 반응을 분석한 결과, '밝은', ‘매끄러운’, '섬세한'을 제외한 3개의 항목인 ‘선명한’, ‘풍부한’, ‘입체감’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디지털 컬러의 면적 변화가 ‘선명한’, ‘풍부한’, ‘입체감’의 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디지털 컬러의 면적 변화에 따른 감성어휘 반응은 면적이 작을 때보다 클수록 ‘입체감’, ‘선명한’, ‘풍부한’을 더 느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색상 R, Y일 때 ‘입체감’, ‘선명한’, ‘풍부한’이 높은 반응을 보여 졌다. 또 명도와 채도가 커질수록 ‘입체감’, ‘선명한’, ‘풍부한’이 높은 반응을 나타냈으며, 이는 밝고 선명해질수록 감성 반응이 높아지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디스플레이에 재현되는 면적의 색채계획 방향과 향후 연구 과제를 결론으로 제시하였다.;As today’s media environment is developed even to the networking of non-pc apparatus beyond the networking of PC, various sized displays have been created. These changes not only affect the contents directly but exercise a substantial influence on the colors that are used as an effective method for delivering information through the contents. Colors on the display has a psychological · physiological influence reducing searching time or heightening remembrance and the significance of colors has grown in importance. With relation to this, visual elements of digital color which are created by the digital signal are receiving much attention, but study on the area of digital color recreated on the display is still insufficient. In consideration of the importance of colors, the necessity of detailed study in respect of the area effect of digital color is coming to the fore. Thus, researcher in this study clarified the necessity of study on the digital color having changes of area according to the size of display and looked into the existing area effect. Research also examined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effect of digital effect on the display and developed study by making comparative analysis on the existing area effect. To make a close examination on the perceptual · psychological response of human, this study carried out color perception(color matching) experiment and emotional response experiment respectively. By analyzing the result of experiment according to the size, researcher of this study examined the color perception and emotional response and made an explanation by classifying the result into color, brightness and chroma. The result showed the area effect of digital color becomes brighter and clearer as the area becomes larger. However, brightness remained unchanged when L*value is big in the digital color such as color Y or high brightness and no changes were found in chroma either when L*value is small such as color B, P or low brightness. In other words, the area effect of digital color turned out to be influenced by L*value. It also turned out that the lower the chroma level in the digital color, the bigger the changes of brightness, whereas the higher the chroma level, the bigger the changes of chroma. Meanwhile, there was not much preference of change of digital color in respect to the change of area. Area effect of digital color recreated on the display turned out to have no influence on the color preference. However, analysis on the response of emotional vocabulary according to the change of area of digital color showed there was a difference in 3 items of ‘clear’, ‘rich’ and ‘three-dimensional effect’ excepting ‘bright', ‘soft’ and 'delicate', which means that the change of are of digital color affects the emotions of ‘clear’, ‘rich’ and ‘three-dimensional effect’. As for the response of emotional vocabulary according to the change of area of digital color, the result shows that people feel more ‘three-dimensional effect’, ‘clear’ and ‘rich’ when the area becomes larger. And ‘three-dimensional effect’, ‘clear’ and ‘rich’ showed higher response with R and y color. The bigger the brightness and chroma, the higher the ‘three-dimensional effect’, ‘clear’ and ‘rich’, which can be interpreted that emotional response gets higher when it becomes brighter and clearer. Through the results mentioned above, this study suggested the direction of color planning and future research project as a conclusion for area recreated on the displa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