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48 Download: 0

지역약국에서의 효과적인 실무실습방안 연구

Title
지역약국에서의 효과적인 실무실습방안 연구
Other Titles
Study of Good Pharmacy Practice Experience in Community Pharmacy: Focused on Roles and Qualification Standards of Preceptors
Authors
김승화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임상보건과학대학원 임상약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병구
Abstract
Today, the global trend in therapy is shifting from pharmaceutical centeredness to patient-centeredness. Therefore, pharmaceutical colleges must emphasize educational content not focused on drugs but on drug therapies and patients. Korea, too, in order to cultivate expert pharmacologists with improved clinical and practical abilities, has since 2009 revised its pharmacological educational system to adopt a 6-year program, stressing clinical and practical courses for its curricula, introducing practical training to the pharmaceutical schools and programs, and changing the educational environment so that after graduation students can perform their jobs professionally in clinical settings. This study is to discuss practical training to be held in regional pharmacies under the 6-year program, seek directions for development, and investigate the roles and certification criteria of preceptors for guiding the practical training. The methodology of the study involved document survey and the collection of online information via the Internet, focusing on the important task of practical training at regional pharmacies under the 6-year system to determine the status of the regional training and directions for progress. Cases from the US and Japan, which implemented the 6-year program early on, were referenced. In the case of the USA, the Accreditation Council for Pharmaceutical Education (ACPE), the accrediting institution for pharmaceutical education, provides criteria and guidelines for practical training, and the IPPE, Introductory Pharmacy Practice Experience, is 300 hours, and APPE, Advanced Pharmacy Practice Experience, 1440 hours, with differences in hours given to regional pharmacy practical training depending on the school. Those pharmacologists supervising the student trainees and interacting with them in their training during the rotation are called preceptors. They serve as professional models for the students, instruct them with the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ir training, coach them while evaluating and grading them using a performance scale, and facilitate the students’ growth for becoming future colleagues by creating an environment of trust and mentorship. Qualifications for becoming a preceptor vary by state. Korean Association of Pharmacy Education stipulates a total 1600 hours of practical training, with 960 hours of required practical training and 640 hours of advanced practical training. Preceptors take charge of the student education at the training site, guiding, teaching and evaluating them in the capacity of part-time instructors. Schools are in charge of preceptor qualifications and renewals and unlike the US, both Korea and Japan require preceptors to undergo required training as practical training instructors. It also stipulates GPP (Good Pharmacy Practice) as criteria for ensuring consistency in regional pharmacy training. The GPP is important to the development of the 6-year system as a means to securing quality pharmaceutical service and standards for training environment. Practical training at regional pharmacies must take advantages of the characteristics of each individual pharmacy and be conducted according to each professionalized field. Professionalized practical training instructors can guide students better. In anticipation of the implementation of practical training beginning next year, this study focused on regional/local pharmacies centered on the US cases. The fact that more countries could not be studied with respect to the 6-year system is a limitation of this study. But it is significant in that organizes information about the regional pharmacy training overall, including educational plans, pharmacy standards, the concept of preceptor, etc. With a view to the first implementation of practical training next year, regional pharmacies require much preparation and support to conduct systematic practical training. The most important aspect is the cultivation and management of preceptors. The clinical skills of pharmacology students will be cultivated through the new practical training, and this is expected to provide good quality medical service at regional pharmacies responsible for the public’s health and care.;현재 세계적인 추세는 의약품 중심에서 환자 중심의 치료가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약사를 양성하는 약학대학의 교육 또한 약물 중심이 아닌 약물 치료중심, 환자 중심으로 교육내용이 강조되어야 한다. 우리 나라도 임상실무 능력이 향상된 전문 약사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2009년도부터 약학대학 학제를 6년제로 개편하고 약학대학 커리큘럼에 임상관련 과목을 강화하고 약학교과 과정에 실무실습을 도입하면서 졸업 후 바로 임상에서 약사가 전문적으로 직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교육환경의 변화를 주고 있다. 본 연구는 앞으로 시행될 약대 6년제 하에서 실무실습 중 지역약국에서의 실무실습에 관한 것을 논의하고 발전방향을 모색하고 실무실습을 지도하는 프리셉터의 역할과 자격기준에 대해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 방법은 문헌조사와 인터넷 전자정보 수집을 통하여 약대 6년제의 중요한 과제인 실무실습 중 지역약국에 초점을 두어 지역약국의 실무실습의 현황과 나아가야 할 방향을 알아보았다. 특히 약대 6년제를 선진적으로 도입한 미국과 일본 등의 운영 사례를 참고하였다. 미국의 경우 약학교육의 인증기관인 Accreditation Council for Pharmaceutical Education (ACPE)에서 약학교육 중 실습에 필요한 기준과 가이드를 제시하는데 예비 실무 수습(IPPE, Introductory Pharmacy Practice Experience)은 300시간, 고급 실무 수습 (APPE, Advanced Pharmacy Practice Experience)은 1440시간으로 지역약국 실무실습에 할당되는 시간은 각 학교마다 차이가 있다. 이러한 로테이션(rotation, 약국 실무실습) 동안 약대학생을 감독하고 상호 작용하는 실무를 하고 있는 약사를 프리셉터(Preceptor)라 한다. 프리셉터는 전문가인 약사로서의 역할(modeling), 학생들이 필요한 정보를 습득하는 것을 가르치는 교사로서의 역할(instructing), 절차와 규정에 따라 평가하고 점수를 부여하는 감독자로서의 역할(coaching), 신뢰하고 가르치는 분위기를 조성하고 미래에 같이 일할 동료인 개인으로서의 역할(facilitating)을 한다. 프리셉터의 자격 기준은 미국의 주 별로 다르다. 우리나라는 한국약학교육협의회에서 제안한 총 실무실습은 1600시간으로 필수실무실습에 960시간, 심화실무실습에 640시간으로 제시되었다. 실무현장에서 학생의 교육을 담당하게 될 약학대학의 비전임교원으로 학생을 지도, 교육하고 학생의 실무수행능력을 평가하는 실무교육강사(프리셉터)라 한다. 실무교육강사의 자격 인증과 갱신은 학교가 주체가 되어 결정하고 운영하는데 미국과 달리 우리나라와 일본의 경우는 실무실습교육강사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을 이수를 필수 조건으로 제시하고 있다. 또한 일관성 있는 지역약국 실무실습을 수행하기 위한 기준으로 우수약무기준(GPP, Good Pharmacy Practice)을 제시하였다. 우수약무기준(GPP)는 약대 6년제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 중요한 요소이고 약제서비스의 질 확보와 실습 환경 기준이 될 것이다. 지역약국의 실무실습은 각 약국의 특징을 잘 살려서 전문화된 분야별로 수행해야 하며 전문화된 실무교육강사가 학생들에게 보다 양질의 지도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는 내년에 시행될 실무실습을 앞두고 지역약국에 중점을 두어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6년제인 학제에 중점을 두어서 보다 많은 나라의 사례를 살펴보지 못한 것이 이번 연구의 한계점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처음 시행되는 지역약국 실무실습의 교안과 실무실습 약국기준, 프리셉터(Preceptor)인 실무교육강사의 개념 등 전반적인 지역약국 실무실습에 대해 정리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내년에 시행될 첫 실무실습 시행을 앞두고 체계적인 실무실습을 하기 위해 지역 약국은 많은 준비와 지원이 필요하다. 그 중에 가장 중요한 것은 프리셉터의 양성과 관리이다. 앞으로 시행될 약국실무실습을 통하여 임상실무 능력이 향상된 전문 약사 인력이 양성될 것이며 일차적으로 국민보건의료를 책임지는 지역약국에서 양질의 의료서비스가 제공될 것을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약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