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9 Download: 0

1960-70년대 ‘밀양아랑제’와 아랑 기억의 각축

Title
1960-70년대 ‘밀양아랑제’와 아랑 기억의 각축
Other Titles
Competition of ‘Milyang Arang Festival’ and Memories on Arang in 1960-70s : Focusing on Perspective of Women and The Locals
Authors
서정은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여성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지영
Abstract
이 연구는 1960-70년대의 지배적인 국가담론으로 포획되지 않은 아랑 기억의 재생산에 주목하여, 아랑 기억을 둘러싼 다양한 입장들의 경합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성폭행 당하고 죽어 귀신이 된 ‘아랑’이라는 주변적이고 문제적인 전통여성이 불편하게 활용된 과정과 방식을 분석하고 지역에서 아랑 기억이 필요했던 맥락을 드러내었다. 이 연구는 기존의 역사 속에서 배제되었던 주변화된 여성에 대한 기억들과 그 기억에 개입된 지역민들의 다층적 입장을 드러내려는 작업으로, ‘아랑’이 활용된 맥락을 가시화하기 위해서 기존의 근대, 서구화, 민족주의, 전통여성에 대한 논의뿐 아니라 ‘지역’이라는 구체적 공간과 한국전쟁이라는 역사적 상황, 그 안에서 구성된 여성들의 입장은 어떠했는지를 분석의 축으로 가져온 점에 의의가 있다. 연구의 내용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시대부터 1960년대 이전의 아랑 이야기들을 분석함으로써 이야기 속에 새롭게 해석될 수 있는 다양한 요소둘이 있음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아랑은 조선시대부터 열녀로 기억되었지만 그 ‘열녀 이미지’는 균질하지 않았으며, 특수한 역사적 국면마다 순결하고 아름다운 여인, 복수하는 여귀와 같은 이미지들이 부각되거나 첨가된 것이었다. 이처럼 아랑은 특수한 관심과 필요에 의해 재구성되는 소재였고, 1960년대 정부의 정책적 지원과 채택에 의해 ‘열녀’로 자리매김할 수 있었던 것도 시대적 맥락에서였다. 아랑 기억이 다듬어진 방식은 남성중심적인 것이었다. 따라서 아랑 이야기에 내재된 여성의 섹슈얼리티, 성폭력과 같은 쟁점들은 비가시화되어 왔다. 둘째, 국가의 의도 속에서 동원된 아랑 기억이 과연 지역이라는 실제 공간에서는 국가적인 맥락에 영합하고 또 이와 대비되면서 어떠한 방식으로 구축되었는지를 확인하였다. 지역축제인 ‘밀양아랑제’는 민족’과 ‘전통’이 중요시되기 시작하는 1960-70년대의 정부 문화정책과 맞물리면서 아랑에 대한 기억들을 생산해냈다. 1960년대 초중반 부흥하였던 밀양아랑제는 축제에 관(官)이 개입하고, 아랑 기념에 대한 의구심이 제기되면서, 점차 아랑을 행사에서 주변화하고 재배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축제의 일환으로 구성된 행사와 퍼포먼스들 속에서 아랑은 점차 추모 대상에서 ‘정순의 미녀’로써 재현되었는데, 이는 과거 아랑 기억과의 균열을 만들어냈다. 축제에서의 아랑의 주변화에는 아랑 기억에 내재된 미심쩍은 지점들이 작용했으며, 이 균열과 아랑 이야기가 가진 불편함은 아랑을 국가적 열녀에서 다시 밀양 지역의 열녀로 회귀하게 만들었다. 셋째, 대중기억의 각축장(角逐場)으로써 아랑을 분석하여, 단지 국가적인 권력과 동원으로만은 해석하기 어려운 지역민들, 일반 대중의 아랑 기억 만들기 참여와 노력을 맥락화하였다. 아랑 기억은 국가의 공식 담론에서 정당화되기 어려운 암울하고 애매한 부분들을 내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기억이 국가적으로, 지역적으로 활발하게 생산되며 활용되었던 데는 모호한 지점들을 자신들의 입맛에 맞게 활용하고자 했던 수많은 주체들과 집단들의 욕망이 작용했다. 국가는 축제를 통해 당시 전통론에서 강조되었던 ‘정신문화’를 확산시키고 지역민들을 국민으로 동원하려 했으나, 중앙정부 중심의 정책에서 상대적으로 주변적 위치에 놓였던 주체들은 아랑 기억을 통해 자신의 욕망을 드러내고 입장을 관철시켰다. 향토민들은 축제를 통해 아랑 기념사업을 자신들의 자부심의 근거로 규정하고, 이 기념사업에 비판을 가하는 세력과 대비되는 정체성을 구성하면서 ‘지역’의 입장을 관철하였다. 그러나 지역 내에서조차 아랑을 기념하는 것에 대한 비판 역시 있었는데, 그러한 갈등은 밀양 지역에 공고하게 자리 잡은 불교와 유림 지지세력의 개입, 여성인물이 지역을 대표한다는 것에 대한 불편함으로부터 발생했다. 반면에 주변화되었던 지역여성들의 입장은 향토민으로 대변되는 입장과는 또 다른 것이었다. 전후 여성들을 문제적인 대상으로써 규정하는 시각은 특히 종법질서가 공고한 밀양 지역사회의 특성과 결합되면서 여성들을 더욱 억압하였는데, 이들에게 있어 아랑은 자신들의 기구한 처지를 투영할 수 있는 거울이었다. 더불어 아랑 기억으로 구성된 축제는 주변화된 여성들의 목소리를 낼 수 있고, 여가를 즐길 수 있는 기회이기도 했다. 비록 그 목소리가 아랑 기억을 옹호하는 하나의 목소리처럼 보였을지 모르지만, 그 안에는 다양한 주체들의 다른 욕망들이 경합하고 있었다. 이 연구가 흐릿해진 1960-70년대의 아랑 기억에 주목하고 이를 분석의 대상으로 가져온 것은, 명백히 드러나는 제도와 이념이 아닌, 그것들을 빗겨나 있는 희미한 기억을 봄으로써 지금까지 억압되어 있던 경험과 기억들에 목소리를 부여하기 위해서이다. 특히 ‘기억’에 주목하는 것은 기억이 제도, 이념, 지식과 밀접하게 닿아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완벽하게 포획당하지 않고 지역적인(‘로컬’한) 성격을 띠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아랑 기억을 살펴보는 것은 국가 담론의 영향을 받으면서도 지역 중심의 ‘다른 기억들’을 구성해나가는 과정을 드러내기 위한 것이었다. 1960-70년대 아랑 기억이 부각된 것은 국가주도적인 근대화 프로젝트 때문이었지만, 실제로 지역에서 구성되는 기억들은 정부의 의도에 영합하기도 하고 지역여성들과 같이 주변화된 주체들에 의해 다른 방식으로 활용되면서, 지배적인 아랑 기억과 경합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By focusing on reproduction of the memories on Arang not captured in dominant national discourses of 1960-70s, this study attempted to reveal the contention of various positions surrounding the memories on Arang. For this, this study analyzed the process and method that a marginal and problematic traditional woman called ‘Arang’ who was raped and died to be a ghost was used uncomfortably and revealed the context that required the memories on Arang in the region. This study is the work trying to visualize the memories on marginal women who have been excluded in the existing nation-centered history and to reveal multi-layered perspective of locals involved in them an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have brought the existing discussions on modernity, westernization, nationalism, traditional women as well as specific space, ‘area’ and historical situation, the Korean war and what was the position of the women composed in it as the analysis of axis to visualize the context where ‘Arang’ is used. The contents and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by analyzing the Arang stories from the Joseon Dynasty period prior to 1960,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at there are various elements that could be newly interpreted in the stories. Although Arang has been memorized as a faithful woman from the Joseon Dynasty the ‘faithful woman image’ was not homogeneous and the images such as a pure and beautiful woman, revenging woman ghost were added or highlighted every special historic situation. Like this, Arang was the subject matter reorganized by special interests and needs and could be settled as ‘a faithful woman’ by policy support and adoption of the government in 1960s in the context of the times. The way the memories on Arang were trimmed was to focus on men's perspective and patriarchal social order. Therefore, the issues such as sexual harrassment, sexuality of women inherent in the Arang stories have not been visualized. Second, the study identified how the memories on Arang mobilized in the country's intention were built catering to the national context and compared with it in the actual space, area. ‘Milyang Arang Festival’, which is a local festival, produced the memories on Arang interlocking with the government cultural policy in 1960-70s when ‘ethnic group’ and ‘tradition’ began to be important. As the government intervened in the festival and doubts on Arang Memorial were raised, it could be identified that Milyang Arang Festival, which was revived in early and mid 1960s, increasingly marginalized and relocated Arang in the event. In the events and performances composed as part of the festival, Arang was gradually reproduced from memorial target to ‘pure beauty’ and this created a crack with past memories on Arang. Criticism on commemoration of Arang also acted in marginalization of Arang in the festival and such conflicts were caused from suspicious points inherent in the memories on Arang. This gap and inconvenience made Arang return from a national faithful woman to a faithful woman of Milyang area again. Third, by analyzing Arang as the area of competition of public memories, the study contextualized the efforts and participation in Arang memory making of general public and locals which are difficult to be interpreted by just national power and mobilization. The memories on Arang imply ambiguous and depressing parts which are hard to be justified in the national official discourse. Nevertheless, the desires of numerous subjects and groups trying to use ambiguous points according to their tastes acted in active production and utilization of these memories on a national basis. The nation tried to spread ‘mental culture’ stressed in the traditional theory at that time and to mobilize locals as the people through the festival but the subjects placed in a relatively marginal position in the central government centered policy revealed their desires and accomplished their position through the memories on Arang. Through the festival, the locals considered the Arang memorial project as the basis of their self-esteem and achieved the position of ‘area’, composing the identity in contrast to the forces imposing criticism on this memorial project. However, commemoration of Arang also have drawn criticism from Milyang. Such conflicts were caused from intervention of forces supporting Buddhism and Confucian scholars settled stably in Milyang area, inconvenience on area is represented by a female figure and suspicious points inherent in the memories on Arang. In contrast, the position of the local women marginalized even within the area was different from that represented by local people. As the perspective considering postwar women as the problematic target combin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lyang community where especially, clan rules and order are strong, it oppressed women more and for them, Arang was the mirror where they can reflect their unlucky circumstances. In addition, the festival composed of the memories on Arang was the opportunity where marginalized women could put forward their opinions and relax. Though the voice might look like one voice advocating the memories on Arang, different desires of a variety of subjects were competing in it. The reason why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the hazy memories on Arang of 1960-70s and brought it as the target of analysis is to grant voice to the experience and memories that have been repressed so far by looking at indistinct memories away from them, not clearly revealed institutions and ideas. In particular, the reason why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memories’ is that though memories are close to institutions, ideas, knowledge, they have the local nature not being captured perfectly. Examining memories on Arang from this perspective was to reveal the process of configuring area centered ‘different memories’ despite the influence of national discourse. It could be seen that the memories on Arang in 1960-70s were highlighted due to the state-led modernization project but the memories actually composed in the area were competing the dominant memories on Arang, reflecting the government's intentions and being utilized by the marginalized subjects such as local women in a different wa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