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9 Download: 0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과학’과목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조사

Title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과학’과목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조사
Other Titles
A survey of the perceptions of teachers and students on the high school 'science' subject of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uthors
윤선미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화학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종윤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2011년부터 고등학교에 적용·실시된 고등학교 ‘과학’ 과목에 대한 교사와 학생들의 의견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교사의 의견 수집을 위해 경기도 지역 과학 교사 3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 내용은 교육과정 이해도, 수업 준비 및 실행, 평가, 학생들의 반응, 연수, 고등학교 ‘과학’에 대한 의견 등 6개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학생의 경우에도 경기도 지역 학생 388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으며, 설문 내용은 학생들의 고등학교 ‘과학’에 대한 인식(흥미도, 내용이해도, 평가 타당도), 흥미 있는 중단원, 시험 준비 방식, 수업에서 좋았던 점, 수업에서 바라는 점 등 5개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과학’ 과목의 취지에 대해 대다수의 교사들이 대체로 알고 있다고 응답한 반면,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과학과 목표에의 도달 정도에 대해서는 약 40%의 교사들이 미흡하다고 응답하였다. 집중 이수제의 적용에 대해서는 고등학교 ‘과학’의 학습 양이 방대하고, 탐구 능력이나 과학적 사고력이 단기간에 신장되지 않는다는 이유로 대다수가 부정적인 의견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학습 내용의 수준이 높기 때문에 고등학교 ‘과학’을 실시하기에 적합한 시기로 심화선택과목(Ⅰ, Ⅱ)의 이수 후가 적합하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둘째, 고등학교 ‘과학’의 수업 준비 및 실행 과정에서 현장 교사들은 ‘우주의 기원과 진화’와 ‘정보통신과 신소재’ 단원 지도 시에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수업 자료를 인터넷을 통해 수집하는 것으로 보아 향후 이 단원들에 대한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과 인터넷을 통한 보급을 고려해 볼 만하다. 셋째, 고등학교 ‘과학’의 평가는 이전 교육과정과 유사하게 진행되고 있었다. 지필평가와 수행평가 출제 시에 어려운 점으로 출제 내용에 대한 이해의 부족과 개정 교육과정을 반영한 실험 평가 개발의 어려움을 들었다. 넷째, 고등학교 ‘과학’ 학습에 대한 흥미도, 내용 이해도, 평가의 타당도에 대한 학생과 교사들의 의견 취합 결과 학생들이 교사들보다는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고등학교 ‘과학’ 교과 관련 연수에 대한 참여율은 높으나 그 실효성은 아직 낮은 수준이다. 연수를 통해 도움이 된 부분은 개정 교육과정과 고등학교 ‘과학’의 교수-학습 목표에 대한 이해와 ‘교수-학습 방법’의 개선 부분이었다. ‘학습자료 준비’에 대한 도움 정도를 확인한 결과 참고할 정도의 도움이 되었다는 의견에 이어 자료는 있으나 참고하지 않는다는 의견이 있었다. 여섯째, 고등학교 ‘과학’의 지도에서 가장 큰 어려움은 ‘수업의 준비 및 실행’과정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은 고등학교 ‘과학’의 등장으로 인한 긍정적인 변화로 학생들의 탐구력 및 통합적 사고력 증진으로 꼽았다. 일곱째, 학생들은 고등학교 ‘과학’ 과목에 흥미도, 내용 이해도, 평가 타당도를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흥미 있는 중단원으로 남학생들은 ‘우주의 기원과 진화’, 여학생들은 ‘생명의 진화’를 꼽았다. 인문계열 학생들은 ‘생명의 진화’, 특성화계열 학생들은 ‘우주의 기원과 진화’ 단원을 흥미 있는 단원으로 꼽았다. 학생들은 교과서를 중심으로 시험을 준비하였고, ‘과학’ 수업에서 좋았던 점으로는 시청각 자료를 활용한 수업이라고 하였다. ‘과학’ 수업에 바라는 점으로는 활발한 탐구 실험 활동을 선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시·도 교육청 단위에서 학교의 과학 실험실 환경을 고려하여 현실적인 탐구 실험을 개발하고, 교수-학습 자료 및 평가 자료를 개발하여 인터넷 등의 매체를 통해 보급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구체적이고 현장 맞춤식의 교사 연수가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다양한 탐구 실험의 개발과 현실성 있는 적용 방안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넷째, 중단원에 대한 폭넓은 학생들의 조사를 통해 흥미도가 낮은 중단원에 대한 흥미 유발 학습 방법, 교수-학습 자료 개발, 내용의 수정 및 보완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This study examined the opinions of teachers and students on the high school ‘science’ class applied and executed since 2011 according to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order to collect the opinions of the teachers, 30 science teachers of Gyeonggi-do area were surveyed, and the survey contents consisted of 6 categories of national curriculum comprehension, class preparation and execution, evaluation, student response, and opinion on high school ‘science.’ For students, 388 Gyeonggi-do area students were surveyed, and the survey contents consisted of 5 categories of recognition of ‘science’ (interest, contents comprehension, evaluation validity), interesting sub-chapter, test preparation method, and what they liked about class and what they want about class. Through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most teachers responded that they were aware of the objects of the high school 'science' class in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but about 40% of teachers responded that the level of achievement of the objects was inadequate. Regarding the application of concentrated class system, most expressed negative opinions due to the reason that the high school 'science' class is vast and the inquiry ability and scientific reasoning cannot be improved in the short term. And as the level of learning content is too high, they suggested the opinion that the appropriate period to execute high school 'science' is after taking the advanced electives (I, II). Second, regarding the class preparation and execution process of high school 'science,' they were found to have difficulties in teaching the 'origin and evolution of space' and 'IT and new material' chapters. As the class materials are collected through the internet, the development of teaching/learning material for these chapters and supply through the internet may be considered in future. Third, the evaluation of high school 'science' was conducted similarly as the previous curriculum. The lack of understanding for exam contents and difficulty of developing experiment evaluation suitable for revised curriculum were chosen as the difficulties in making the written exam and performance assessments. Fourth, as the result of comparing the opinions of students and teachers on the interest level, content comprehension, and evaluation validity for high school 'science' class, students were found to be more positive than the teachers. Fifth, the participation rate for the training related to high school 'science' class was high, but the effect was still low. What was helpful through the training was the improvement of 'teaching-learning method' and understanding of the teaching-learning object of high school 'science' and revised curriculum. As the result of confirming the level of aid regarding 'class material preparation,' there were opinions that there was enough help to be referenced and others who said there were materials, but those were not referenced. Sixth, the biggest difficulty in teaching high school 'science' was found to be 'class preparation and execution' process. The teachers chose the enhancement of inquiry abilities and integrated thinking abilities of students as the positive effect due to emergence of revised high school 'science.' Seventh, the students were positive about the interest level, content comprehension level, and evaluation validity for the high school 'science' class. As the interesting sub-chapters, male students chose 'origin and evolution of space,' and female students chose 'evolution of life.' Students in general high school chose 'evolution of life' and students in vocational high school chose 'origin and evolution of space.' Students prepared for the test centering on the textbook, and what they liked about the 'science' class was the class utilizing visual/audio material. What they wanted about the ‘science’ class was active inquiry experiment activ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combined for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 at the unit of municipal/regional education offic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actical inquiry experiment considering school science lab environment, develop teaching-learning material and evaluation materials, and supply them through media such as the internet. Second, detailed and site-customized teacher training programs must be established. Third, the study to develop and distribute various inquiry experiments must be conducted. Fourth, through broad survey on students for sub-chapters, the efforts such as interest-inducing learning method, teaching-learning resource development, contents modification, and supplementation for low interest sub-chapters are necessar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화학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