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0 Download: 0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조건 관계 연결어미 습득 양상 연구

Title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조건 관계 연결어미 습득 양상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Acquisition of Conditional Connective Endings by Chinese Learners of Korean
Authors
나혜숙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선희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cquisition patterns of conditional connective endings such as ‘-(eu)myeon, -keodeun, and -eoya’ by Chines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To this end, Chapter Ⅰ states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presents research questions by reviewing previous researches. Research questions for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acquisition patterns of conditional connective endings according to their syntactic characteristics by Chines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Second, what are the acquisition patterns of conditional connective endings depending on types of conditional meaning by Chines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In order to answer these questions, Chapter Ⅱ provides theoreticalm background to the syntactic characteristics of each conditional connective endings and to the classification of conditional connective endings depending on the types of conditional meaning. Subsequently, Chapter Ⅲ discusses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relevant assessment tools for Chinese learners and Korean native speakers; the ‘grammaticality judgement test’ that is intended to evaluate the acquisition patterns according to syntactic characteristics and the ‘fill-in-the-blank’ tool which is designed to make respondents choose appropriate conditional connective endings depending on types of conditional 115 meaning. Subjects for the study included 20 Korean native speakers residing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20 Chinese intermediate learners and 20 Chinese advanced learners from six universities or university affiliated Korean language institutions located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Chapter Ⅳ describes the test results. First, compared to Korean native speakers, Chines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showed lower acquisition depending on the syntactic characteristics of conditional connective endings.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intermediate learners and the advanced learners indicating that acquisition is not affected by proficiency. Looking in terms of connective endings, intermediate learners showed higher acquisition level for ‘-(eu)myeon’ over ‘-keodeun’ and ‘-eoya’, while advanced learners showed similar level of acquisition for all three conditional connective endings. Korean native speakers exhibited somewhat inconsistent results from the grammaticality described in grammar text. In particular, they tend to perceive grammatically correct sentence as grammatically incorrect sentence when there is a tense prefinal ending. Second, comparing the use of conditional connective endings depending on types of conditional meaning, Chinese learners and Korean native speakers exhibited pattern of use consistent with that described in grammar text depending on types of conditional meaning such as ‘Factual conditions, Hypothetical conditions-weak factual, Hypothetical conditions-essential, and Counterfactual conditions’. However, when the type of conditional meaning was ‘Hypothetical conditions-strong factual’, Korean native speakers preferred the use of ‘-keodeun’ while Chinese learners preferred the use of ‘-(eu)myeon’. Finally, Chapter Ⅴ discusse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long with its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reveals the acquisition patterns of conditional connective endings. In addition, the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teach conditional connective endings depending on the type of conditional meaning, and that it is necessary to teach specifically about the syntactic characteristics for higher proficiency. A 116 limitation to this study is that there was insufficient number of questions in the ‘grammaticality judgement test’ intended to evaluate acquisition pattern according to syntactic characteristics. In order to confirm a more accurate acquisition pattern future studies consider the learners’ free speech as a subject of study or include various complex forms such as ‘-damyeon/ramyeon’ in the study to identify acquisition patterns.;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조건 관계 연결어미 ‘-(으)면, -거든, -어야’의 습득 양상을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연구 목적을 밝히고 선행 연구를 검토하여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본고의 연구문제는 첫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통사적 특성에 따른 조건 관계 연결어미의 습득 양상이 어떠한가, 둘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조건의 의미 유형에 따른 조건 관계 연결어미의 습득 양상은 어떠한가이다. 본고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Ⅱ장에서는 각 조건 관계 연결어미 통사적 특성과 조건의 의미 유형에 따른 조건 관계 연결어미 분류를 이론적 배경으로 제시하였다. 이어서 Ⅲ장에서는 연구도구를 개발하였다. 두 가지의 연구도구는 중국인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 화자를 대상으로 조건 관계 연결어미의 통사적 특성에 따른 습득 양상을 살펴보기 위한 ‘문법성 판단 테스트’와, 조건의 의미 유형에 따라 적절한 조건 관계 연결어미를 고르도록 한 ‘빈 칸 채우기’이다. 연구 대상은 서울 및 수도권에 거주하는 한국어 모어 화자 20명, 서울 및 수도권에 위치하고 있는 6개 대학과 대학 부속 한국어 교육 기관에 재학 중인 중국인 중급 학습자 20명, 중국인 고급 학습자 20명이다. Ⅳ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기술하였다. 첫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은 조건 관계 연결어미의 통사적 특성에 대해 한국어 모어 화자에 비해 낮은 습득을 보였다. 그러나 중급 학습자와 고급 학습자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숙달도의 영향을 받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결어미를 기준으로 볼 때, 중급 학습자들은 ‘-거든, -어야’에 비해 ‘-(으)면’을 잘 습득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고급 학습자들은 세 조건 관계 연결어미를 동일한 수준에서 습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어 모어 화자는 문법서에서 기술한 문법성과 다소 일치하지 않는 결과를 보였는데, 특히 시제 선어말 어미가 있을 때 정문을 비문으로 인지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조건의 의미 유형에 따른 조건 관계 연결어미의 사용을 비교한 결과 ‘사실적 조건, 가상 조건-약한 사실성, 가상 조건-필수적 조건, 반사실적 가상 조건’에서 중국인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 화자는 문법서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조건의 의미 유형에 따라 일치하는 사용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가상 조건-강한 사실성’에서 한국어 모어 화자는 문법서와 동일하게 ‘-거든’을 선호한 반면, 중국인 학습자는 ‘-(으)면’을 선호하였다. 이로써 중국인 학습자만 ‘-(으)면’ 사용 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론과 함께 의의 및 한계를 기술하였다. 본 연구는 조건 관계 연결어미의 습득 양상을 밝힌 데 의의가 있다. 이 결과를 통해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조건의 의미 유형에 따라 조건 관계 연결어미를 교수할 것과 고급 숙달도에서 통사적 특성에 대해 명시적으로 교수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하였다. 그러나 본고는 통사적 특성에 따른 습득 양상을 보기 위한 문법성 판단 테스트의 문항 수가 충분하지 못했다는 한계를 가진다. 보다 정확한 습득 양상을 확인하기 위해 학습자의 자유 발화를 대상으로 하거나 ‘-다면/라면’ 등의 다양한 복합 형태까지 포함하여 습득 양상을 밝힌 후속 연구를 기대해 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