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0 Download: 0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적 관계망, 사회적 지지와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Title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적 관계망, 사회적 지지와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Study on Social Network, Social Support and Stress of Female Marriage Immigrant in Korea
Authors
김지현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양숙자
Abstract
본 연구는 사회적 관계망과 사회적지지, 스트레스 정도를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관계유형에 따른 사회적 관계망과 사회적 지지의 특성을 확인하고, 사회적 지지와 스트레스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서울과 수도권 대도시의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시행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3월 15일부터 4월 20일까지 시행되었다. 서울과 수도권 2개 대도시의 다문화가족센터, 이주민센터, 한글학교, 교회 등에 참여하는 205명(회수율 82%)으로부터 수집하였으며, 연구 자료에 충분하지 않은 자료를 제외한 후 168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도구는 Tracy & Whittaker(1990)가 개발한 Social Network Grid를 수정, 보완하여 사회적 관계망과 사회적 지지의 도구로, Aroian, Norris, Tran & Schappler-Morris(1998)의 Demands of Immigration Scale(DI scale)를 스트레스의 도구로 번역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 분석은 SPSS 18.0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독립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정은 Scheffe test로 분석하고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에 참가한 대상자의 평균연령은 34.17세이며 출신국은 중국인41.1%으로 가장 많았다. 동거가족은 남편과 자녀와 함께 생활하는 경우가 39.3%, 학력은 전문대학교 이상 졸업 39.3%로 가장 많았다. 가구 월평균 수입은 100-200만원 미만인 경우가 48.8%로 절반을 차지하였으며, 70.2%는 직업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적 관계망 크기는 23.76명이며, 주요 관계망의 수는 한국 거주자 3.33명, 본국 거주자 1.39명이었다.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적 지지를 살펴보면 평균 3.95±0.85이며, 스트레스는 3.03±0.67로 나타났다. 3.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적 관계망 유형을 살펴보면 한국 친척 24.3%으로 가장 많이 선택했다. 사회적 관계망 유형에 따른 친숙도는 본국 가족 (4.66±0.65)이 가장 높았으나 한국 친척(4.14±0.97)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사회적 관계망 유형에 따른 사회적 지지는 남편(4.35±0.76)에게서 가장 많이 받고 있었다. 그러나 한국 가족(3.60±0.97)은 가장 낮았다. 사회적 지지 중 정서적 지지는 본국 가족(4.41±0.71), 물질적 지지는 남편(4.42±0.87), 정보적 지지는 종교 모임(4.39±0.56)으로부터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여성결혼이민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 지지를 살펴보면 가구 월평균 수입(p=.023)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 정도를 보면, 연령(p=.021), 학력(p=.003), 한국 거주 기간(p<.001), 종교 활동(p=.021), 한국어 말하기 수준(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적 지지와 스트레스를 살펴보면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250, p=.001). 결론적으로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스트레스 관리를 위해서는 사회적 관계망의 확충과 사회적 지지를 증가시켜 줄 수 있는 대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사회적 지지를 통한 스트레스를 관리 방안에 대한 추후 연구가 필요하며, 여성결혼이민자들의 특성을 반영한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이 필요하다.;The purpose of this descriptive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social network, social support, and stress of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 in Korea. One hundred sixty eight of female marriage immigrant were recruited from the multicultural family-support center, the language school, and the church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From March, 2012 to April, 2012,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including the sections of the social network, social support, and stres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extent of the social network per one female marriage immigrant that she belongs to was 23.76 persons. Then, when the respondents were asked to choose the five important person out of 23.76 as their important network size, 3.33 persons were living in Korea and 1.39 people were in their home country. The main source of their five important social networks was Korean relatives recording 24.3% and the rest of the network sources were from families in their home country, showing 22.1% in data. In addition, the most social support which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 received was from the husband(4.35±0.76). The families in their home country(4.22±0.76) and health related professionals (3.94±0.67) in this order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while the support from relatives in Korea was much lower than the factors stated above(3.60±0.97).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al support, depending on the household monthly income(t=-2.290, p=.023) and in stress according to age(F=3.980, p=.021), education(F=6.088, p=.003), the length of residence in Korea(t=4.519, p<.001), religious activities(t=-2.325, p=.021), the language proficiency in Korean (F=14.941, p<.001).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stress(r=-.250, p=.001).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for further studies to investigate the issue of managing the stress of female marriage immigrant and to implement a specialized program that uniquely handles with their hardships. It is necessary for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 to encourage their social supports through the Korean network program sponsored by their communities. Also, their Korean relatives need to access to the cultural activities that provide them with opportunities to learn the immigrant family member’s cultural differences and her own struggles living in Korea.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