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83 Download: 0

교육과정 자율화 방안에 대한 인식과 교사 수준의 교육과정 자율권 발휘 실태 및 요구

Title
교육과정 자율화 방안에 대한 인식과 교사 수준의 교육과정 자율권 발휘 실태 및 요구
Other Titles
Teachers' Perception of Curriculum Autonomy Plan and the Status and Demand of Teachers' Autonomy in Curriculum
Authors
박희경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과정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황규호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단계에 걸쳐 교사 수준 자율권의 범위를 세분화하여 교사들이 필요로 하는 자율권과 실제로 발휘하고 있는 자율권의 정도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앞으로 우리나라 교육과정 자율화 정책의 개선 방향과 교육과정 자율화의 현장 정착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행 교육과정 자율화 방안의 중요성 및 필요성과 교육과정 자율화 방안의 성과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에서 교사들의 배경변인에 따라 필요로 하는 자율권과 실제 발휘하고 있는 자율권의 정도는 어떠한가? 셋째, 학교 교육과정의 자율적인 편성·운영이 현장에 정착되기 위한 방안에 대해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위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울시에 재직 중인 437명의 초등 교사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회수된 395부 가운데 불성실한 응답 3부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392부를 활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은 SPSS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분석기법으로는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독립표본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 대응표본 t-test를 활용하였고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현행 교육과정 자율화 방안 중 재량활동과 특별활동의 통합 운영에 대해 중요성 및 필요성을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고 반면, 교과별 학년 및 학기 단위 집중 이수 확대에 대해서는 중요성 및 필요성을 가장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교육과정 자율화 방안의 성과와 관련하여 교사들은 교육 수요자의 요구를 반영한 교육과정 운영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하는 반면, 교사들의 교육과정 역량 증진,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 향상 등에 대해서는 낮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교육과정 자율화를 통해 교사들이 가장 기대하는 결과는 교사의 자율성 및 전문성 신장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있어 조사한 항목 모두에 대해 필요로 하는 자율권의 정도보다 실제로 발휘하는 자율권의 정도가 낮았으며 모든 차이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필요로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발휘하고 있는 자율권의 정도를 낮게 인식하고 있는 것은 교사들이 교육과정과 관련된 교사 수준의 자율권 발휘에 있어 여전히 많은 제약을 느끼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교사들이 상당 부분에서 자율권이 제약되어 있다고 인식하는 것은 교사들로 하여금 현행 교육과정 자율화 방안에 대해 부정적이고 수동적인 태도를 갖게 할 수 있다. 즉 교육과정 자율화 방안의 정책적 의도를 구현하고 진정한 의미에서 교육과정 자율화를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학교 현장 교사들의 요구를 반영한 정책 추진이 필요할 것이다. 셋째, 교육과정 자율화의 현장 정착을 위해 정부 차원, 단위 학교 차원, 교사 차원 각각에서 개선되어야 할 과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다음과 같았다. 교육과정 자율화의 현장 정착을 위한 정부 차원의 과제에 대해 교사의 행정적 업무를 경감해야 한다는 응답이 가장 높았으며 단위 학교 차원의 과제로는 교육과정 관련 민주적 의사소통의 활성화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편 교사 수준의 과제로는 강요된 자율성이 아닌 내면화된 자율성의 발휘와 교육과정 및 수업에 대한 개인 연구 시간의 확대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 방안의 개선 방향과 교육과정 자율화의 현장 정착을 위한 방안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교육과정 자율화를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자율권에 관한 학교 현장 교사들의 요구를 반영해야 한다. 즉 교육과정을 편성하고 편성된 교육과정을 최종적으로 운영하는 주체가 교사이기 때문에 교육과정 자율화를 위해서는 교사들의 자율권을 실질적으로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단위 학교 수준의 교육과정 편성 자율화와 교사 수준의 교육과정 운영 자율화를 동시에 추진해야 한다.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는 실제로 수업을 운영하는 모든 교사 개개인의 자율성에 이르러서야 정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앞으로의 교육과정 자율화는 교육과정을 실제 운영하는 교사 개개인의 실질적인 자율권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교사 수준의 실질적인 자율권을 확대하기 위하여 필요한 환경과 여건을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교사 수준의 실질적인 자율권을 확대하고 교육과정 자율화를 학교 현장에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전문적인 역량을 계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자율은 항상 그에 대한 책임을 수반하며 교사의 교육과정 자율권은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개인의 전문적인 역량이 전제될 때야 비로소 의미가 있다. 따라서 교사 수준의 실질적인 자율권을 확대하고 교육과정 자율화를 학교 현장에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전문적인 역량을 계발할 수 있도록 교사 개인 차원, 단위 학교 차원, 국가 차원의 노력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 방안과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대한 교사들의 자율권에 관한 인식과 실태를 조사한 양적 연구였기에 교육과정 자율권에 관한 교사들의 심층적인 인식의 차이와 원인을 파악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앞으로의 연구는 교사의 교육과정 자율권 발휘 실태 및 요구에 있어서 교사 배경변인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경우에 대해 보다 심층적이고 구체적인 원인 규명과 논의가 필요할 것이다.;This study aims to look at what autonomy teachers need and the extent of autonomy they are actually exercising and examine the deference between the reality and their needs by breaking down the range of autonomy across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stages. Through the discrepancy between the autonomy needed by teachers and the autonomy actually exercised by teachers, this study tries to explore ways to improve Korea's curriculum autonomy policy and to establish curriculum autonomy in the field. A survey was conducted on 437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eoul and 392 responses, excluding three insincere ones out of the 395 responses, were used to analyze the results. SPSS Statistics was used for the analysis and the employed analysis methodologies were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independent-sample t-test, one-way ANOVA paired-sample t-test. The major outcom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were most aware of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integrated operation of optional activities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among the current curriculum autonomy plans while least aware of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each subject's intensive courses at grade and semester level. Second, regarding the performance of curriculum autonomy plans, teachers were relatively more aware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reflecting the demand of education consumers while showed lower awareness of the curriculum capability improvement of teachers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Third, the level of autonomy needed by teachers was higher for all the surveyed items in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than the actual autonomy exercised by teachers. And the variance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urth, most teachers responded that the current curriculum autonomy policy needs to be revised and supplemented based on the demand of the field when asked how to improve the policy. In other words, the future curriculum autonomy should be improved towards increasing the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by reflecting the demand from the field as much as possible. Fifth, more than half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too much administrative work was the factor restricting the exercise of curriculum autonomy at teacher level. In order for teachers to dedicate to the curriculum and to exercise autonomy, relevant organizations need to work together to identify effective ways to reduce teachers' administrative work. Lastly, concerning issues needed to be improved at the government, school and teacher level for curriculum autonomy to take roots in the field, the perception of teachers was as follows. As for the government's task to establish curriculum autonomy in the field, the most responded that teachers' administrative work should be decreased. Democratic communication related to curriculum was found to be most needed for school level task. Regarding teachers' task, the exercise of internalized autonomy, not forced autonomy, and an increase in personal study time on the curriculum and class were found important. Through the aforementioned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s as direction to improve school curriculum autonomy and ways to establish curriculum autonomy in the field. First, the demand of school teachers working in the field needs to be reflected to successfully drive curriculum autonomy. Second, curriculum organization autonomy at school level and curriculum implementation autonomy at teacher level need to be made at the same time. Third, the professional capabilities of teachers for curriculum autonomy need to be raised. Lastly, this study has a limitation in identifying the differences in teachers' in-depth perception of curriculum autonomy and their cause because this is a quantitative study aiming at examining the teachers' perception and status of autonomy regarding school curriculum autonomy plans and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Therefore, more in-depth and specific determination of causes and discussion need to be made for cases where significant differences are shown depending on teacher background variables in the status and demand of the exercise of teachers' curriculum autonomy in future research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과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