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67 Download: 0

중학교 인성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Title
중학교 인성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Other Titles
A Study of Students’ Perceptions on Middle School’s Character Education
Authors
전혜정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임현식
Abstract
이 연구는 중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인성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학교 인성교육의 효율화 및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중학생들의 배경변인, 즉 인구학적 특성별 변인(성별, 학년), 가정생활 특성별 변인(가정형편, 보호자유형, 부모와의 소통정도), 학교생활 특성별 변인(담임선생님과의 소통정도, 성적, 친구 수)에 따라 중학교 인성교육에 대한 인식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중학교 현장에서 실시되고 있는 인성교육의 여건 및 실태, 학생 본인의 인성 수준, 인성교육의 내용과 방법, 인성교육의 방해요인과 개선사항에 대한 중학생의 인식이 배경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발생하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소재의 A중학교 2, 3학년 학생 584명의 설문 응답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배경변인에 따라 학교 인성교육의 실태에 대한 인식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학교에서 인성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정도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부모와의 소통이 부족하다고 인식한 집단은 소통이 원활하다고 인식한 집단보다, 담임선생님과의 소통이 부족하다고 인식한 집단은 소통이 원활하다고 인식한 집단보다 학교에서 인성교육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보았다. 또한 인성교육이 요구되는 현안 문제들 가운데 학생들이 가장 심각하다고 생각하는 문제가 무엇인지를 조사한 결과, 남학생집단과 여학생집단 모두 ‘학교폭력(왕따, 금품갈취)’이 가장 심각한 문제라고 인식하였으며, 2순위로는 ‘흡연 및 음주’가 지적되었다. 한편, 여학생(44.0%)집단이 남학생(38.7%)집단보다 더 높은 비율로 ‘학교폭력’을 심각한 문제로 인식하고 있었다. 반면에 ‘흡연 및 음주’의 경우, 남학생(31.6%)집단이 여학생(20.8%)집단보다 더 높은 비율로 이를 심각한 문제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학년에 따른 인식 분석 결과, 2학년의 경우 ‘학교폭력’을 가장 심각한 문제로 인식하고 있는데 반하여, 3학년의 경우 ‘흡연 및 음주’를 가장 심각한 문제로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중학생의 배경변인에 따라 학생 본인의 인성 수준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었다. 중학생의 인성 관련 행동특성(7개 항목:①선생님 존중, ②질서 및 학교생활규정 지키기, ③친구 사이의 예의, 타인에 대한 배려, ④학생으로서 하지 말아야 할 행동 안하기-흡연, 음주 등 ⑤학급에서 자신이 맡은 일 수행하기 ⑥반듯한 수업태도 및 집중 ⑦절제된 언어 사용)에 대한 자기평가 인식 수준이 학생의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모든 행동특성 항목에서 자신의 가정형편을 ‘넉넉한 편’이라고 인식한 집단은 ‘어려운 편’이라고 인식한 집단보다, 자신의 성적을 ‘최상위권’이라고 인식한 집단은 ‘하위권’이라고 인식한 집단보다 상대적으로 자기 자신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정형편’과 ‘성적’은 인성 관련 행동특성 수준에 대한 자기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배경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중학생의 배경변인에 따라 인성교육 내용에 대한 인식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향후 중학교 인성교육에서 가장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내용은 무엇인지를 조사한 결과, 자신의 성적을 ‘최상위권’, ‘중상위권’, ‘중하위권’으로 인식한 집단은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감정이해능력 기르기’를 가장 중요하게 다루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반면, 자신의 성적을 ‘하위권’으로 인식한 집단은 ‘문제행동(학교폭력, 집단 따돌림, 흡연, 음주)의 예방 및 대처’가 가장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내용이라고 응답하였다. 이는 성적이 ‘하위권’인 학생들이 학교폭력, 왕따, 흡연, 음주 등과 같은 문제행동에 노출되기 쉽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넷째, 인성교육 방법 중 인성함양에 도움이 된 방법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는 중학생의 개인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창의적 체험활동’이 인성계발에 가장 도움이 되었다는 응답이 전체의 44.6%로, 다른 응답들에 비해 월등히 높은 비율로 1순위를 차지하였다. 따라서 향후 인성교육 계획 수립 시, 학생들의 인성함양에 많은 도움을 주는 방식이라고 볼 수 있는 ‘창의적 체험활동’을 보다 비중 있게 다룰 필요가 있으며, 기존에 진행되고 있는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에 대한 검토를 통해 인성교육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도록 체계적인 재정비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중학생의 배경변인에 따라 인성교육의 효율화 및 활성화 방안에 대한 인식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인성교육에 필요한 교사의 능력에 대한 인식이 중학생의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는지를 분석한 결과, 교사 능력(①학생에 대한 열의와 애정 ②학생의 개인차 이해능력 ③학생 생활지도 능력 ④학생지도에 필요한 상담능력 ⑤학생의 감정에 대한 공감능력 ⑥학생을 위해 투자하는 시간과 노력 정도) 6항목 모두에서 담임선생님과의 소통이 원활하다고 인식하는 집단은 소통이 부족하다고 인식하는 집단보다 인성교육에 필요한 교사들의 능력에 대해 상대적으로 더 높게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담임선생님과의 소통정도에 대한 인식은 인성교육에 필요한 교사 능력에 대한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배경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교 인성교육의 방해요인에 대한 인식이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는지를 분석한 결과, 남학생 집단과 여학생 집단, 2학년 집단과 3학년 집단 모두 ‘성적·입시 위주의 학교 및 사회 분위기’가 가장 큰 방해요인이라고 응답하였으며, 특히 남학생(44.6%)보다 여학생(55%)이, 2학년(44.3%)보다 3학년(56.2%)이 더 높은 비율로 ‘성적·입시 위주의 학교 및 사회 분위기’가 인성교육에 방해가 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한편, ‘가정형편’에 따른 인식에 있어서, 자신의 가정형편을 ‘넉넉한 편’으로 인식한 집단과 ‘보통수준’으로 인식한 집단은 ‘성적·입시 위주의 학교 및 사회 분위기’를 인성교육의 가장 큰 방해요인으로 응답하였다. 반면, 자신의 가정형편을 ‘어려운 편’으로 인식한 집단의 경우 ‘그릇된 또래문화(왕따, 일진 등)’가 인성교육에 가장 방해가 된다고 응답하였다. 이는 저소득 가정의 아동·청소년의 경우 방과 후에 열악한 환경 속에 홀로 방치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가정의 보살핌 부족과 학습지원 결여는 정서발달 및 학습부진과 학교 부적응, 각종 위험과 유혹에 노출되기 쉽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또한 중학교 인성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가장 먼저 개선되어야 할 사항이 무엇인지에 대해 조사한 결과, 남학생 집단과 여학생 집단 모두 ‘학생 중심의 체험활동 강화’가 인성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가장 먼저 개선되어야 할 사항으로 보았다. 그러나 2순위에 있어서는 집단 간 인식에 차이가 있어, 남학생 집단의 경우 ‘지속적인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이 개선할 사항이라고 응답한데 반해, 여학생 집단의 경우는 ‘교육과정 내 상담활동 강화’를 더 우선시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중학교 인성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이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향후 인성교육 계획 수립 시, 중학생의 배경변인에 따른 고려가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 중학교 인성교육에 대한 학생의 인식이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는지를 검증한 결과, 인성교육 방법에 대한 인식을 제외한 나머지 연구문제들에 있어서 학생의 배경변인에 따라 유의한 인식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중학생들은 배경변인(성별, 학년, 가정형편, 보호자유형, 부모와의 소통정도, 담임선생님과의 소통정도, 성적, 친구 수)에 따라 학교 인성교육의 여건 및 실태, 학생 본인의 인성 수준, 인성교육의 내용, 인성교육의 방해요인과 개선사항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학생들의 개인 배경변인을 고려하여 학생의 흥미와 개인차에 따라 차별화된 인성교육이 필요하며, 이를 효과적으로 구체화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모색이 후속연구에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이나 고등학생에 비해 상대적으로 교육하기 어려운 시기에 있는 중학생의 바람직한 인성 함양을 도모하는 데 실질적으로 도움을 주는 인성교육이 학교 교육장면 안에서 효율적으로 실현되기 위해 어떠한 교육적 노력이 추구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논의에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research materials for looking into ways of invigorating character education by analyzing students’ perception on middle school’s character education.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is going to find out the difference of students’ perceptions on middle school’s character education according to students’ individual factors. Students’ individual factors of this study are demographic characteristic factors (students’ gender and grade), factors of student’s home life (levels of household economy, types of students’ protector and levels of interacting with student’s protectors) and factors of student’s school life (levels of interacting with student’s class teachers, school record and the number of student’s friends)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re there the differences of the students’ perceptions about the conditions of middle school’s character education according to students’ individual factors? Second, are there the differences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n levels of one’s behavior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students’ individual factors? Third, are there the differences of the students’ perceptions about the contents of middle school’s character Education according to students’ individual factors? Forth, are there the differences of students’ perceptions about the methods of middle school’s character Education according to students’ individual factors? Fifth, are there the differences of the students’ perceptions about the ways of invigorating middle school’s character education according to students’ individual factors? For the survey, the A middle school in Suwon is selected. The subjects were all students of second year students and third year students who attended the A middle school in Suwon. Answers of 584 respondents returned from overall 589 students were analyze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F-test and chi-square-test on statistics data collected were conducted with SPSS 19.0 program used. The analysis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the meaningful differences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about the conditions of middle school’s character education according to students’ individual factors. To examine the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about the level that character education has been conducted in the school, those who have high levels of interacting with student’s protectors or class teachers had more positive perception than those who have low levels of interacting with student’s protectors or class teachers. To examine students’ perceptions about the condition of school related to character education, those who have high levels of interacting with student’s protectors or class teachers had more positive perception than those who have low levels of interacting with student’s protectors or class teachers. Also, those who had high school record had more positive perception than those who had low school record. To examine students’ perceptions about the most serious problems students face these days in the school, violence was ranked first and smoking or drinking was ranked second. In case of the violence, female students (44.0%) had higher levels of students’ perceptions than male students (38.7%).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smoking or drinking, male students (31.6%) had higher levels of students’ perceptions than female students (20.8%). Second-year students perceived violence as the most serious problems, whereas third-year students perceived smoking or drinking as the most serious problems. Second, there were the meaningful differences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n levels of one’s behavior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students’ individual factors. To examine student’s levels of one's behavior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students’ individual factors, levels of household economy and school record influenced all 7 behavioral characteristics; ①respect for student’s class teachers, ②obeying school rules, ③consideration for others, ④not doing problem behavior- smoking or drinking ⑤accomplishing one's given task in class, ⑥having a good posture in class, ⑦speaking with restraint. In other words, it was confirmed that the groups which had high levels of household economy and high school record had positive self-concept. Third, there were the meaningful differences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about the contents of middle school’s character Education according to students’ individual factors. To examine important contents of character education from now on, consideration for other’s emotions was ranked first by the group which had the highest school record, the group which had above average and the group which had below average. On the other hand, precautions against problem behavior (violence, smoking and drinking) were ranked first by the group which had the lowest school record. Forth, there were not the differences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about the methods of middle school’s character Education according to students’ individual factors. To examine the methods of character Education to help to enhance student’s character, creative activities were ranked first, accounted for 44.6%. Also, to examine the methods of character Education to help to enhance student’s character in class, the methods related to contents of subjects were ranked first, accounted for 34.9%. Cooperative activities or debate were ranked second, accounted for 26.1%. Fifth, there were the meaningful differences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about the ways of invigorating middle school’s character education according to students’ individual factors. To examine the discouragement of character education, overemphasizing grade and entrance examination was ranked first by male students, female students, second-year students and third-year students. In case of the perceptions, Female students(55%) and third-year students(56.2%) had higher levels of students’ perceptions than male students(44.6%) and second-year students(44.3%). The groups which had high levels and middle levels of household economy regarded overemphasizing grade and entrance examination as the gravest discouragement. However, the group which had low levels of household economy regarded the wrong culture of peer group as the gravest discouragement. To examine improvement for invigorating middle school’s character education, the extension of activities learned by experience was ranked first by male students and female students. While program development for character education is ranked second by male students, invigorating students counseling service is ranked second by female students. While program development for character education is ranked second by male students, invigorating students counseling service is ranked second by female students. Based upon the above-mentioned findings,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reached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the meaningful differences of students’ perceptions on middle school’s character education according to students’ individual factors. Therefore, differentiated character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according to students’ individual factors. It is necessary to examine more in the follow-up research for finding ways to make the result of this study actua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