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96 Download: 0

초등교사가 인식한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교사의 직무만족의 관계

Title
초등교사가 인식한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교사의 직무만족의 관계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chool Principal’s Servant Leadership and Teacher’s Job Satisfaction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Authors
송아름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유경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가 인식한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교사의 직무만족의 관계를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현대 사회에서 요구되는 학교장의 리더십으로 서번트 리더십이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교사의 직무만족의 관계를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교사가 인식한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은 어떠한가? 초등교사가 인식한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의 수준은 어떠하며, 초등교사가 인식한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은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둘째, 초등교사가 인식한 직무만족은 어떠한가? 초등교사가 인식한 직무만족 수준은 어떠하며, 초등교사가 인식한 직무만족은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셋째,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교사의 직무만족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교사의 직무만족의 관계는 어떠하며, 학교단위로 보았을 때도 관계가 있는가? 넷째,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이 교사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이 교사의 직무만족의 외재적 요인, 내재적 요인, 전체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문헌연구와 설문조사 연구를 실시하였다. 서울시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교육지원청 별로 4학교씩, 한 학교의 15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총 660명(2.2%)을 표집 하였다. 이때, 학교장과 교사는 1년 이상 재직한 사람으로 한정하였다. 한국의 학교조직에 맞도록 변형된 설문지로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 측정에서는 국승오(2009)의 설문지를 사용하고, 교사의 직무만족 설문지로 노종희(2001)의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해당 학교에 유선으로 도움을 구하고 우편을 통해 배부 및 회수하였다. 최종적으로 회수된 543부(82.2%)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를 위한 분석 방법은 신뢰도 분석,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t-검정, 일원변량분석(F-검정), 사후검정, 상관관계 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은 5점 만점에 3.85점으로 비교적 높게 인식하였다. 배경변인에 따른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은 학교형태(t=2.329, p<.05), 교사교직경력(F=6.047, p<.001), 교사직위(t=-4.876, p<.001)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나 학교규모, 학교장 성별, 학교장 전문지 경험, 교사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배경변인에 따라 사립학교보다는 공립학교일 때, 교사의 교직경력이 많을수록, 교사보다는 부장교사가 초등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을 높게 인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초등교사의 직무만족은 5점 만점에 3.63점으로 대체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배경변인에 따른 교사의 직무만족은 학교규모(F=3.147, p<.05), 학교장 전문직 경험(t=2.057, p<.05), 교사성별(t=-2.588, p<.01), 교사 교직경력(F=2.819, p<.05)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립형태, 학교장 성별, 교사 직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배경변인에 따라 초등교사의 직무만족은 학교규모가 클수록, 학교장의 전문직 경험이 있을 때, 남교사보다는 여교사가, 교직경력이 많을수록 교사는 직무만족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초등교사가 인식한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교사의 직무만족의 관계는 r통계값 .484(p<.01)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서번트 리더십이 높을 때, 직무만족도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학교단위로 보았을 때도 유의미한지 확인하기 위해 38개 학교의 평균을 바탕으로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r통계값 .635로 유의수준 .01에서 검증한 결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학교단위에서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의 인식이 높을수록 교사의 직무만족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넷째,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이 교사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다.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교사의 직무만족의 정(+)적인 상관관계를 확인하였으므로 그 영향력에 대해 검증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배경변인을 통제변인으로 서번트 리더십을 독립변인 설정하고, 직무만족을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때, 직무만족 외재적 요인, 내재적 요인, 전체 직무만족으로 3가지 차원으로 확인하였다. 배경변인과 서번트 리더십이 직무만족 외재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15.7%의 설명력(F=6.925, p<.001)을 가진다. 이때, 서번트 리더십 요인 중 공감이 높을수록 직무만족 외재적 요인은 향상하며, 설득이 높을수록 직무만족 외재적 요인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경변인과 서번트 리더십이 직무만족 내재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은 30.7%의 설명력(F=15.096, p<.001)을 가진다. 이때, 서번트 리더십 요인 중 비전 제시가 높을수록 직무만족의 내재적 요인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직무만족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배경변인과 서번트 리더십은 28.4%의 설명력(F=13.642, p<.001)을 가진다. 이때, 서번트 리더십 요인 중 경청, 비전 제시가 높을수록 직무만족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초등교사가 인식한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교사의 직무만족은 정적인 관계가 있으므로 교사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서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을 향상해야 한다. 특히, 직무만족의 외재적 요인에 영향을 주는 공감하는 능력이 필수적이다. 설득은 교사의 직무만족을 낮아지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비전 제시와 공동체 형성 등을 통해 교사와 학교장은 신뢰의 관계 속에서 설득보다 더 우회적인 방법인 비전 제시나 교사의 발전성 자극 등을 통해 교사가 학교와 교육을 위해 스스로 행동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또한 직무만족의 내재적 요인에 영향을 주는 비전 제시를 통해 교사의 발전성과 혁신성, 교직의식을 자극하여 구성원의 성장을 통해 학교조직의 발전을 꾀해야 할 것이다. 전체 직무만족은 서번트 리더십의 경청과 비전 제시가 높을수록 상승하는 비례관계를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학교장은 권위를 바탕으로 명령하는 것이 아니라 먼저 조직구성원인 교사의 이야기를 주의 깊게 듣는 가운데 그들의 요구와 의견을 정확하게 인지하여 도움을 주는 소통의 장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또한 비전을 제시함에 있어서 교사 개인과 학교의 장기적인 비전과 함께 단기적인 목표를 제시할 수 있는 학교장이 되어야 한다. 또한 비전 제시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성취할 수 있도록 기회의 제공도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임을 명심해야 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chool principal's servant leadership and teachers' job satisfaction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 Currently, in society, the servant leadership is emphasized as leadership for professors and school principals; and so, in this context, it is necessary to ascerta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chool principal's servant leadership and teachers' job satisfaction. To achieve the above purpose of this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were set up. First, How do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ive the school master's servant leadership? How do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ive the level of the school principal's servant leadership?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school principal's servant leadership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Second, What is the job satisfaction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at is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s there any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Thir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chool principal's servant leadership and teachers' job satisfaction?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chool principal's servant leadership and teachers' job satisfaction?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chool principal's servant leadership and teachers'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school units? Fourth, What are the effects of the school principal's servant leadership on teachers' job satisfaction? What are the effects of the school principal's servant leadership on the extrinsic factors of, the intrinsic factors of, and the whole of teachers' job satisfaction? To solve the research problems, literature review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an empirical study with questionnaire survey were conducted together. And a total of 660 teachers, with 4 schools from each District Office of Education, and 15 teachers from each school, were sampled from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eoul. At this, the school principals and the teachers were restricted to those who had been in their service for one year or more. As for the questionnaire survey, 543 of the 660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showing a response rate of 82.2%, and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As for the analysis methods of the study,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t-test, F-test, post-hoc 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lementary school capital's servant leadership was perceived relatively high, with 3.85 out of 5.00 points. In terms of background variables, it was found that teachers of public schools rather than private schools, teachers with more teaching experience, and chief teachers rather than teachers perceived the servant leadership high. Seco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job satisfaction was perceived high, with 3.63 out of 5.00 points. In terms of background variables, it was found that teachers of larger schools, teachers whose school principal has professional experience, male teachers rather than female teachers, and teachers with more teaching experience perceived job satisfaction high. Third, the school principal's servant leadership has a positive (+) correlation wi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job satisfaction (r=.484, p<.01). That is, it can be seen that when the servant leadership is high, the job satisfaction also becomes high. With respect to this, a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was also found when 38 school units were examined (r=.635, p<.01). That is, it can be seen that, at a school unit, the higher the school principal's servant leadership is, the higher teachers' job satisfaction is as well. Fourth, the effects of the school principal's servant leadership on teachers' job satisfaction are as follows: The effects of the school principal's servant leadership on job satisfaction were examined from three aspects. As for the effects of background variables and servant leadership on extrinsic factors of job satisfaction, they have the explanatory power of 15.7% (F=6.925, p<.001). At this, the higher sympathy out of servant leadership factors is, the more the extrinsic factors of job satisfaction improve; and the higher persuasion is, the lower the extrinsic factors of job satisfaction become. As for the effects of background variables and servant leadership on the intrinsic factors of servant leadership, they have the explanatory power of 30.7% (F=15.096, p<.001). At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higher the vision presentation out of servant leadership factors is, the higher the intrinsic factors of job satisfaction become. The background variables and the servant leadership, which influence the whole job satisfaction, have the explanatory power of 28.4 % (F=13.642, p<.001). At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higher the listening and the vision presentation out of servant leadership factors are, the higher job satisfaction becomes. As the school principal's leadership and teachers' job satisfaction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efforts should be made to improve the school principal's servant leadership so as to raise teachers' job satisfaction. Particularly, the technique of sympathy that influences the extrinsic factors of job satisfaction should be used. And since persuasion lowers teachers' job satisfaction, teachers and the school principal should present vision more indirect than persuasion, in a relationship of trust, through vision presentation and community forming, and find out means for teachers' acting for themselves. In addition, teachers' progress, innovation, and consciousness of teaching profession should be stimulated through vision presentation that influences the intrinsic factors of job satisfaction, and so the development of school organization should be promoted through the growth of its members. The higher the servant leadership's listening and vision presentation are, the higher the whole job satisfaction is; and thus the school principal should prepare a forum for open-minded communication with teachers so that he may act as a sincere listener to the demands and opinions of teachers, members of the organization, not domineering over them with authority. Also, he should be a school principal who can present short-term goals as well as long-term goals for individual teachers and the school. In addition, not ending up in presenting vision, he should bear in mind that it is also the school principal's servant leadership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achieving the vision. The findings show that the school principal's servant leadership influences teachers' job satisfaction. Therefore, the school principal should cultivate the servant leadership and demonstrate it at the diversified and ever-changing scene of education, and make efforts to grow with teachers and thus promote school education with desirable method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