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2 Download: 0

유아과학교수 개선을 위한 컨설팅 장학 연구

Title
유아과학교수 개선을 위한 컨설팅 장학 연구
Authors
장소연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희진
Abstract
본 연구는 컨설팅 장학을 통해 현장에서 많은 교사들이 어려워하는 유아과학교수 개선을 위한 현장연구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상정하였다. 1. 유아과학교수 개선을 위한 컨설팅 장학의 내용은 어떠한가? 2. 유아과학교수 개선을 위한 컨설팅 장학의 결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경력 6년차의 연구자와 유아 과학 교육에 관심이 있고 경력이 있는 현장 전문가 2명의 참여로 진행되었으며 컨설팅 장학 과정 중에서 수업 활동 대상 유아는 H시에 위치한 D유치원 만 4세 22명이다. 연구를 위한 현장 실행 기간은 2012년 1월부터 5월 15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실행 단계는 크게 컨설팅 준비, 실행과정, 마무리 과정을 거쳐 진행되었다. 컨설팅 준비과정은 연구자의 문제 인식에 따른 장학 방법 결정, 컨설팅 장학 팀 구성, 연구자의 문제점 분석, 컨설팅 전반 과정 논의로 이루어졌고 실행 과정은 과학 환경 개선과 과학 자유선택활동 개선, 과학 대집단 활동 개선으로 이루어졌으며 마무리 과정은 각 컨설팅 과정의 평가로 진행되었다. 연구 과정 중 협의록은 녹음하고 전사하였으며 수업 장면을 촬영하여 전사하고 협의과정에서 활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과학교수개선을 위한 컨설팅 내용은 과학환경개선, 활동선정와 활동 진행과정 측면에서 이루어졌다. 둘째, 단계별 컨설팅 내용에서는 교사의 문헌 연구가 기초가 되었다. 셋째, 유아과학교수개선을 위한 컨설팅 결과는 컨설턴트와 협의한 내용을 수정하고 이를 직접 실행하고 평가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졌다. 넷째, 유아과학교수개선을 컨설팅 결과에서는 평가가 이루어지며 이는 다음 단계의 컨설팅 내용에 반영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현장의 교사에게 줄 수 있는 제언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컨설팅 장학의 과정에는 연구자가 스스로 문제 인식하는 것이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 둘째, 컨설팅 장학의 진행과정에서도 연구자가 선행 연구를 먼저 진행하여 컨설팅 과정을 주도하는 형태로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컨설팅 과정에서는 반드시 문제인식과 대안 설정과 같은 사전 협의를 거쳐 이루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유아과학교육에 대한 컨설팅 장학에 대한 과정 및 내용에 대한 연구는 현장에서 과학교육을 어려워 하는 교사들에게 효과적인 장학을 받는 방법을 알려주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The present research is a field research to inform many kindergarten teachers who experience difficulties during math-science education. The current research investigates. 1) what is an effective content of a science education consultation? 2) What is the result of the consultation? The present study is conducted by an experienced researcher and by two field experts. The participants were 22 children aged 4. The children were recruited from D kindergarten in H city.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January to May of 2012 and it preparation period, consultation period, and closing period. During the preparation period, the researchers focused on identifying educational problems, determining consulting methods, organizing a consulting team, and analyzing the problems. During the consultation periods, the researchers focused on improvement of classroom science area, science learning activity, and science teaching during a circle time. Lastly, during the closing period, the overall consultation program was evaluated. Any discussions during the research period were recorded and all classroom lessons were videotaped for further analysis. The study indicated four results. 1) The science education consultation aimed at improvement of classroom science-learning area and science-learning activities. 2) The science education consultation was based on literature on teachers. 3) The results of the consultation reported here were based on discussions with consultants in the study. 4) The evaluation was reflected to improve the next consultation. Our findings have several implications to the current science education. 1) Researchers should have thorough understanding of problems during educational consultations. 2) Prior to the consultations, a pilot study should be done. 3) During the consultations, researchers should have enough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to identify and resolve the problems. The present research will inform an effective way of science education consultation which will help teachers who are concerned by the current science education syste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