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844 Download: 0

의사소통증진을 위한 가족사례연구

Title
의사소통증진을 위한 가족사례연구
Authors
박용분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현대의 가족은 사회문화의 변화로 인해 다양한 가치관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으며, 가족관계에도 반영되어져 가족간 갈등, 폭력, 해체 등의 여러 가지 문제를 겪오 있으며 이러한 문제들은 가족관계와 관련이 있다고 증명되고 있다. 또한 가족간 갈등상황의 하나로 부모-자녀관계에서 갈등을 해결하는 방법으로 주로 회피나 권위, 허용의 방법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문제의 심각성 이 더 증폭되고 있으며, 가족은 이러한 가족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문적인 가족복지서비스에 대한 욕구를 갖고 상담자를 찾기도 한다. 본 연구자는 사회복지현장에서 가족문제들로 인해 상담을 의뢰하는 가족들에게 개입하기 위해 가족의 가족기능을 사정하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들을 훈련시켜 문제해결을 지원해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가족기능을 결정짓는 하위개념과 가족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하위개념을 살펴보고, 가족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기술훈련을 주 내용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가족기능이 향상되었는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창신동 지역을 중심으로 가족 내 등 해결의 욕구가 있는 초등학생 자녀가 있는 가족들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홍보, 사전상담을 통해 4가족을 선정하여 집단상담프로그램으로 진행하였다. 첫 자녀의 연령을 제한한 것은 가족의 발달단계상 가족들의 공통된 발달과업상의 문제를 다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였다. 프로그램 개입은 총 4가족을 대상으로 순환모델(Circumplex model)에서 제시되는 ''긍정적 의사소통기술(positive communication skill)-자기개방(selfdisclo-sure), 반영적 경청(reflectlistening), 지지적 코멘트(supportive comment), 공감(Empathy)''을 교육내용으로 삼았고, 주 1회씩 총 5회 동안 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사전·사후에 가족기능도를 측정하였고 3개월 이후 그 효과가 유지되고 있는지 다시 한번 가족기능도를 측정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들이 제기한 문제들 중 공통적인 부분중의 하나는 가족안에서의 역할 및 기능이 남편보다는 아내에게 집중되어 있어서 겪는 어려움과 스트레스 그리고 이에 대한 적절한 자기개방이나 지지적 조언의 부족으로 인한 문제들이었다. 이는 한국 가족에게 많이 드러나는 문제로 보여지며, 연구결과에서처럼 가족 구성원의 의사소통기술의 향상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나타났다. 또 하나의 문제는 부모-자녀간의 갈등에 있어서 의견차이를 좁히고 해결지향적인 대화를 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을 모르기 때문에 겪는 문제들이었다. 즉, 자기개방, 반영적 경청, 공감, 지지적 조언과 같이 긍정적 의사소통 기술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따라서 활용될 수 없었기 때문에 가족간 의사소통의 문제가 해결되지 못했던 것이다. 본 프로그램에 참여한 연구집단은 사전 가족기능도 측정에서는 극단범위가족 1가족을 제외하고는 모두 중간범위가족이었고, 프로그램 종결시가족기능도 측정에서는 중간범위 가족 1가족을 제외하고는 모두 중간범위가족이었고, 프로그램 종결시 가조기능도 측정에서는 중간범위 가족 1가족, 균형가족 3가족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3개월 이후 가족기능도 측정에서는 중간범위 가족 1가족, 균형가족 3가족의 결과를 나타내어 비교적 효과가 유지되고 있었으며,긍정적 의사소통기술들을 가정에서 활용하려는 의지를 많이 나타내주었으며, 프로그램 종결 이후 3개월 간 가족 내·외적 상황의 변화는없었던 것으로 보고되었다. 본 연구는 복지관 또는 지역주민자치센터, 상담실과 같은 임상실무에서 가족강등 해결에 대한 욕구가 있는 가족집단에 대해 사회사업적 개입을 통하여 긍정적 의사소통기술의 습득과 활용을 지원함으로써 건강한 가족기능을 형성하는데 활용하는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