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8 Download: 0

사회경제적 지위, 어머니의 학습관여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자기결정동기 간의 관계

Title
사회경제적 지위, 어머니의 학습관여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자기결정동기 간의 관계
Other Titles
Relationship of Socioeconomic Status, Maternal Involvement in Learning and Maternal Behavior to Children's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uthors
노보혜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아동학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성연
Abstract
본 연구는 어머니와 아동이 지각하는 사회경제적 지위, 학습관여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자기결정동기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데 주된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어머니의 학습관여, 양육행동 및 아동의 자기결정동기가 사회경제적 지위 및 어머니와 아동의 지각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는 한편, 아동의 자기결정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각 변인들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파악하였다. 또한, 학습관여와 자기결정동기 간의 관계에서 양육행동이 중재역할을 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위치한 5군데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 333명과 그들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아동의 자기결정동기는 Kim(2002)의 한국형 학업적 자기조절 설문지(K-SRQ-A)를 사용하였으며, 사회경제적 지위는 어머니의 교육수준과 가정 월 소득으로 구분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양육행동과 학습관여는 본 연구자가 선행연구를 토대로 수정 ․ 보완한 자율성지지와 심리적 통제에 관한 관련된 척도 및 학습관여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문제 분석을 위해서는 변인들 간의 부분 상관관계를 산출하였으며, 독립 t-test와 일원분산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지각과 아동의 지각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어머니의 학습관여와 자율성 지지 양육행동에서는 차이가 없었지만, 심리적 통제 양육행동은 어머니와 아동 간의 지각에서 차이를 보여, 아동은 어머니보다 심리적 통제 양육행동을 더 높게 지각하였다. 둘째, 어머니의 자율성 지지 양육행동과 학습관여에서 어머니의 교육수준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 어머니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주도적 학습관여와 자율성 지지 양육행동을 더 많이 하였다. 또한, 가정 월 소득에 따라 어머니의 학습관여와 심리적 통제 양육행동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가정 월 소득이 높을수록 학습관여와 심리적 통제 양육 행동을 많이 하였다. 셋째, 사회경제적 지위, 어머니의 학습관여와 자율성지지 및 심리적 통제 양육행동이 아동의 자기결정동기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자율성 지지는 아동의 자기결정동기를 가장 잘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나, 어머니의 자율성 지지가 높을수록 아동의 자율적 자기결정동기가 높았다. 그 다음으로 심리적 통제 양육행동과 학습관여의 순으로 영향을 미쳐,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높을수록 그리고 어머니가 학습관여를 많이 할수록, 아동의 자율적 자기결정동기가 낮았다. 넷째, 어머니의 학습관여와 아동의 자기결정동기 간의 관계가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따라 달라지는지를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자율성 지지가 낮은 경우 어머니의 학습관여와 아동의 자기결정동기 간의 부적인 관계가 나타나, 학습관여가 높고 자율성지지 양육행동이 낮을 때 자율적인 자기결정동기가 가장 낮았다. 반면, 자율성 지지가 높은 경우에는 어머니의 학습관여가 높고 낮음에 상관없이 아동의 자기결정동기가 높았다. 또한, 심리적 통제가 낮은 경우 학습관여와 자기결정동기 간의 부적 관계가 나타나 학습관여가 낮을 때는 특히 심리적 통제가 적을 때 자율적 자기결정동기가 높았다. 그러나 심리적 통제가 높은 집단의 경우는 어머니의 학습관여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주도적인 학습관여와 심리적 통제 양육행동은 아동의 자율적인 자기결정동기를 저해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어머니의 학습관여와 아동의 자율적 자기결정동기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행동과 자율성지지 양육행동이 중재역할을 한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따라서 아동의 자율적 자기결정동기를 예측하는 요인을 알아봄으로써, 더 좋은 학습 환경을 제공하는 데 도움을 준다는 점에서 실용적 의의가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socio- economic status perceived by mothers and children, maternal involvement in learning and maternal behavior to children's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33 fifth- and sixth-grade children and their mothers in five different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A survey was conducted to gather data. The instrument used to evaluate the children's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was Kim(2002)'s K-SRQ-A, which was a Korean version of academic self-regulation questionnaire. Their socioeconomic status was assessed based on the academic credential and monthly income of the mothers, and an autonomy support/ psychological control scale and a learning involvement scale were modified based on earlier studies to evaluate their maternal behavior and learning involvement. The partial correlation of the variables was investigated, and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procedures were utilized.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perception of the mothers and that of the children, the way they looked at maternal learning involvement and maternal behavior of autonomy support was not different, but there were gaps in the way of looking at maternal behavior of psychological control. Second, the maternal behavior of autonomy support and maternal learning involvement differed with maternal education level. The autonomy support behavior was more common among the mothers whose education level was higher, and learning involvement was more prevailing among those mothers as well. Also, maternal learning involvement and maternal behavior of psychological control differed with family income. Third, as a result of checking the relative influence of socioeconomic status, maternal learning involvement and the maternal behavior of autonomy support and psychological control on the children's self- determination motivation, autonomy support was identified as the variable that made the best prediction of the children's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Fourth, whe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learning involvement and the children's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hinged on the maternal behavior was investigated, and there was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learning involvement and the children's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when the mothers gave less support to their autonomy. There was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involvement and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when the children were under less psychological control. In conclusion, maternal learning involvement and the maternal behavior of psychological control were found to undermine the autonomous self- determination motivation of the children. its also found that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support for autonomy had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learning involvement and the children's autonomous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