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홍백의 | - |
dc.contributor.author | 이재희 | - |
dc.creator | 이재희 | - |
dc.date.accessioned | 2016-08-26T11:08:19Z | - |
dc.date.available | 2016-08-26T11:08:19Z | - |
dc.date.issued | 2010 | - |
dc.identifier.other | OAK-000000058580 | -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3822 | - |
dc.identifier.uri | 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8580 | - |
dc.description.abstract | 본 연구는 산재장애인을 제외한 중도 장애인의 장애수용, 구직욕구 수준을 실증적으로 확인하고 장애수용을 포함, 관련 변인들이 구직욕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특히 장애수용 하위영역이 구직욕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중도장애인의 긍정적인 장애수용 및 구직욕구 향상을 위한 지원방향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지역사회 내 직업재활서비스 및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산하 직업능력개발센터를 이용하고 있는 중도장애인 33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여 260부를 회수하였으며, 이 중 58부를 제외하고 총 202부가 본 연구 분석에 활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 조사대상자의 장애수용은 4점 만점에 평균 2.63점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별로는 가치영역의 확대(2.80), 비교가치에서 내적가치로의 전환(2.74), 장애의 부정적 효과 차단(2.50), 신체적 조건의 수용(2.36) 순으로 장애수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항목별로는 '신체상의 장애는 인간의 정신적 능력에도 영향을 미친다'에 가장 낮은 수용(2.10)을 나타냈고, '장애인이 되지 않았다면 아마도 나는 보다 나은 사람이 되었을 것이다'(2.19) 항목에서 장애수용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장애수용은 장애유형, 장애급수, 사회적 지지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장애유형별로는 시각장애와 청각장애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애등급별로도 장애수용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는데 주목할 것은 1급과 6급간에는 약 6점 정도의 차이가 나타났던 반면, 4급과 6급간에는 약 15점 정도의 높은 장애수용도 차이가 나타났다는 것이다. 4급 장애인의 경우 장애상태는 경증장애인 범위 내에서 가장 중증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경증으로 구분됨으로써 실질적으로 지원 받을 수 있는 서비스 수준이 기대에 미치지 못함을 반영하는 결과로 해석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고 생각한다. 사회적 지지도에 따라서도 매우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는데. 이는 박자경(2009)의 장애수용과 삶의 만족도 관계를 분석한 연구에서 사회적 지지와 사회참여요인이라는 환경적 요인을 강화함으로써 장애수용을 높일 수 있으며 아울러 장애에 대한 정서적인 적응을 꾀할 수 있다고 보고하고 있는 것과 연관지어 생각해 볼 수 있겠다. 둘째, 본 연구 조사대상자들의 구직욕구를 살펴본 결과, 평균 3.36으로 보통을 하회하는 수준으로 조사되었다.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구직활동의 적극성 3.45, 일자리 수용자세 3.26으로 나타나 전체적으로 구직욕구가 높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이는 조사대상자 가운데 대부분이 직업훈련 과정에 참여하고 있었으며 그로 인해 구직을 시도하기에는 시기적으로 적절하지 못한 상황에 놓여있었기 때문으로 짐작된다. 다른 한편으로 기숙사 형태의 공간적 편의시설이 갖추어진 쾌적한 환경에서 전액 무상으로 실시될 뿐 아니라 소정의 훈련비용이 추가적으로 지급되는 직업훈련 과정에 참여하고 있다 보니 현재 생활에 만족하여 구체적이고 즉각적인 구직활동을 준비하는데 심리적 여유로움이 나타날 수 있다고도 유추해볼 수 있겠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구직욕구는 장애발생 원인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는데 교통사고 및 유전적 질병으로 인해 장애가 발생했을 경우에는 구직욕구가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던 것에 반해 개인질병 및 원인불명 등에 따른 다른 이유로 인해 장애가 발생했을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구직욕구가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교통사고의 경우 특정한 시점의 사고발생으로 인해 변화 된 자신의 삶을 받아들이기까지 분명한 심리적 어려움은 있을 수 있겠으나 장애발생 전과 후의 차이를 실제적으로 인지하며 이후의 삶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다른 원인에 비해 보다 적극적인 삶의 태도를 지향하고 있다고 생각되어지며 유전적 질병의 경우에도 비교적 이른 시기에 장애 발생을 확인하게 됨에 따라 수용적으로 장애상태를 받아들이기까지 시간이 많이 경과한 탓에 구직에 있어 적극적으로 구직활동을 준비하게 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개인질병 및 원인불명의 경우 지속적인 치료를 요하거나 악화 가능성이 있을 수 있는 가능성이 높음에 따라 구직욕구 및 적극적인 구직활동을 펼치기에 어려움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셋째, 조사대상자들의 장애수용이 구직욕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미한 영향력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다만, 직업훈련 및 교육 참여 경험, 원인불명에 따른 장애 발생, 사회적 지지도에 따른 구직욕구에 유의성 정도만 확인되었다. 이는 중도장애인의 장애수용이 구직욕구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본 연구 가설과 배치되는 것으로 차후 심층적인 연구를 통해 중도 장애인의 장애수용여부와 구직욕구를 포함한 직업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면밀히 조사해 볼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넷째, 조사대상자들의 장애수용 하위영역이 구직욕구 하위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장애수용의 하위영역 가운데 하나인 신체적 조건의 수용은 구직욕구 하위영역인 구직활동 적극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본 연구의 조사대상을 신체 외부 장애인을 대상으로 했다는 점과 중증장애인(장애급수 3급 이상)의 비율이 전체 69.8%를 차지하고 있음을 부분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보여진다. 실제 교차분석을 통해, 장애원인에 따라 구직활동 적극성에 매우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난 바 연구대상 가운데 구직을 준비하는 직업훈련과정에 참여하고는 있으나 실제 경쟁고용을 통해 비장애인들이 대다수 차지하고 있는 일반 근로환경으로의 구직 시도 자체를 포기하고 있는 가능성이 일정 부분 이상 있을 수 있음을 짐작해볼 수 있겠으며 보다 명확한 연구결과를 위해 차후 심층적인 연구가 뒷받침 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confirm the level of disability acceptance and the desire to seek employment in acquired disabled persons, excluding those disabled in industrial accidents. It also attempt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related parameters such as disability acceptance on the desire to seek employment. In particular, it can be said that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find ways to assist the acquired disabled persons in assuming positive stance towared accepting their disabilities and to increase their desires for employment by analyzing the effect that the subdomains of disability acceptance exercise upon desire to seek employment. Data for this study was collected by handing out questionnaires to 330 acquired disabled persons using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in the local community or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centers under Korea Employment Promotion Agency for the Disabled (KEPAD). Of these questionnaires, 260 were retrieved from which 58 were excluded, and a total of 202 were used for analysis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average score for the disability acceptance level of the subjects was shown to be 2.63 out of 4. Disability acceptance scores for each of its subdomains are as listed below in a descending order: the expansion of value disciplines (2.80), substitution of comparative value by intrinsic value (2.74), screening negative effects of disability (2.50), and acceptance of physical condition (2.36). Of individual items, 'physical disabilities influence a person's mental capability' showed the lowest acceptance (2.10), while the acceptance score (2.19) for the item 'I would be a better person than I am now had I not acquired physical disability' indicated that the subjects were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accepting their disabilities. Disability acceptance of the subjects related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accordance with the type and grade of the disability along with the social support. In the case of disability type,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to exist between visual impairment and hearing impairment. The level of disability acceptance also significantly varied according to the disability grade. Meaningful differences were also observed in the aspect of social support. This can be considered in connection with Park Ja-kyung's analytic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isability acceptance and satisfaction with life (2009), which reported that the reinforcement of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social support and participation can increase the level of disability acceptance while promoting emotional adaptation to the physical disability. Secondly, upon examination, the average score of the subjects' desire to seek employment was observed to be 3.36, which is lower than normal. Looking at its subdomains, the score for the activeness of job-seeking was 3.45 and the attitude toward job acceptance 3.26, hence the analysis that the general level of desire to seek employment is low. It is surmised that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most of the subjects were participating in vocational training courses and thus were not in a suitable situation to actively search for jobs. At the same time, it can be inferred that this displays the subjects' contentment for the current state and the psychological comfort in preparing for immediate and specific job search activities, which are caused by the fact that they are participating in a vocational training course in which they are provided with comfortable environments in dormitory-like spatial convenience facilities free of charge and are additionally paid a set amount of training expenses. The subjects' desire to seek employment in relation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the cause for their disabilities. The level of job-seeking desire was high in subjects whose disabilities are caused by traffic accidents and genetic disorders. On the other hand, the level of desired was relatively low in subjects with disabilities that arise from individual disease or some other unknown factors. While it is true that the subjects who were disabled in traffic accidents may have psychological difficulties in accepting changes caused by the accident that occurred in a particular point in their life, it is deemed that they assume relatively positive attitude in perceiv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ir life before and after the accident and in preparing for life afterwards. In cases of subjects with genetical disorders, the fact that they recognized their disabilities relatively early in their life and had more time to accept them is thought to be the reason for their activeness in preparing to seek employment. For subjects whose disabilities were caused by individual disease or some unknown factor, the fact that they are often required to receive treatments continuously and there exists possibility of their conditions becoming worse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ir difficulties in maintaining high level of desire to seek employment and actively searching for jobs. Thirdly, results from the regression analysi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subjects' disability acceptance on their desire to seek employment showed that no such influence is in effect, at least in degrees that can be deemed significant. However, influences of experiences of participating in vocational training and education, disabilities caused by unknown factors, and level of social support on the desire for job-seeking was confirmed. This is contrary to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which assumed that the disability acceptance of acquired disabled persons will affect their desire to seek employment. Therefore, we deem that the effect upon the disability acceptance of acquired handicapped persons and their occupational life including the desire for job-searching must be investigated through in-depth researches in the future. Fourthly, results form the analysis of the effects that the subdomains of disability acceptance exercise upon those of the desire for job-searching indicated that the acceptance of physical condition, which is one of the former subdomains, has negative effects on the activeness of job-seeking, one of the latter subdomains. For this, the fact that the subjects of this study had external physical disabilities and that among them the percentage of severely handicapped persons (handicap grade of 3 or above) was 69.8% must be partially considered. From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ctiveness of job-searching activities according to the cause of disabilities observed through cross-tabulation analysis, it may be presumed that most of the subjects, while participating in vocational training courses, have practically given up the attempt to compete to search for regular employment where the majority of employees are non-handicapped. It is judged that in-depth studies must be carried out in the future to support more clear results.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Ⅰ. 서론 = 1 A. 문제제기 및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의의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중도장애인의 특성과 현황 = 5 1. 중도장애인의 개념 = 5 2. 중도장애인의 특성 = 6 3. 중도장애인의 발생 현황 = 7 B. 중도장애인의 장애수용 = 10 1. 장애수용의 개념 = 10 2. 장애수용에 관한 선행연구 = 12 C. 중도장애인의 구직욕구 = 15 1. 구직욕구의 개념 = 15 2. 구직욕구의 중요성 = 15 3. 구직욕구에 관한 선행연구 = 17 4. 구직욕구 영향요인 = 20 Ⅲ. 연구 설계 및 방법 = 32 A.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방법 = 32 B. 측정도구 = 33 C. 연구모형 = 38 D. 연구가설 = 40 E. 분석방법 = 40 Ⅳ. 연구결과 분석 = 41 A.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41 1. 조사대상자의 개인적 특성 = 41 B. 조사대상자의 장애수용 = 44 1. 하위영역별 장애수용 = 44 2.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장애수용 = 48 C. 조사대상자의 구직욕구 = 57 1. 하위영역별 구직욕구 = 58 2.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구직욕구 = 59 D. 장애수용이 구직욕구에 미치는 영향 = 64 1. 장애수용이 구직욕구에 미치는 영향 = 65 2. 장애수용이 구직활동 적극성에 미치는 영향 = 67 3. 장애수용이 일자리 수용 자세에 미치는 영향 = 68 E. 장애수용 하위영역이 구직욕구에 미치는 영향 = 69 1. 장애수용 하위영역이 구직욕구에 미치는 영향 = 69 2. 장애수용 하위영역이 구직활동 적극성에 미치는 영향 = 71 3. 장애수용 하위영역이 일자리 수용자세에 미치는 영향 = 72 F. 장애수용 하위영역이 구직욕구 하위영역에 미치는 영향 = 73 Ⅴ. 결론 및 제언 = 75 A. 연구결과 요약 = 75 B. 제언 = 77 1. 사회복지실천을 위한 제언 = 77 2.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 79 C. 연구의 제한점 = 80 참고문헌 = 81 부록(설문지) = 85 ABSTRACT = 93 | - |
dc.format | application/pdf | - |
dc.format.extent | 992578 bytes | - |
dc.language | kor | - |
dc.publisher |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 - |
dc.title | 중도장애인의 구직욕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 |
dc.type | Master's Thesis | - |
dc.title.translated |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Desire of the Disabled Persons With Acquired Disabilities to Seek Employment | - |
dc.creator.othername | Lee, Jae-Hee | - |
dc.format.page | ⅶ, 96 p. | - |
dc.identifier.thesis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major | 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 - |
dc.date.awarded | 2010. 2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