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76 Download: 0

지역사회 알코올 서비스를 받고 있는 이용자의 단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Title
지역사회 알코올 서비스를 받고 있는 이용자의 단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Other Titles
Potential Factors on Local Alcoholism-related Mental Health Service Users' Abstinence from Drinking
Authors
이승연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인영
Abstract
Now, it is reported that about one of three Korean adults (33%) belongs to high risk alcohol drinking group. And it is possibly estimated that 5.6% of Korean adults (ca. 1,800,000 persons) are alcoholics. If one member of a family suffers from alcoholism, all of other family members also suffer in their mentality due to his or her alcoholism. In consideration of those families, it is reasonably to estimate that about 10 million Koreans suffer directly and indirectly from alcoholism. Alcoholism needs stepwise and continuous care within local community, because it cannot be resolved simply with admission and treatment. But most of current Korean local alcoholism-related mental health service centers have relatively short history of services and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project, so that they reveal inevitable limitations in providing integrated and efficient services for alcoholics and their family. Targeting Korean alcoholics who use services from local mental health centers and alcoholism counseling cent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potential factors on their abstinence from drinking; inform alcoholism specialists of those potential factors; and provide reference data for setting any favorable orientation of alcoholism-related mental health service. To meet the goals, this study characterized alcoholism and made theoretical examinations into abstinence from drinking. Based on such characteristics and examinations, this study used questionnaire items and related scales to obtain useful and valid data on 4 major categories of potential factors upon abstinence from drinking, such a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ocial factors, clinical factors and family factors. The results of survey data analysis can be summed up as follows: According to analysis on potential differences in the level of abstinence from drinking depending upon general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abstinence from drinking depending upon sex, family history, attendance at Alcoholism Anonymous (AA) meeting, religion and financial conditions,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abstinence depending upon local alcoholism-related center, occupation and 1-year or longer abstinence respectively on statistical basis. According to analysis on correlation among different factors related to abstinence from drinking, it was found that the abstinence from drinking (dependent variable) was in most significantly negative (-) correlation with depression (independent variable), and was also in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other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careful consideration phase, family coherence and positive insight.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 abstinence from drinking was in significantly positive (+) correlations with practical phase, social supports and negative insight. According to analysis on potential correlations among major variables used herein,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them. Thus, it is found that the effect relationships of dependent variable (abstinence from drinking) with independent variables (social factors, clinical factors and family factors) are consistent with the orientation of hypotheses set herein, which indicates correlations among variables. According to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n potential factors upon the abstinence from drinking, it was found that depression, monthly income, insight and attendance at Alcoholism Anonymous meeting had significant effects on higher motivation for abstinence from drinking. Now that there are very few preceding studies on alcohol abstinence of alcoholics who live in local community, this study has its own implications in the sense that it examines potential factors upon their abstinence from drinking, compares measurement values with one another, and provides useful reference data for our local alcoholism-related mental health centers. However, it has the following several limitations: First, a case manager surveys local alcoholics by their informed consent and directly collects all survey data from them (as respondents), so that he or she may have any influence on their responses to survey. Secondly, this study surveys only alcoholics who use services from local mental health centers and alcoholism counseling centers, except alcoholic subjects who don't rely on any service from those centers, so that it is unreasonable to generalize simply from the findings hereof any overall alcohol abstinence characteristics of many alcoholics living in local community. Thirdly, sampling and data collection of this study are limited only to Seoul metropolitan city, so it may have a limitation of regional coverage in generalizing the findings hereof. Conclusively, on the basis of above findings, this study can give the following suggestions, expecting that follow-up studies will more actively investigate the abstinence of alcoholics living in local community: First, poor class that hardly benefit from any medical care without any formulated local assistance in local community relies upon local mental health centers and alcoholism counseling centers. As for them, the social supports are effective in reducing negative reoccurrence of alcoholism in any hard situation of loneliness, and are also effective in improving the ability of alcoholics to cope with many of their daily challenges such as family relationships, insufficient information and personal relationships, so that they can keep abstaining from drinking. However, current social assistance system for alcoholism is not enough in many aspects to provide required services for many potential alcoholics, so it is required for central or local government to give policy-level supports for better solution. Secondly, this study comes to a finding that depression and abstinence period have significant effects on alcoholics' abstinence from drinking. It suggests that education and training courses for the alcoholism counseling and care specialists should include sessions on alcoholism and mental diseases, and should also include sessions on motivation for alcoholics to keep abstaining from drinking over longer period. Thirdly, this study comes to a finding that insight and gradual progress of alcoholics have more or less significant effects upon their abstinence from drinking. It suggests that local alcoholism centers should measure gradual changing progress of alcoholics and thereby coordinate stepwise motivation-building counseling sessions and programs, with a view to implement a client-oriented customized service, as it is called, to comply with current conditions of each alcoholic. Fourthly,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re are many factors on abstinence of alcoholics from drinking. It measure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ocial factors, clinical factors and family factors, but it is advisable that follow-up studies will investigate more diverse factors than this study. Finally, alcoholism is a disease derived from a variety of morbid factors, so it is necessary for follow-up studies to focus on qualitative aspects of alcoholics to obtain more individualized and detailed information on them, although it is also important to take any quantitative approach to them by means of objective scales.;우리나라 성인의 33%가 고도위험 음주자이다. 성인의 5.6%, 180만 명이 알코올 중독환자로 추정할 수 있다. 한 가정에 한 사람이 알코올 중독이 되면 모든 가족이 고통 받게 된다. 가족까지 합치면 우리나라에서 1천만 명이 알코올 중독으로 인해 고통 받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알코올중독은 단순히 입원치료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기에 단계적이고 지속적인 지역사회 내에서의 관리가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 지역 내 알코올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들의 연혁이 짧고 사업의 특성 또한 달라 통합적이고 효율적인 서비스 제공에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신보건센터 및 알코올상담센터에서 서비스를 받고 있는 알코올중독자를 대상으로 단주에 미치는 요인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통해 많은 알코올 중독 전문가들에게 단주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정보 제공과 함께 향후 서비스 방향을 설정할 때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를 위해 알코올중독의 특성과 단주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단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크게 인구사회학적 특성, 사회적 요인, 임상적요인, 가족적 요인 등 4개의 영역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설문문항과 더불어 관련된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단주 수준 차이에서는 성별, 가족력, A·A 모임참석 여부, 종교, 경제적 상태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기관, 직업 여부, 1년 이상의 단주 기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 하였다. 단주와 관련된 요인들과의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종속변수인 단주와 독립변수 중 우울증이 가장 높은 유의미한 부(-)의 상관관계성을 보였으며, 숙고단계, 가족응집력, 긍정병식은 모두 유의미한 부(-)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실천단계, 사회적지지, 부정병식은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주요 변수의 상관관계 결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종속변인인 단주와 사회적 요인, 임상적 요인, 가족요인 등의 독립 변수 사이에는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본 연구의 가설방향과 일치하고 있어 상관성을 보이고 있다고 판단 할 수 있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하여 단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면, 우울감, 월수입, 병식, 단주모임 참석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 내에서 생활하고 있는 알코올 중독자의 단주에 대한 선행연구가 거의 없는 시점에서 대상자의 단주에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 그 평가치를 비교하고 이를 지역기관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가지나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제한점을 갖는다. 첫째, 모든 자료 수집을 설문에 동의한 응답자에게 사례관리자가 직접 조사 및 수집하여 응답자의 설문 답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제한점이 있다. 둘째, 지역에서 정신보건센터 및 알코올상담센터에서 서비스를 받고 있지 않은 대상자를 제외하고, 지역정신보건센터 및 알코올상담센터 서비스 이용자만을 조사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지역에서 생활하고 있는 많은 알코올중독 대상자의 전체적인 단주 특성을 보기에는 제한점이 있다. 셋째, 본 연구 대상자의 표집수집이 서울지역에만 국한되어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는데 지역적 한계가 있을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지역사회 내에서 생활하고 있는 알코올 중독자의 단주에 대한 활발한 연구를 기대하면서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에서 지지체계가 없고 치료를 받기 어려운 빈곤층이 정신보건센터와 알코올상담센터를 이용하고 있다. 이들에게 사회적 지지는 외로움이라는 문제 상황에서 재발이라는 부정적 결과를 줄이는 효과와 알코올 중독자가 일상생활에서 겪고 있는 가족관계, 정보습득부족, 대인관계 등 많은 어려움에 대하여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킴으로서 단주를 유지시켜주는 효과를 갖게 할 수 있다고 생각 된다. 그러나 많은 잠재적 대상자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해 주기에는 현재의 시스템에서 부족한 부분이 많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적인 뒷 바침이 필요 하다. 둘째, 본 연구에서 우울감과 단주기간이 단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고 나타났다. 이는 전문가 양성 교육 및 훈련 시 알코올 중독 뿐만 아니라 정신질환에 대한 부분도 교육 내용에 포함 되어야 하며 단주기간을 늘려줄 수 있도록 동기부여에 관한 교육 내용 또한 포함 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에서 병식 및 변화단계의 요인이 단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고 나타났다. 이는 알코올 중독자의 현 상태에 부합하는 이른바 클라이언트 중심의 맞춤형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하여 지역기관에서는 알코올 중독자의 변화 단계를 평가하여 그 단계에 맞는 동기강화 상담 및 프로그램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단주에 미치는 요인들이 다양하다. 본 연구에서는 인구사회학적 특성, 사회적요인, 임상적요인, 가족적 요인들을 측정하였으나 후속 연구를 통해 좀 더 다양한 요소들을 포함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다섯째, 알코올중독은 다양한 요인에 의하여 파생된 질병이므로 이를 객관적인 척도를 활용한 양적 접근도 중요하지만, 알코올중독자의 개별적이고, 좀 더 상세한 정보를 얻기 위해 질적인 연구가 함께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