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28 Download: 0

스마트폰을 이용한 미디어아트 작품 연구

Title
스마트폰을 이용한 미디어아트 작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Media Art Created Using Smart Mobile Devices Focused on 'Bo Pollock'
Authors
이보람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영상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유현정
Abstract
2010년에 등장한 스마트 기기들은 일대일 커뮤니케이션, 즉 전화통신을 기본기능으로 갖고 있으며, 시공간의 제약 없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 기능과 다양해진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개발된 여러 분야의 콘텐츠들이 집약된 초소형 컴퓨터로서 현재는 현대인들의 필수품이자 삶의 일부분이 되었다. 스마트 기기는 본 연구자가 이전에 경험해보지 못한 새로운 매체로서 현재 일반 사람들에게 가장 대중적인 디바이스가 되었다. 본 연구자는 디지털 시대 미디어를 이용한 작품을 연구하였으며 작품을 더 많은 사람들과 공유하고 함께 창작하는 방안으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구상하게 되었다. 1960년대 중반부터는 매체를 이용한 협동 작업에 대한 새로운 경향이 생성되었고, 70년대에서 80년대에 걸쳐 이러한 움직임은 컴퓨터를 이용한 디지털 아트에 영향을 미쳤다. 이후 PC의 보급과 인터넷의 등장은 정보 수용자로 하여금 창조적인 참여를 가능하게 하였다. 디지털 시대의 미디어 아트에서 상호작용(Interactivity)은 가장 중요한 개념이다. 디지털 시대로 진입하면서 수동적인 입장에서 작품을 관람하던 관람객들은 작품을 만지거나 특정한 행위를 능동적으로 함으로써 작가와 함께 작품을 완성해나가는 참여자가 되었다. 이는 관객의 성향에 따라 예술작품에 변화를 줄 수 있고, 매번 다른 결과를 초래하기 때문에 관객들로 하여금 이전의 예술방식보다 흥미를 유발시키고 작품에 대한 자신들만의 이해와 몰입도를 자연스럽게 높여 나갈 수 있게 되었다. 또한, 1990년 후반에 등장한 모바일 매체는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원하는 사람과 일대일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시대를 열어 현대인들의 일상생활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동성과 휴대성이 용이한 이 매체는 아티스트들의 예술적 매개가 되어 모바일 사운드를 이용한 오케스트라 또는 문자나 전화 송수신을 이용한 작품들이 만들어졌다. 모바일에서 뿜어져 나오는 전자파를 이용하여 형형색색의 구름풍선을 만드는 우스만 학(Usman Haue)의 작품 ‘스카이 이어(Sky Ear)’은 관람자들이 일상생활에서 만들어 내는 전자파를 시각적으로 인지 할 수 있다. 우스만 학의 모바일 매체를 이용한 작품은 관람객들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작품에 참여하는 일원이 되게 하는 이동식 매체의 특성을 잘 나타낸 것이다. 모바일의 등장이후 현재 통신망 역시 거듭 발전하여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나 풀브라우징(Full Browsing)이 가능한 4G와 같은 무선 광대역 인터넷 서비스가 등장하였고, 2010년 스마트 모바일 기기가 상용화 되어 현재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지니는 성능 좋은 이동식 소형 컴퓨터가 되었다. 이동하면서 언제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사용자들은 온라인상에서 강력한 커뮤니티를 형성하여 소셜네트워크서비스 (Social Network Service:이하SNS)와 같은 또 다른 매체가 파생되었다. 이렇듯 새롭게 등장한 스마트폰은 새로운 패러다임을 형성하였고 인간의 삶과 소통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물론 대중성과 파급력이 높은 새로운 문화로 받아들여져 대중예술의 가능성을 보인다. 스마트 모바일의 회화적 특성은 컴퓨터 그래픽에 뒤지지 않으면서 드로잉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많은 장비와 도구의 필요 없이 간편하게 그림을 그릴 수 있다는 점, 어두운 곳에서도 그림을 그릴 수 있다는 점, 항상 휴대하는 매체로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작업을 할 수 있다는 점들로 데이비드 호크니(David Hockney)와 같은 예술가들에게 미술 도구로 쓰인다. 이와 같은 회화적 특성 외에도 스마트 모바일 기기는 탑재된 자체 센서 기능과 자유자재로 이용이 가능한 인터넷은 예술가들에게 예술적 매개로서 무궁무진한 가능성을 제공한다. 예를들어, 2010년 인다프(INDAF)에서 전시된 아카마츠 마사유키(Masayuki Akamatsu)의 작품 오케아노스(Okeanos)는 40개의 아이폰을 와이파이(Wifi)로 연결시켜 작품과 관객 간의 관계 그리고 관객과 관객 간의 관계를 다시 생각해 볼 수 있게 하였다. 이것은 SNS매체와 유사한 맥락으로 ‘창작자’와 ‘감상자’로서의 일방적인 소통이 아닌 불특정 다수가 참여하는 ‘우리’로서의 소통방식을 이끌어내 참여자들은 정신적 공유와 유희성을 경험한다. SNS매체를 기반으로 하는 예술작품들은 예술가와 대중이 공동의 주체가 되어 함께 만들어 나가는데 의미가 있다. 본 논문에서의 작품 ‘Bo Pollock’역시 두 사람이 개인의 스마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해 동일한 화면을 공유하고 함께 작품을 창작하는 개념으로 참여형 미디어아트를 지향한다. 2008년도부터 진행되었던 본인의 선행 작품 무제연작 퍼포먼스(Untitled Series Performance)에서 작가의 몸이 예술적 매개가 되어 회화성을 표현하였는데 이 행위는 추상표현주의 액션페인팅에서 영향을 받아 시작되었다. 순간의 행위를 통하여 나타난 우연성의 효과를 예술성으로 받아들인 액션페인팅의 화면은 자유롭고 율동적인 선으로 가득하다. 이 작품은 모바일 App.형태로 개발되어 iOS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하는 아이폰, 아이패드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회사의 스마트폰과 스마트패드에 적용이 가능하다. 창작자가 그림을 창작하기에 아이패드가 가장 적합한 사이즈로 사료되어 ‘Bo Pollock’은 아이패드 개발환경을 기본으로 제작되었다. 여타 다른 디바이스에서도 구현이 가능하지만 화면 비율에 따른 디자인의 변형이 있고 다소 느림 현상이 있을 수 있다. ‘Bo Pollock’은 현 시점 가장 대중적인 디바이스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참여형 예술로서 대부분의 현대인들이 매일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참여자들에게 제공된다. 현재 예술창작형태의 어플리케이션에는 드로잉이 가능한 회화 콘텐츠와 사진을 변형하는 콘텐츠가 어플리케이션 마켓에 등록되어 있다. 또한 예술작가들이 갤러리에서 관람객들의 참여와 전시를 목적으로 제작된 어플리케이션이 있다. ‘Bo Pollock’은 스마트기기를 이용하여 동일한 와이파이(Wifi)환경에서 두 명의 참여자가 함께 회화작품을 완성하는 것에 의미를 두며, 이 작품이 현대인들의 삶에 가장 대중적인 스마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미디어 아트의 발전에 작은 역할을 하기를 바란다.;In the mid-1960s, people began experimenting with ways to combine art with media technology, and the result was a popular new field that became digital art, an area that was particularly popular through the 1970s and 1980s. This trend accelerated with the advent of personal computers and the Internet. Computer users had access to boundless information, augmented processing power and new tools that allowed for creation and manipulation of traditional mediums. The Internet provided people with a means to share ideas and the things that they created. Indeed, the new existence of a separate online life allowed people some degree of freedom in that they worked anonymously. This new paradigm fueled interaction, exploration, sharing and creation. Indeed, interactivity is the most important concept in the media art digital era, particularly because spectators went from passive to active, and artists could easily explore the boundaries and themes of existing artworks. This interactiveness brings about changes and also completes the artwork. From this process, the spectator becomes a co-creator along with the original artist. During these interactions, the spectator’s personality and intentions influence the nature of the final completion of the artwork. In media art, the spectator’s participation brings about a very different result within the artwork. In the process, people imbue their own thoughts into the art. The 1990s brought on the advent of mobile media, a development that freed people from the limitations of time and location. The ubiquity of this service proved attractive for media artists, and as a result a great many more participants into the arts. The range of artistic endeavors that one can take on is quite broad; for example, mobile devices can be used to compose orchestral pieces, and text messages can serve as the communication medium through which people collaborate. For example, Usman Haue introduced his artwork ‘Sky Ear’ which makes use of electromagnetic waves. Sky Ear creates color pictures in which the images are made in response to the electromagnetic waves made by people who walk under the cloud. People walking by using their phones release electromagnetic waves, and ‘Sky Ear’ registers this and creates a picture, thus people become participants even though they do not recognize that that is what they are doing. After the appearance of mobile devices, communications networks have developed continuously as well, and now, wireless broadband Internet services, such as Wireless Broadband Internet (Wibro) and 4G, allow for full browsing on mobile devices. Furthermore, smart mobile devices have been successfully deployed on a commercial scale since 2010, after which point high performance mobile computers were in the hands of millions of people. Based on this new ubiquitous Internet, users built powerful online communities, which in turn created new entities such as Social Network Services (SNS). These developments show just how much the arrival of mobile devices has created a new paradigm that has transformed human life and communication. Indeed, it can be said that what has arisen is a new dynamic, a ubiquitous and cooperative culture that has both popular appeal and expendability. These traits mean that the new devices have great potential to transform our artistic sensibilities and the way we create novel popular art. Although mobile devices’ painting ability does not exceed that of a laptop or desktop computer, they do have certain benefits when compared to these more traditional computers. Smart mobile devices allow artists to make pictures without any equipment or tools through the use of drawing applications. Moreover, due to ubiquitous and accessible nature of such devices, artists can use them without any constraints with respect to time and place. Indeed, artists such as David Hockney have made extensive use of these drawing tools. Apart from their drawing properties, smart mobile devices can access the Internet using built-in sensors, thus it provides an attractive artistic medium to media artists who want to use the interest along with high-end technology. The Japanese artist, Masayuki Akamatsu introduced ‘Okeanos’ in INDAF 2010. ‘Okeanos’ was a system in which forty iPhones were connected via a Wifi service. This connection repres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spectators who interact with their iPhones. Many unspecified persons’ participate in a context similar to the relationship that exists in social network services. People experience mental sharing and entertainment through multi-communication. The resulting artwork created by SNS is meaningful when it is made via a process in which the artist and participant collaborate. This thesis aims to explore this re-convergence of technology and art that mobile devices have facilitated. The particular artwork, which is a form of mobile application called ‘Bo Pollock,’ is the proposed focus for this thesis. The main theme in ‘Bo Pollock’ is that two people sharing the same screen and using their own devices, can perform actions that allow them to cooperate in the creation of a painting. The motive of the contents in question stems from my previous work, ‘Untitled Series Performance,’ which I have performed since 2008. In this performance, my body becomes a brush and an artistic medium to express my thoughts and to paint. This performance was inspired by the action of painting a piece of abstract expressionism. At the moment of performance, the drawing and painting has a transforming and coincidental effect that morphs into artistry. The expression of the act of painting is described as free movement, rhythmical lines, and coincidental figures. This work was developed in mobile application form and it operates on the iPhone’s iOS system, but can also be used on an iPad and supported by Android OS mobiles. Bo Pollock is played by two users who share the screen, thus iPad is chosen for its more suitable size, though other devices can also be used. The screen becomes a digital canvas in ‘Bo Pollock’. ‘Bo Pollock’ provides design functions for creating artwork in which participants complete paintings together. The idea came to me as I contemplated the process by which God created the world. He constructed the world using designed functions and led its process of self-operation. Participants became spectators and creators. Creation became, in this sense, a collaborative effort between the original “Artist” and other subsequent creators. Thus, I propose that the artwork made using smart mobile devices, as exemplified by Bo Pollock, is an excellent means through which to understand the context of participatory media art histor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