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30 Download: 0

경도인지장애군의 명사 및 동사 하위유형에 따른 대면이름대기 산출 능력

Title
경도인지장애군의 명사 및 동사 하위유형에 따른 대면이름대기 산출 능력
Other Titles
Noun-Verb Dissociation in a Confrontation Naming Task for Person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uthors
최은정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성지은
Abstract
Person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are on a transitional period between normal aging and clinically demented state such as Alzheimer’s disease. Detection of MCI is critical for treatment of patients on early stage of clinically demented state. Effectiveness of noun naming test including Boston Naming Test (BNT) for MCI is controversial. This study examined whether persons with MCI perform differently from the normal aging group in naming nouns and verbs. Noun types are divided into two subtypes(: animate and inanimate) and the verb confrontation naming task was based on verb arguments(: one-, two-, and three place argument). Twenty normal elderly individuals and 19 individuals with MCI participated in this study. Pictures for confrontation naming of this study consisted of 70 line drawing pictures. Result of showed that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CI group and normal aging group. MCI had greater difficulty in both verb and noun than normal aging group, (2) MCI showed more impaired performance on verb naming than noun naming, (3) both MCI and normal aging group had more difficulty in inanimate objects than animate objects and (4) both MCI and normal aging group had more difficulty in three-place verbs than one- and two- place verbs. The results from the current study suggested that verb confrontation naming could be a sensitive tool to differentiate the MCI from normal aging group.;정상노화와 치매의 중간 단계에 있는 경도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이하 MCI)는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 이하 AD)으로 전환이 많이 되는 군으로 알려져 있다(김상윤, 2006; Petersen et al, 2001). 따라서 MCI의 조기 감별 진단은 초기 치매의 치료와 예방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MCI는 증상의 초기부터 기억력의 저하와 함께 이름대기 장애를 가진다. 이러한 단어 산출의 어려움은 단어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는데 일부 연구에 의하면 치매가 심해질수록 명사 대면이름대기 능력이 감소한다.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은 표준화된 대면이름대기 검사 도구를 사용한 명사 대면이름대기를 수행하여 MCI를 선별하려는 시도가 계속되어져 왔으나 명사 대면이름대기 과제의 유용성에 대한 의견이 분분하다(Almor et al., 2009; Bak. & Hodges, 2003; Druks, Masterson, Kopelman, Clare, Rose. & Rai., 2006; Kielar. & Orange., 2007). 일부 연구에 의하면 동사 이름대기의 경우에는 치매의 초기 단계에서부터 감소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박은실·정옥란·강수균, 2005; 신상은, 2008). 따라서 동사 대면이름대기 등의 다른 접근방법을 통한 대면이름대기에 관한 추가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1)대면이름대기 과제를 사용하여 정상노인 집단과 MCI군을 대상으로 집단 간 동사와 명사에 있어서 대면이름대기 능력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세부적으로 명사 및 동사를 하위유형에 따라 다음과 같이 나누었다. (2) 명사를 생물과 무생물에 따라 집단 간 의미 범주 특정적 손상이 있는지 살펴보고, (3)동사를 논항의 수에 따라 집단 간 논항구조의 복잡성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총 39명으로 정상노인 집단 20명과 MCI군 19명이었다. 명사와 동사는 모두 고빈도 단어이며, 명사의 경우 의미적 범주에 따라 생물과 무생물로 분류하였으며, 동사의 경우 필수논항의 수에 따라 1항 동사, 2항 동사, 3항 동사의 세 범주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정상노인 집단과 MCI군 간의 명사와 동사 대면이름대기 능력에 차이를 보이는 가에 대해 연구한 결과, MCI군이 정상노인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정반응율을 보였다. 또한 동사가 명사에 비해 유의하게 정반응율의 감소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MCI군은 정상노인 집단에 비해 동사에서 유의하게 수행율의 저하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2) 정상노인 집단과 MCI군 간의 명사 하위유형(생물과 무생물)에 따른 차이를 살펴본 결과, MCI군이 정상노인 집단에 비해 명사 대면이름대기에서 유의하게 낮은 정반응율을 보였다. 또한 무생물 범주가 생물 범주에 비해 유의하게 정반응율의 감소를 보였으나, 무생물과 생물 분류에 따른 두 집단 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3) 정상노인 집단과 MCI군 간에 동사 하위유형(논항의 수 : 1항, 2항, 3항)에 따른 차이를 살펴본 결과, MCI군이 정상노인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정반응율을 보였다. 3항 동사에서 1항 동사 및 2항 동사에 비해 수행율의 저하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논항의 수에 따른 두 집단 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요약하면, MCI군은 정상노인 집단에 비해 명사 뿐 아니라 동사 대면이름대기 능력에서도 손상을 보였으며, 특히 동사 대면이름대기 과제가 명사 과제보다 MCI군과 정상노인 집단을 구분해 주는데 유용한 과제로 나타났다. 또한 두 집단에서 생물에 비해 무생물 명사에서 수행 능력의 저하가 관찰되었지만 MCI군이 정상노인 집단에 비해 의미 범주 특정적 결함이 뚜렷하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마지막으로 두 집단에서 동사의 논항의 수에 따른 수행 능력 저하가 관찰되었다. 즉, MCI군뿐만 아니라 정상노인 집단에게도 논항 구조의 복잡성에 따른 영향이 동사 대면이름대기 과제에서 나타났다. 하지만, 논항 구조의 복잡성이 두 집단을 변별하는 과제로써 통계적 유의성이 뒷받침 되지 않아 해석에 주의를 요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동사 대면이름대기 과제는 명사 대면이름대기 과제보다 정상노인 집단과 MCI군을 변별하는데 더 유용한 과제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