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2 Download: 0

예술 중·고등학교 무용지도자의 교육적 가치체계 및 교수설계 방안 탐색

Title
예술 중·고등학교 무용지도자의 교육적 가치체계 및 교수설계 방안 탐색
Other Titles
Research on the Dance Education Instructional Design Plan and the Educational Value System of the Dance Educator in Middle and High school of Arts
Authors
함지선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체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경숙
Abstract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are to clarify the educational value system of the dance educator in Middle and High school of Arts and to search the desirable Instructional Design Plan for dance education by reflecting expert panel‘s opinions and agreements. It can be the basic materials for the practical and systematicdance education and be help educator to solve the teaching problems which are possible to undergo in the class with critical and reflective thoughts. To achieve the objects of this research, I conducted a survey of 190 dance educators, who have more than 3 years career in Middle and High school of Arts, about their educational value system with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And with 11 participants who selected in expert standard and sign in consent form among 190 participants, I continued to survey in the Delphi technique and to seek the ideal plan of Dance Instructional Design. First, to find out an educational value system of the dance educators, I classified this field into the goals of education, education process, the qualification to be an educator, standards of educational value and presented the details to respondents and made them rank the details based on their importance. The results are following. 1) In the goals of education field, fostering artist throughthe Whole-Person Education, developing practical skills for performance, preparing for High school of Arts or college entrance exams are listed in order of importance. 2) In the educational process field, both dance theory and the practice is important, the practice is more important, dance theory is more important are listed in order of importance. The educational process, divided into the theory and the practice, added more subjects and was re-listed in order of importance. In the theory field, background knowledge, study of arts, teaching methods, the applied study are listed. In the practice field, movement skills, artistic attainments, basic physical strength, artistic insight, stage directing are listed. 3) In the qualification to be an educator field, personality, expert knowledge, attitudes toward teaching(eagerness), teaching techniques are listed in order of importance. 4) In standards of educational value field, educators themselves described which factors are important and made a list in order of importance. Personality, expert knowledge, movement skills, a sense of accomplishment, artistic attainments, ability to express, self-realization, creativity, physical training, teaching methods are listed. These categorized factors are described by the participants, dance educators. Thisresult of the survey reveals that the dance educators have demandednot just practical dance techniques but overall knowledge of dance and general knowledge besides dance. Also it shows the dance educators have thought that to be a trustful teacher and helping students to be a better person are more important than emphasis on dance as arts or teaching dance techniques. It can be interpreted the dance educators have stressed on that dance education should be made as a part of the Whole-Person Education. Second, Searching for Instructional Design Plan for dance education, I conducted surveys with the Delphi technique over three times. By categorizing the collected materials from the First open-ended questionnaire in the Delphi technique, the secondary and the third questionnaire are decided. Question items decided finally are 3 standards of educational value matters, 6 qualification to be an educator matters, 4 goals of education matters, 5 educational process matters, 4 teaching method and organization(theory) matters, 3 teaching method and organization(practice) matters, 4 teaching evaluation matters. And by conducting survey with the secondary and the third Delphi questionnaire, the items of each field and its importance are finally decided. In standards of educational value field, 3 items ─ education for professional dancer, education of personality, Whole-Person Education ─ are finally decided and listed in order of importance. In the qualification to be an educator field, 6 items ─basic personality, expert techniques and abilities to artistic sense, eagerness to dance and teaching, creating desirable learning environments, concern and love for students, systematic and expert knowledge about teaching methods and experience ─ are finally decided and listed in order of importance. In the goals of education field, 4 items ─ carrying out integrated education, education considering students, realization of Whole-Person Education, expansion of artistic experience ─ are finally decided and listed in order of importance. In the educational process field, 5 items ─ more closely matching students’ abilities, offering professional education environment, step-by-step learning, dividing major into the intensified programs, balancing between dance theory and the practice ─ are finally decided and listed in order of importance. In teaching method and theory of organization field, 6 items ─ learning general knowledge besides dance, offering various theory and opportunity for the future career, concentrating on dance theory, to emphasis on fundamental studies related dance, step-by-step and systematic theological learning, to stress on general subject ─ are finally decided and listed in order of importance. In practice field, 4 items ─ expansion of perspective through various dance experience and dance movements, to improve system of specific major practice, to stress on learning step-by-step and matching students’ levels ─ are finally decided and listed in order of importance. In evaluation field, 3 items ─ selecting and developing evaluation instruments, to categorize the details of evaluation, to emphasis on evaluation of performance ─ are finally decided and listed in order of importanc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represent that the dance educator set their ultimate purpose of dance education as upbringing of the whole person. According to this, I suggest the plan of overall integrated, systematic and step-by-step class for dance education Instructional Design Plan. It means that out of education focused on the dance as arts, which is narrow sight, we should teach students to get more opportunities, activities, knowledge and provide parallel the education regarding dance as an instrument with regarding dance as an object in the dance education. This kind of approach to education is allowed to expect that many active teachers get the improved educational meaning and could bring up the professional dancers who get a wider field of vision.;본 연구는 예술 중·고등학교 무용지도자의 무용교육에 대한 교육적 가치체계를 밝히고 무용교육에 관련된 전문가 집단(Expert Panel)의 의견을 수렴, 합의를 도출하여 무용교육을 위한 바람직한 교수설계 방안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토대로 지도자들이 가지고 있는 생각과 행동에 대하여 비판적이고 반성적인 사고능력을 갖게 하여 무용교육현장에서 교수(teaching)와 관련하여 겪게 되는 여러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돕고, 실질적이고 체계적인 무용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반 구조화된 설문지 방법을 통해 예술 중·고등학교에서 3년 이상의 지도자 경력이 있는 무용지도자 190명을 대상으로 반 구조화된 설문조사를 통해 무용지도자의 교육적 가치체계를 알아보았으며, 이 중 본 연구에서 설정한 전문가 선정기준에 적합하고 연구 참여에 동의한 11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방법을 통해 이상적인 무용교육 설계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무용지도자의 교육적 가치체계와 무용교육을 위한 교수설계 방안을 모색하였다. 먼저, 무용지도자의 교육적 가치체계를 알아보기 위해, 교육목표, 교육과정, 지도자 자질, 교육적 가치기준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세부항목을 제시하고 중요순위대로 나열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첫째, 교육목표영역에서는 전인교육을 통한 예술인 육성, 공연을 위한 실기교육, 예술계 고등학교 또는 대학 진학을 위한 입시교육 순으로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과정 영역에서는 무용지도자들이 무용이론과 실기 모두 중요하다, 실기가 더 중요하다, 이론이 더 중요하다의 순으로 대답하였다. 교육과정 영역은 다시 이론과 실기를 구분하여 다양한 과목과 분야를 제시하고 중요하게 생각하는 대로 나열하도록 하였는데, 이론과목에서는 배경지식, 예술학문, 교수법, 응용학문의 순으로 응답하였으며, 실기분야에서는 움직임 기술, 예술적 소양, 기초체력, 예술적 통찰력, 무대 연출력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도자 자질영역에서는 인성적 자질, 전문 지식, 교직에 관한 태도(열의 등), 교육기술의 순으로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육적 가치기준 영역은 자신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을 직접 기술하고 중요순서대로 나열하도록 하였다. 인성, 전문지식, 움직임 기술, 성취감, 예술적 소양, 표현능력, 자아실현, 창의성, 신체단련, 교육기술 순으로 대답하였고, 이는 무용지도자가 직접 기술한 요인을 범주화하여 도출한 결과이다. 이상의 결과로서, 무용지도자들은 무용의 실기영역 뿐만 아니라 무용에 관한 전반적인 지식과 더불어 무용 이외의 총체적 지식 또한 절실히 요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로써 무용지도자들은 무용교육을 통해 예술로서의 무용을 강조하거나 무용의 기술(테크닉)에 대한 가르침을 강조하는 것이 아닌, 한 인간으로서 인간됨이 훌륭한 지도자, 그리고 학습자를 바람직한 인간으로서 성장하도록 돕는 것을 더욱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무용지도자들이 무용교육도 전인교육을 지향하는 관점에서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라 해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무용교육을 위한 교수설계 방안에 대해 탐색하고자 3차례에 걸쳐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1차 델파이 개방형 연구로부터 수집한 자료의 범주화를 통해, 2, 3차 설문지 항목을 확정하였으며, 최종 결정된 설문항목은 교육적 가치기준 3건, 지도자 자질 6건, 교육목표 4건, 교육과정 내용 5건, 교육방법 및 조직(이론) 4건, 교육방법 및 조직(실기) 3건, 교육평가 4건이다. 또한 2, 3차시의 델파이 조사를 통해 각 영역에 대한 항목, 항목에 따른 중요도 순위가 최종 결정되었다. 교육적 가치기준 영역에서 최종 결정된 항목은 3건으로, 무용전문인 교육, 인성교육, 전인적 인간완성의 순으로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무용지도자 자질의 영역에서 최종 결정된 항목은 6건으로, 기본인성과 전문적인 테크닉·예술적인 감각에 대한 능력, 무용과 가르침에 대한 열정과 바람직한 환경조성, 학생들에 대한 관심과 사랑, 교수법에 대한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 요구의 순으로 확정되었다. 교육목표 영역에서 최종 결정된 항목은 4건으로, 통합교육 실시, 학생을 고려한 교육, 전인교육의 실현, 예술적 경험의 확대 항목의 순으로 나타났다. 교육과정 내용 영역에서 수준별 학습, 전문적인 교육환경 제공, 통합교육·전인교육 강조, 단계별 학습, 전공별 심화과정 구분, 무용이론과 실기 비중의 균형 요인의 순으로 확정되었다. 교육방법 및 조직의 이론 영역에서 최종 결정된 항목은 6건으로, 무용 이외의 총체적 지식의 습득, 진로를 위한 다양한 이론 및 기회 제공, 무용이론 비중을 높임, 무용관련 기초학문의 강조와 단계적이고 체계적인 이론 학습, 일반과목의 비중 높임의 순으로 나타났다. 실기 영역에서 최종 결정된 항목은 4건으로, 다양한 무용경험을 통한 무용안목의 확장과 무용동작의 확장, 세부 전공 실기 제도 개선, 단계별·수준별 학습의 강조 항목의 순으로 확정되었다. 평가 영역에서 최종 결정된 항목은 3건으로, 평가도구의 선정 및 개발, 평가 항목의 요목화, 수행평가 강조 항목의 순으로 중요도가 확정되었다. 결과적으로, 무용지도자와 무용교육 전문가들은 무용교육의 궁극적인 교육목표를 전인적 인간육성에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따른 무용 교수설계 방안으로 총체적이고 통합적이며, 체계적이고 단계적인 수업에 대한 계획을 제안하였다. 즉 예술로서의 무용에 치우친 교육에서 벗어나 보다 많은 기회와 활동, 지식을 갖도록 학습자를 지도해야 하며, 이는 곧 무용을 수단으로 하는 교육과 무용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이 무용교육 안에서 반드시 병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교육을 통해 현장의 무용지도자로 하여금 진보된 교육적 의미를 가지고 교육에 임하게 함으로써 보다 넓은 안목을 가진 무용인의 양성이 기대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