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5 Download: 0

어머니의 인성특성 및 유아의 기질과 과보호·통제적 양육행동간의 관계

Title
어머니의 인성특성 및 유아의 기질과 과보호·통제적 양육행동간의 관계
Other Titles
Relationships among Mother's Personality, Child's Temperament and Overprotective/Controlling Parenting Behaviors
Authors
김나희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아동학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도현심
Abstract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relationships between mother's personality and child's temperament and overprotective/controlling parenting behavior. Also,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or not child's temperament plays moderating roles between the mother's personality and the overprotective/controlling parenting behavior. In order to find out, 285 mothers of 4-6 year old children who attending 12 kindergartens and nursery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do district were selected to be subjects of a questionnaire, and data was collected. The mother's personality in this research is based on Eysenck Personality Questionnaire(EPQ) written by Eysenck and Eysenck(1975) with Lee, Hyun-Su(1985) standardized corresponding to Koreans, and was measured using a standard scale of Soh, Eon-Ju(2001). The child's temperament scale referenced on the RITQ(Revised Infant Temperament Questionnaire) which PTQ(Parent Temperament Questionnaire)and Mcdevitt(1978) developed based on Thomas and Chess(1997), and the collected data from the mothers' interview to measure the standard using the scale of Heo, Tae-Hee(2008) who used the research-use temperament calming scale produced by Cheon, Hee-Young(1992). The mother's overprotective parenting behavior was measured with the scale of Soh, Eon-Ju(2001) based on the Parental Protectiveness scale of Doh and Falbo(1999), and the controlling parenting behavior is based on Thomas and Chess(1977), and scales modified by Cheon, Hee-Young(1992) to fit national standards were used by Heo, Tae-Hee(2008).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e research question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other's babying behavior was increased as mother's neuroticism increased. And as the extraversion was decreased with high neuroticism the mother's sheltering and controlling behavior was increased. Secondly, as the mother was aware of the low adaptability and reactivity of the children, and as the mother was aware of the high physiological regularity there were more babying behaviors. Also, there were more sheltering and controlling parenting behavior as the mother thought the child had low adaptability and high activity. Thirdly, the child's adaptability mediated on the influence of the mother's extraversion on the controlling parenting behavior. In other words, children with low adaptability, the controlling parenting behavior was high with low extraversion of the mother, and children with high adaptability, there were no differences of the mother's extraversion level. Lastly, looking at the relative influence on the mother's personality and child's temperament as the only variable of the overprotective/ controlling behavior, the variable that best predicts the overprotective parental behavior related to lower levels of child's adaptability, and the variable that best predicts the controlling parenting behavior related to higher levels of mother's neuroticism. This research found that the mother's personality and child's temperament influences the overprotective/controlling parenting behavior, and child's temperament plays moderating roles poorly between the mother's personality and the overprotective/controlling parenting behavior Through this, this research concentrated on the cause of the overprotective/controlling parenting behavior and there exists academic - pragmatic meanings in terms of the expansion of the understanding.;본 연구는 어머니의 인성특성 및 유아의 기질과 과보호 · 통제적 양육행동간의 관계를 살펴보았으며, 어머니의 인성특성과 과보호 · 통제적 양육행동간의 관계에서 유아의 기질이 중재적 역할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와 경기도 지역에 위치한 12개의 유치원 및 어린이집에 다니는 만 4-6세 유아의 어머니 285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 어머니의 인성특성은 Eysenck와 Eysenck(1975)가 제작한 Eysenck Personality Questionnaire(EPQ)를 이현수(1985)가 한국인에 맞게 표준화한 척도를 기초로 한 소언주(2001)의 척도를 통해 측정하였다. 유아의 기질은 Thomas와 Chess(1997)에 의해 개발된 PTQ(Parent Temperament Questionnaire)와 Mcdevitt(1978)가 개발한 RITQ(Revised Infant Temperament Questionnaire)및 어머니와 자료면접에서 수집된 것을 참고로 하여 천희영(1992)이 제작한 연구용으로 질평정 척도를 사용한 허태희(2008)의 척도를 통해 측정하였다. 어머니의 과보호적 양육행동은 Doh와 Falbo(1999)의 Parental Protectiveness 척도를 번안한 소언주(2001)의 척도를 통해 측정하였으며, 통제적 양육행동은 천희영(1992)이 Thomas와 Chess(1977)의 척도를 국내에 맞게 수정 · 보완한 척도를 사용한 허태희(2008)의 척도 중 통제성 요인만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예비분석을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으며, 본 분석에서는 다중회귀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신경증성이 높을수록 어머니는 아기취급 행동을 더 많이 나타내었다. 반면, 신경증성이 낮고, 외향성이 높을수록 어머니는 보호적 행동과 통제적 양육행동을 덜 나타내었다. 둘째, 어머니는 유아의 적응성과 반응성이 낮다고 지각할수록, 그리고 활동성과 생리적 규칙성이 높다고 지각할수록 아기취급 행동을 더 나타내었다. 또한, 어머니는 유아의 적응성이 낮고, 활동성이 높다고 지각할수록 보호적 행동과 통제적 양육행동을 더 많이 나타내었다. 셋째, 유아의 적응성은 어머니의 외향성이 통제적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중재하였다. 즉, 적응성이 낮은 유아들의 경우, 어머니의 외향성이 낮을수록 통제적 양육행동을 많이 보였다. 적응성이 높은 유아들의 경우, 어머니의 외향성에 따라 통제적 양육행동의 수준에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과보호적 양육행동과 통제적 양육행동을 가장 잘 예측하는 변인은 각각 유아의 낮은 적응성과 어머니의 높은 신경증성이었다. 본 연구는 어머니의 인성특성 및 유아의 기질과 과보호 · 통제적 양육행동이 서로 밀접한 관련성이 있으며, 어머니의 인성특성과 과보호 · 통제적 양육행동간의 관계에서 유아의 기질의 중재적 역할은 미약하다는 것을 밝혔다. 본 연구는 과보호 · 통제적 양육행동의 원인에 초점을 두어 이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혔다는 점에서 학문적 · 실용적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