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3 Download: 0

음악적 자극에 대한 신생아의 반응 및 선호도

Title
음악적 자극에 대한 신생아의 반응 및 선호도
Other Titles
Responses and Preference of Newborns for Musical Stimulus
Authors
유재경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현주
Abstract
It is very important to provide the hospitalized newborns with the proper musical stimul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ponse and preference of newborns to musical stimulus. The clients are normal newborns (N=30) of at the E university hospital newborns' room in Seoul. i.e. the one was born 37-41 weeks gestational age, 8-10 score in apgar, 24-96 hours newborn without physical and neurological problems. The client is in the state of alert inactivity, active wakefulness, and crying or agitation without discomfort of elimination after feeding. Experimental treatments individually were conducted in an ABA_(1)CA_(2)D design, with data collected in three segments of two minutes each of silence alternating with three segments of two minutes each of musical stimulus(i.e. heartbeat, minuet by J.S Bach, and lullaby by Nan-pa Hong). The newborn's videotaped behavior was analyzed for the response and preference in the following themes; crying, fixated/looking around, sucking, and intent listening in stimulus. The experimental data of this reserch is evaluated by measure of ANOVA,LSD for post-test. We used SPSS program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for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Responses were compiled for the group as a whole, with mean time, frequency calculated for each stimulus. Group's mean of crying duration time decreased more musical stimulus than silence. Group's mean of fixated/looking around duration time increased more musical stimulus than silence. Group's mean of sucking frequency increased more musical stimulus than silence. Group’s mean of intent listening duration time increased also more musical stimulus than silence.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newborns have discriminate. i.e. the musical stimulus has positive effects on client’s behavior. Preferences of the response were analyzed as follows; The research question asked whether there was a preference of the newborn among the stimulus. First, the result showed that the duration time of crying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F(3, 116)=2.91, P=.037) while we played the lullaby. Second, the result showed that the fixated/looking around time in eye behavior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when the minuet was played, the fixated/looking around time is increased in eye behavior. Third, the result showed that the frequency of sucking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playing the heartbeat affected increasing the number of sucking behavior. Forth, the result showed that the duration time of intent listening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F(3, 116)=3.108, P=.029) when the minuet was played. Fifth, the result showed no other significant sex differences with during of the intent listening. This research was to address the response and preference of the newborn among the stimulus. With this research that aimed comfort of emotional, psychological to musical therapeutic intervention in newborns’ room, newborns rapidly adjust to requirements of the extrauterine environment and improve in quality of early life. ;신생아실의 신생아에게 적절한 음악적 자극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것은 수용적인 삶으로 시작된 그들에게 긍정적인 환경을 조성하는데 있어 중요한 일이다. 이에 본 연구는 신생아의 음악적 자극에 대한 반응을 관찰하고 그들이 선호하는 자극의 유형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E대학 신생아실의 정상신생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즉 재태주령 37-41주로 출생하여 아프가(apgar) 점수가 8-10점에 이르며 신체적·신경학적인 결함이 없는 출생 후 24시간에서 96시간 사이의 남자 15명과 여자 15명의 신생아이다. 대상자는 수유를 마치고 배변상태에서 불편함이 없는 민첩한 비활동기(alert inactivity), 능동적 활동기(active wakefulness), 울음이나 보챔(agitation) 상태에 있는 신생아이다. 실험은 무자극과 세 가지의 음악적 자극 - 심장박동음, Bach의 미뉴엣, 홍난파의 자장가 -을 테잎에 녹음하여 ABA_(1)CA_(2)D 실험디자인을 이용해 각각 2분씩 제공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실험측정은 대상자의 반응을 녹화한 비디오를 보고서 측정하고자 하는 항목 - 울음지속시간, 시각고정/주위탐색지속시간, 빨기횟수, 자극에 대한 집중청취지속시간 -을 3명의 관찰자가 분석하였다. 실험자료는 측정된 시간(초)과 횟수(회)를 데이터로 삼아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대상자 반응에 따른 자극의 선호도는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과 이원분산분석(two-way ANOVA)으로 분석하였고 사후 검정은 Least Significant Difference(LSD)기법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로 대상자의 반응을 자극 유형별로 통계 분석한 결과, 음악적 자극이 없을 때보다는 음악적 자극이 있을 때 울음반응은 상대적으로 감소되었고, 시각고정/주위탐색반응, 빨기반응, 집중청취반응은 상대적으로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개별반응은 다양하지만 전체적으로 음악적 자극이 있을 때 긍정적인 행동의 변화가 있었다. 반응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한 결과 첫째, 대상자의 울음지속시간을 측정 분석한 결과 자장가가 제시되었을 때 울음지속시간이 가장 유의미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상자의 시각고정/주위탐색지속시간을 측정 분석한 결과 자극 유형에 따라 시각고정/ 주위탐색지속시간이 유의미하게 감소하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미뉴엣이 제시되었을 때 시각고정/주위탐색지속시간이 가장 연장되었다. 셋째, 대상자의 빨기횟수를 측정 분석한 결과 자극유형에 따라 빨기횟수는 유의미하게 증가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심장박동음과 미뉴엣이 제시되었을 때 비슷한 수준으로 빨기횟수가 증가되었다. 넷째, 대상자의 집중청취지속시간을 측정 분석한 결과 미뉴엣이 제시되었을 때 집중청취지속시간이 가장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대상자의 성별에 의한 선호하는 자극의 유형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신생아의 반응을 기초로 하여 선호된 음악적 자극을 신생아실에서 생활하는 신생아들에게 초기 음악 치료적 중재로 제공하여 정서적·심리적 안정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고 변화된 환경의 적응을 용이하게 하며 신생아실에서 근무하는 의료진 및 임상음악치료사들의 관심을 앙양시키고자 하는데 그 의의를 두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