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7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용만-
dc.contributor.author최금자-
dc.creator최금자-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28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28Z-
dc.date.issued1978-
dc.identifier.otherOAK-00000005789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334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7892-
dc.description.abstractIntestinal obstruction exists when there is interference with the normal oboral progression of intestinal contents due to any causes and its incedence is probably about 20 percent of surgical admission for acute abdominal conditions. Despite a consequence of work of large number of competent investgators in many laboratories concerned with various facets of the problem on intestinal obstruction, the mortality rate in strangulated obstruction is still about 25 percent. This study includes the clinical analysis of 202 cases of intestinal obstruction about its incedence, symptoms & signs, x-ray & laboratory findings, operative procedures, complications, and mortality, which were treated surgically at the Department of Surgery in Ewha Womans University Hospital during 6 years and 4 months from September, 1971 and December, 1977. 1) The main causes of intestinal obstruction were adhesion (31.2%), intussusception(26.2%), congenital anomaly(10.9%), and hernia(9.4%). 2) 123 cases were male, 79 cases were female, and a ratio of male to female was 1.5 : 1. 3) The most frequent age group of intestinal obstruction was at birth to 9 year old in cases of 86(42.6%). 4) A ratio of small bowel to large bowel obstruction was 4 : 1. 5) The cardinal symptoms and signs were abdominal pain(87.1%), vomiting(64.4%), and abdominal distension(56.9%). 6) The postoperative findings on simple abdominal X-ray were seen in 90.9%, the significant leukocytosis on hematology was seen in 57.9%, and 16.5% of 152 cases had highly concentrated urine (S/G;1.030). 7) The common previous operations of the cases of postoperative adhesion were gynecological operations in 30.6%, appendectomy in 24.5%, and a certain operative procedures for intestinal obstruction in 16.4%. 8) The operative procedures were performed manual reduction in 32.7%, lysis of adhesion In 28.7%, and segmental resection of bowel in 13.7%. 9) Wound infection was the most common complication after operation and the over all complication rate was 17.8%. 10) The over all mortality rate was 6.9%. The most common cause of death was sepsis or electrolyte imbalance. The mortality was higher among cases up to admission late (especially over 72 hours after symptom onset), and strangulated obstruction revealed threefold higher mortality than simple obstruction. The mortality relating to location of obstruction was especially high in jejunal obstruction. This study indicated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mortality rate and location, symptom duration, disturbance of blood supply, and patients age, and the author is convinced that the exact diagnosis and early surgical management is to decrease the mortality of intestinal obstruction. However,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postoperative adhesion and the searching mechanism of intussusception especially common among the Korean infants are still the remaining subjects in the field of the management of intestinal obstruction.;장폐쇄증은 어떤 원인에 의해 장내용물의 정상적인 이동에 장애가 있는 병적 상태이며 그 발생빈도는 외과 영역에서 응급처치를 요하는 급성 복부질환의 20%를 차지한다. 장폐쇄증에 관한 다각적인 연구가 많은 사람들에 의해 이루어졌지만 교액성 장폐쇄증의 25%나 되는 높은 사망율은 여전히 이 분야에서 해결되어야할 과제로 남아있다. 이에 저자는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외과에 1971년9월부터 1977년 12월 말까지 6년4개월간 장폐쇄증으로 입원하여 수술치료를 받은 환자 202예의 임상기록을 근거로 장폐쇄증의 발생빈도, 임상증상, X-선 소견, 검사소견, 진단, 수술방법 및 합병증과 사망원인 등에 관한 임상분석 결과를 국내, 외 문헌과 비교고찰하고 장폐쇄증의 사망율과 관련된 요인들을 알아 봄으로써 장폐쇄증의 치료에 도움이 되고져 했다. 저자의 202예에 대한 임상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장폐쇄증의 주요원인은 장유착 (31.2%), 장중첩증 (26.2%), 선천적 기형 (10.9%), 교액성 탈장 (9.4%) 이었다. 2) 남자가 123예, 여자가 79예로 남여비는 1.5:1이었다. 3) 호발 연령군은 출생직후부터 9세사이가 86예로 전체의 42.6% 였다. 4) 소장폐쇄가 128예, 대장폐쇄는 33예로 소장폐쇄가 4배나 많았다. 5) 중요 임상증상은 복통(87.1%), 구토(64.4%), 및 복부 팽만 (56.9%)이었다. 6) 143예의 단순 복부 X-선상 양성소견은 130예 (90.9%) 에서 나타났고 202예의 혈액소견상 백혈구증식은 117예 (58.0%) 에서 보였으며, 요검사를 시행한 152예중 심한 요농축상을 나타낸 예는 25예 (16.5%) 였다. 7) 수술후 장유착으로 인한 장폐쇄증 49예에서 기왕 수술중 가장 많은 것은 부인과 영역의 수술 15예 (30.6%) 였으며 다음은 충수절제술 12예 (24.5%) 와 장폐쇄증으로 인한 수술 8예 (16.4%)순 이었다 . 8) 수술방법은 도수정복술 66예 (32.7%) , 장유착 박리술 60예(29.7%) , 및 장관의 부분절제술 28예 (13.7%) 순이었다. 9) 수술후 합병증발생율은 17.8% (36예 ) 였고 가장 흔한 합병증은 창상감염 13예로 36.6%를 차지했다. 10) 수술후 사망율은 6.9% (14예 ) 였고 가장 흔한 원인은 폐혈증과 전해질 불균형이었다. 증상발현부터 입원시까지의 경과시간에 따른 사망율은 72시간이상 경과한 경우가 9.3% (5/54) 의 사망율을 나타내 가장 높았고, 폐쇄부위별 사망율은 공장폐쇄가 20.0% (2/10)로 가장 높았으며, 연령별 사망율은 70세이상의 노년층에서 33.3% (1/3)로 가장 높은 사망율을 보였다. 단순성 장폐쇄증의 사망율은 4.0%(7/175), 교액성 장폐쇄증의 사망율은 14.8%(4/27) 로 교액성 장폐쇄증때 3배나 더 높은 사망율을 나타냈다. 본 고찰은 장폐쇄증의 사망율은 폐쇄부위, 병력기간, 혈행장애 및 환자의 연령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장폐쇄증의 높은 사망율은 정확한 진단 및 조기수술로 감소될 수 있음을 보였다. 그러나 여전히 불명확한 면이 많은 유착성 장폐쇄증의 예방 및 치료나 우리나라 유아에 특히 많은 장중첩증의 발생기전의 규명은 장폐쇄증에서 장차 해결되어야할 과제로 생각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iii 논문개요 = vi Ⅰ. 서론 = 1 Ⅱ. 조사대상 및 방법 = 2 Ⅲ. 성적 = 3 A. 발생빈도 = 3 B. 자각 증상 = 6 C. 이학적 소견 = 7 D. X-선 소견 = 7 E. 검사소견 = 8 F. 병력기간 = 10 G. 과거력 = 10 H. 치료 = 12 I. 수술후 합법증 = 13 J. 사망원인 및 사망율 = 13 Ⅳ. 관찰 및 고안 = 18 Ⅴ. 결론 = 28 참고문헌 = 30 Abstract = 3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3197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장폐쇄증의 임상통계적 고찰-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Clinical Analysis of 202 Cases with Intestinal Obstruction on a Statistical Basis-
dc.format.pageviii, 3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학과-
dc.date.awarded197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